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속철도 열차 주행풍의 풍력발전 활용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Potential Utility of Wind Power Generation Based on Driving Wind of High-Speed Trains

  • 김제근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철도전기 시스템학과) ;
  • 서기범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철도전기 시스템학과)
  • Kim, Je-Guen (Dept.of Railroad Electriccity System, Woosong Univ.) ;
  • Suh, Ki-Bum (Dept.of Railroad Electriccity System, Woosong Univ.)
  • 투고 : 2017.07.28
  • 심사 : 2017.10.13
  • 발행 : 2017.10.31

초록

본 논문은 고속철도 차량 주행풍에 기반한 풍력 발전의 가능성을 분석한다. 저자는 풍속계와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포함한 풍속 측정 장비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실제 고속 철도 차량 노선 부근에서 주행풍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저자는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주행풍 특성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우선적으로, 저자는 터널의 유무 및 계곡 지형 요인에 의해 구분되는 세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주행풍의 풍속 및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지형 요인에 따른 주행풍의 특성 차이를 분석한다. 또한 세 단계에 걸쳐 높이를 점증시키며 주행풍의 특성을 측정해, 차량과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른 주행풍의 변화를 분석한다. 나아가 주행 차량의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와 중량에서 차이가 있는 Korean Train eXpress (KTX) 차량과 Super Rapid Train (SRT) 차량에 따른 주행풍의 차이를 분석한다. 끝으로 측정된 주행풍의 풍속 및 지속 시간을 토대로, 실제 풍력 발전에 도입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풍력 에너지 수준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기대되는 효용성에 대해 논의한다.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for wind-power generation using the wind produced by express trains. We built equipment to detect the wind velocity, including wind meters and a data analyzer. We considered various conditions that might change the wind. First, we measured the velocity and duration of the wind at three locations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a tunnel and a valley landscape.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wind according to the geometric conditions. Also,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wind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train. We also compared the wind produced by a KTX train and an SRT train. Finally, we used the results to derive the wind power energy harvested from the wind and discuss the expected ut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Md Maruf Hossain and Mohd. Hasan Ali,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49, pp. 481-489, 2015. DOI: https://doi.org/10.1016/j.rser.2015.04.126
  2. Jeongick Le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 by construction of the wind power system using the wind by ca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107-112, 2014.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4.5.4.107
  3. Byoungsam Kang, A study on a Scheme for the Using and Planning Covering Vehicle Wind in Wind Power Generation (Thesis), p. 11, Yonsei University, 2002.
  4. Yongbum Seo, Jaemoon Im, and Kwangbok Shin, "Development of a turbine based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using traveling wind power of an urban 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vol. 23, no. 5, pp. 443-449, 2014. DOI: https://doi.org/10.7735/ksmte.2014.23.5.443
  5. AeRim Kim, Sangwoo Nam, Jinwoo Choi, Hyunung Bae, and Namhyoung Lim, "An energy harvesting using the wind power in the railway system," korea railroad society, 2013 spring conference, vol. 5, pp. 775-780, 2013.
  6. Byungnam Yang, Electric Railway Engineering, p. 604, Sungandang, 2015.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Railway Statistics, p. 62, 2011
  8. Science sharing study grop, Design and production of small wind turbines, p. 39, Iljinsa, 2011.
  9. https://www.usa.philips.com/c-m-li/led-light-bul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