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Scenic Sites Considering Visual Perception Intensity

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 Ha, Tae-Il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하태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16.12.31
  • Accepted : 2017.02.01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is study applied the index called Visual Perception Intensity (VPI) which quantitatively deals with landscape values and viewpoints to designate the cultural heritage areas in the Scenic Si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VPI selection index was presented for designating the cultural heritage areas in the Scenic Sites. The index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point to the object and its incident angle.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VPI analysis was implemented with GIS and the analysis algorithm was constructed. Second, the possibility of VPI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simple frequency of the cumulative visibility with the results of the VPI. The VPI was analyz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incidence angl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iewpoint and the object within a 4.74 km area. Third,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VPI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VPI to examine whether human visual perception was fully reflecte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field survey that an area with high VPI was also an important area. Fourth, a plan for the cultural heritage area adjustment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VPI to the areas already designated as Scenic Sit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VPI into three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ith the second class or higher were needed to b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areas and the areas with the third clas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Preservation Area.

본 연구는 경관적 가치와 조망여부를 정량적으로 다루는 시지각강도(視知覺强度)라는 지표를 도입하여 명승 지정구역 설정의 가능성과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승 지정구역 설정을 위한 시지각강도 지표를 제시하였다. 조망지점에서 대상과의 거리, 입사각을 고려하여 시지각강도의 지표를 적용하였다. 또한 시지각강도 분석과정을 GIS로 구현하였으며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둘째, 누적가시도의 단순빈도와 시지각강도 결과를 비교하여 시지각강도의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시지각강도는 4.74km이내 지역에서 조망지점과 대상과의 거리보다는 입사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시지각강도의 결과를 토대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사람의 시지각을 충분히 반영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제 시지각강도가 높은 지역이 현장조사를 통해서도 중요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기 지정된 명승에 경관 시지각강도를 도입하여 지정구역 조정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지각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한 결과, 2등급 이상은 문화재 지정구역, 3등급은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으로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명승 경관자원 조사연구 및 DB구축(6차)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명승 경관자원 조사연구 및 DB구축(4차)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명승 경관자원 조사연구 및 DB구축(3차)
  4. 권지훈, 2011a, 이용자의 시지각을 고려한 지형경관의 가중가시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pp.85-92
  5. 권지훈, 2011b, 다시점 및 시지각 가중 불가시심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3, pp.69-77
  6. 김민석, 2011, 시각구조 분석의 객관화 정량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ol.27 No.5, pp.43-50
  7. 김보은, 2013, GIS 시계분석을 활용한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경계 설정 기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충식, 2014,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3차원 시각접근노출 모델의 유용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3, pp.121-134
  9. 김충식.이인성, 2003, 3D-ISOVIST를 이용한 도시경관 분석 기법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434-447
  10. 김흥섭, 2014,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3차원 시각접근노출모델 개발,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은희, 2011, 문화재 보호구역 설정을 위한 가시율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pp.108-117
  12. 시노하라 오사무, 1999, 경관계획의 기초와 실제, 대우출판사, pp.101-102
  13. 안승홍, 2010, 불영사계곡의 명승 지정구역 조정 및 현상변경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37 No.6, pp.48-56
  14. 이상복.이승엽.하재명, 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8, pp.293-300
  15. 이상복, 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Vol.26 No.3, p.295
  16. 이상화, 2007, 현대주거공간에서 공간구조와 시지각 분석방식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ol.9 No.3, pp.53-60
  17. 이재용.김영모, 2016, 'Applicability of 3DVE Indicator for Cultural Heritage Landscape Management', Proceedings of EUROMED 2016, Cyprus
  18. 임승빈, 2009,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 장종수, 2014, 생태학적 분석기법을 적용한 한국전통 산수경관의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수영.임채진.윤성규, 2011, 시지각 기반의 공간분석이론에 따른 관람동선 비교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3, pp.198-205
  21. 정윤희, 2014, 경관 가시강도의 분석과 활용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
  22. 정현태, 2009, 경관지구의 지정 및 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진주시 조망경관관리를 중심으로 -,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조영진, 2009, 인간시지각에 기초한 공간분석모델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하태일, 2016, 누적가시도를 이용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6
  25. 하태일.김충식, 2014, 계곡 명승의 경관보호를 위한 구역 설정기법 개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pp.183-19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83
  26.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27. Bartie, P., Reitsma, F., Kingham, S., Mills, S., 2011, 'Advancing visibility modelling algorithms for urban environment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 Vol.34, pp.518-531
  28. Caldwell, D., Mineter, M., Dowers, S. and Gittingsins, B., 2003,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Visibility Surface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Computation
  29. Schroder, C., Mackaness, WA., Raitsma, F., 2007, 'Quantifying urban visibility using 3D space syntax', Proceedings of Gisrul, Ireland, pp.359-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