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동 지역 간 상품교역 활성화를 위한 무역구조 연구

An Analysis on the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Middle East for Increasing Trade.

  • 안태건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
  • 김성룡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투고 : 2017.05.02
  • 심사 : 2017.06.16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동지역의 국가간의 무역을 증대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동의 무역패턴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동시장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동의 무역집중도와 무역특화도를 산출하여 한국과 중동의 무역 구조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의 무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발전가능성이 있는 품목군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들 품목들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중동지역 수출 활성화를 할 수 있는 품목군을 찾고 신시장 개척 및 미래성장동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품교역을 진흥하기 위한 방안으로 FTA체결과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늘리고 진출 시 빠른 적응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과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란의 경제제재 해제와 함께 찾아온 새로운 중동 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expansion of trade between South Korea and Middle East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state of the Middle East area. The Trade Intensity index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alysis enables to evaluate the trade between South korea and Middle east Countries. Hence, this study explains how to proceed the trade and shows some items for advancement in the market. And it gives also some products for vitalizing the export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presents the next-generation growth engines industry and develops new market frontier. In order to promote trade between South korea and Middle East area, korean government must be keep trying to make the FTA with middle east. and korean company must be improving to understand the local culture and to hire special for Middle Eas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중관, "이란의 경제발전 가능성 분석 -한국기업의 진출확대 전략구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2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2. 박세운, "무역금융과 금융제재조치", 무역보험연구 제13권 제1호, 한국무역보험학회, 2011.
  3. 변영학, "검은 골드러시 : 중동 해외직접투자의 정치경제", 동북아연구, 제18권,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4. 서병민, "중동 의약품시장 통상진출 전략에 대한 연구 : UAE 시장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5. 서민교.김희준, "인도 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에 관한 사례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6. 안태건, "한국 FTA의 교역 증대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이문행, "국내 방송프로그램의 아랍시장 진출 방안-아랍에미리트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12.
  8. 정재화, "무역결합도를 활용한 FTA 효과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4권,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9. 정태원, "UAE 항만산업의 분석과 시사점",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3호, 한국해운물류학회, 2015.
  10. 조준현, "한-인도 CEPA 이후 우리나라의 대인도 무역특화지수의 변화", 산업경제연구 제25권,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11. Yamazawa, "Intensity Analysis of World Trade Flow," Hitotsubashi Journal of Economics, Vol.10, No.2,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