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 Institution Loyalty of Fashion Major Degree Programs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학점은행제 패션전공 학위과정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도와 교육기관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이혜윤 (동아대학교 인문역량강화사업단) ;
  • 박명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7.04.24
  • Accepted : 2017.08.04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influe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ajors on education service qua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ppropriate for the two types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learners.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education service qua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showed positive awareness compared to Job Technical colleges. Especially, differences in awareness regarding quality of education facilities were largest, followed by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and learning satisfaction.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ccord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 and majors, learners at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had positive awareness compared to Job Technical colleges in terms of quality of facilities,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major. Looking at the effect of awarenes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education>administration>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of Universities, and the effect on educational institution loyalty was found in the order of administration> education with no effect shown by facilities. For learners at Job Technical colleges,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administration>education>facilities. Influence on loyalty to educational institution was found in the order of administration>facilities>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2014년 학점은행제 신규 교육기관 역량강화 워크샾 자료집. 서울: 국가평생교육원.
  2. 김민서. (2009).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승현, 정옥분. (1997).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효과 연구: '인간 발달 및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47-67.
  4. 김영민. (2013).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유형별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용수. (2012). 골프장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고객만족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선영. (2000).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음악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동균. (2013).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기관만족이 지각된 학업성취도, 재등록 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양경님. (2012).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대학부설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지수. (2007).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점은행제 과정에 대한 요구조사 : 3년제 보건계열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오. (2000).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 유형 구축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두형. (2011). 학점은행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한 연구: 학습자와 활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인경. (2013).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이 전문대 학생의 재등록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정화연. (2012). 전문대학교 패션관련과의 전공교과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23-36.
  14. 최근영. (2010).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만족도와 성과인식 상관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혜진. (2006). 전국 4년제 대학부설 평생(사회)교육원의 음악교육 운영 실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황치석. (2004).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대학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Oliver, R. L.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McGraw-Hill.
  18. Parasurarman A., Zeithaml. V. A. , & Berry. L. L.. (1991).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SERVQUAL scale. Journal of Retailing, 67(4), 420-450.
  19. Parasurarman A., Zeithaml. V. A. , & Berry. L.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https://doi.org/10.1177/002224298504900403
  20. Taylor & Baker. (1994). A assessment of the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 163-178. https://doi.org/10.1016/0022-4359(94)900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