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for Trade Talents, Satisfac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tention: Glocal Trade Experts Incubating Program

무역인력양성시스템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도, 그리고 국제화 의도 간 실증적 관계 - 대학무역인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8.03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In the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having trade talents can determine export competitiveness. Therefore, most of countries are carrying ou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be able cultivate or educate outstanding trade talents. South Korea is no exception. It is carrying ou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GTEP, Glocal Trade Experts Incubating Program. Based on GTEP, this study would like to investigat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international intention. As a result, all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educators' quality, educational infra quality, and education qual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rnational inten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mprovi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s better than carrying out education programs simply for cultivating outstanding trade talents.

글로벌 환경에서 우수한 무역인재의 보유는 이제 국가의 수출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다양한 무역인재양성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에 대해 본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의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국제화의도를 증폭시키는데 교육의 서비스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있다. 그 결과, 강사품질, 교육인프라품질, 교육품질 모두가 교육만족도와 국제화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만족도는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서비스품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교육자 양성에도 관심을 가져야만 우수한 무역인재가 양성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수․박상규,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학생만족, 명성 및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1호, 2011, pp. 153-174.
  2. 강영문, "융복합 무역교육에 관한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18권 제1호, 2017, pp.99-118.
  3. 김재열․최경식., "대학교육서비스지향성과 대학이미지, 경영성과와의 관계", 상업교육연구, 제12권, 2006, pp. 363-387.
  4. 김학민․이예림, "융복합 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전략 과제", 2016 전국무역학자대회 및 경북무역포럼 보고서, 2016.
  5. 김현철․마종식․이상협, "교육서비스의 기능적, 기술적 품질요인과 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교육몰입의 조절효과", 경영교육연구, 제28권, pp. 575-598.
  6. 곽동신․정화영․김명숙,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제11권, 제4호, 2016, pp. 37-48.
  7. 나상균, "소상공인의 창업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신뢰성 및 추천의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5호, 2016, pp. 123-143.
  8. 박영휘, "국제화 교육 프로그램이 국제화 의식에 미치는 영향", 국제이해교육연구, 제6권, 제1호, 2011, pp. 35-77.
  9. 박주성․김종호․신용섭, "대학교육서비스품질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제4권, 제4호, 2002, pp. 51-74.
  10. 배인정․최정일․강미선․임성은, "교육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생명보험 설계사를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제41권, 제1호, 2013, pp. 79-94. https://doi.org/10.7469/JKSQM.2013.41.1.079
  11. 이일한․한주희․김주미, "창업교육 서비스품질, 만족 및 구전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2009, pp. 61-83.
  12. 이학노․이제홍․최혁준, "글로벌무역전문가양성 사업의 운영 및 성과에 관한 실태분석", 무역학회지, 제37권, 제3호, 2012, pp. 1-24.
  13. 이호형, "대학의 산학협력 무역인력 양성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2호, 2015, pp. 307-327.
  14. 정유리․차석빈,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및 학교충성도 간 관계 연구: 관광관련학과 특수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3권, 제2호, 2008, pp. 139-155.
  15. 조정곤, "산․관․학 협력을 통한 무역전문인력 양성의 과제: Trade Incubator 사업을 통한 무역인력양성의 시사점", 통상정보연구, 제10권, 제1호, 2008, pp. 415-435.
  16. 한은식․박광서,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대학의선진형 무역전문인력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47권, 2010, pp. 403-428.
  17. Bagozzi, R. P., and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1988, pp.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18. Dodds, W. B., Monroe, K. B., and Grewal, D.,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8 (August), 1991, pp. 307-319.
  19. Eagle, L. and Brennan, R., "Are Students Customers? TQM and Marketing Perspectives",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 15, No. 1, 2007, pp. 44-60. https://doi.org/10.1108/09684880710723025
  20. Gatfield, T., Barker, M., and Graham, P., "Measuring Student Quality Variables and th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Australian and International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Vol. 21, No. 2, 1999, pp. 239-252. https://doi.org/10.1080/1360080990210210
  21. Hoyt, K. B., "Career Education: History and Future", 2005, National Career Development Association. 305 North Beech Circle, Broken Arrow, OK 74012.
  22. Jain, A., Agarwal, R., Chawla, D., Paul, V., and Deorari, A., "Tele-education VS Classroom Training of Neonatal Resuscitation: A Randomized Trial", Journal of Perinatology, Vol. 30, No. 12, 2010, p. 773. https://doi.org/10.1038/jp.2010.42
  23. Nesset, E. and Helgensen, O., "Modelling and Managing Student Loyalty: A Study of a Norwegian University College",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3, No. 4, 2009, pp. 327-345. https://doi.org/10.1080/00313830903043117
  24.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1991, New York: McGraw-Hill.
  25. Podsakoff, P. M., and Organ, D. W., "Self-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Management, Vol. 12, No. 4, 1986, pp. 531-544. https://doi.org/10.1177/014920638601200408
  26.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 Y., and Podsakoff, N. P.,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8, No. 5, p. 879. https://doi.org/10.1037/0021-9010.88.5.879
  27. Quinn, A., Lemay, G., Larsen, P., and Johnson, D. M., "Servic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Total Quality Management, Vol. 20, No. 2, 2009, pp. 139-152. https://doi.org/10.1080/14783360802622805
  28. Warren, J. N., Luctkar-Flude, M., Godfrey, C., and Lukewich, J.,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nurse practitioner programs", Nurse Education Today, 46, 2016, pp. 99-108. https://doi.org/10.1016/j.nedt.2016.08.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