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 Focused on Up-cycling

업사이클링 주제의 가정과 의생활 영역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4.1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up-cycling' first-hand during class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by helping them improving their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Teachers of home economics, Korean, and social studies to third grade middle schooler were asked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their subjects. The analysis results were then used to identify common elements among the units, reconstruct the curriculums, and develop an integrated lesson program to offer integrated activities. Based on these, a lesson program was developed to make an eco-bag and running shoes under the theme of 'up-cycling' in the unit of 'environmentally-friendly clothing and mending of clothes' in the home economics sub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pical fusion lesson program was developed to integrate three subjects together.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ed the integration of the topic of up-cycling, a program model for integrated lesson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topical integrated education. Secondly, a lesson program for home economics was developed that was applicable to actual home economics lessons based on the topical integrated lesson program. The lesson domains were divid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to create a ten-less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needed for the lessons, teaching materials that could be put to actual uses in lessons, and activity and evaluation logs for learners.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 (2011). 제1차 자원순환 기본계획 (2011-2015).
  2. 경기도교육청. (2012). 2012년 경기도교육과정.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10]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5. 김남은. (2010).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동현. (2012). 재활용품을 활용한 패션 장신구 제작 연구-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숙. (2011). 미술.과학교과가 융합된 교수학습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아, 김병수, 이지훤, 김종훈. (2011).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IT 기반 STEAM 교수.학습 방안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445-460.
  9. 김지호, 이연숙. (2005).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과 다른 교과의 교육 내용 관련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1), 55-68.
  10.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1. 오경선, 이기영, 이수희. (201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준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3), 91-119.
  12. 이경언, 진의남, 김기철, 채정현, 유정애, 김선아, 김유경. (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이상갑. (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영숙, 김영남. (2000). 중학교 교과서 식생활 내용 분석-가정, 체육, 과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12(3), 53-63.
  15. 장인한, 강현석. (2009). KDB 중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의 구성. 교육과정연구, 27(4), 95-118.
  16. 정인옥. (1993). 고등학교 과학 I(상)과 가정교과의 중복 내용 조사: 생물의 영양과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정희, 이송자, 유태명. (1998). 중학교 가정교과와 다른 교과의 교육내용 관련성 분석.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10(1), 77-93.
  18. 조수경, 채정현. (2007). 타 교과와의 중복성 분석에 기초한 중학교 가정교과의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 개발-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2), 131-152.
  19. 조현섭. (2003). 기술가정교과에서 주제 중심 통합 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중학교 3학년 조명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채정현, 유태명, 박미정. (2007).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1), 65-79.
  2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21세기 교수.학습 활동 개발.
  22. 한승환, 경정운. (2011). 학제간 융합연구의 촉진을 위한 실증분석-학문분야 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1), 153-154.
  23. 함경숙. (2005). 실과중심 환경영역 주제통합교육과정 개발(실과.도덕.사회.과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허정호. (2011).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학문융합 프로그램이 에너지 절약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환경부. (1996). 환경 용어 해설집-지구 환경 논의 중심으로. 환경부.
  26. 환경부. (2013). 자원순환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관제. 환경부.
  27. William, M., & Michael, B. (2002). Cradle to cradle. New York: North Point Press
  28. 네이버 지식백과. 융합. 자료검색일 2016. 12. 2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