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위치기반 정보를 활용한 비상대피경로 안내 지원시스템 개발

A Study of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 김호경 (목포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Kim, Ho-Kyeong (Dep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7.07.27
  • 심사 : 2017.09.15
  • 발행 : 2017.09.30

초록

조선소의 안벽공정은 복잡한 구조물의 내부에 많은 인원이 투입되어 다양한 작업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폭발, 화재 등 중대재해 발생의 가능성이 높으나, 사고 발생 시 내부 인원에게는 사고 발생의 여부와 대피에 대한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조선소 안전사고의 증가에 따라 안전과 공정 모니터링에 대한 요구사항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주요 조선소에서는 IT 기술을 접목하여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작업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집된 구역에 다수의 인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대형 인명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모바일을 기반으로 화재 발생 등 위험 구역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정확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상의 건물에 대하여 진행되고 있는 화재 대피 시스템의 동향을 분석하고 탈출 경로 계산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선정하고 프로그래밍을 수행하였으며 비콘을 이용한 위치 파악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초대형 선박 건조 현장, 여객선 및 대형 공공시설 등에 활용되어 안전사고 시 인명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hipyard quay process struggles to control workers and maintain a secure working environment because of the presence of at least 1,000 people. Therefore, safety accidents such as an explosion or a fire are likely to occu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at shipyards, the requirements for safety and process monitoring have been strengthened. Major shipyards are conducting researchto monitor the process in real time and to detect the work environment for safe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afe and accurate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area and the user's location based on a mobile application to reduce the casualty accidents in the presence of many personnel in a concentrated area. To do this, we analyze the trend of the fire escape system on the ground building, compare various algorithms for escape route calculation, select appropriate algorithms for this study, and perform programming. A basic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sults.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in large ship construction sites, passenger ships and large public facilities to reduce accidents in the case of a safety accident.

키워드

참고문헌

  1. H. S. Oh, D. J. Kim, S. R. Jang, "A Development of H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work",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50, no. 2, pp. 38-43, 2013.
  2. H. K. Kim, D. E. Ko,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Quay Process Monitor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0, pp. 426-431,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426
  3. D. Y. Cho, H. C. Song, J. H. Cha, "Monitoring and Simulation of Block Logistics",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8, no. 4, pp. 24-29, 2011.
  4. Y. W. Kim, D. H. Kim, H. Y. Kwak, H. D. Park, "A Study of Fire Shunt Guidance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1, no. 11, pp. 1547-1554, 2008.
  5. A. Filippoupolitis, G. Loukas, S. Timotheou, N. Dimakis, and E. Gelenbe, "Emergency response systems for disaster management in buildings", the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y Panel Symposium, pp. 15-1, 2009.
  6. L. Chu, J. W. Shih, "A Real-time Fire Evacuation System with Cloud Computing", Journal of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2012. DOI: https://doi.org/10.4156/jcit.vol7.issue7.26
  7. E. W. Dijkstra,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Numerische Mathematik, vol. 1, no. 1, pp. 269-271, 1959. DOI: https://doi.org/10.1007/BF01386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