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range in Film Color: Real and Virtual

영화색채의 주황, 현실과 가상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15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I analyze orange that is consistently used, even though not consciously, in the films whose function and meaning are clear. In detail, there are examples of color in films, psychological phenomena of colors expressed in posters and opening titles, color characteristics of clothes and costumes, and semiotic analysis of color names in film titles. (1) Fact and Truth; civilization and criticism. The film tries to tell the truth than the fact. It represents facts as it is, but it presupposes truth.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media films. The truth of the fact is not important. The film tells the truth believing and wanting to show off. The film, which has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gap between fact and truth, represents nature and civilization. It carries nature as it is and criticizes the harm of civilization. Orange is nature and civilization. Realistic films such as Hong Sang Soo and Kim Ki Duk, fall into this category. For example, there are A Taxi Driver(2017) and I Can Speak(2017). (2) Virtual History; fake images and memories. In Hollywood SF genres like The Matrix(1999), orange was dealt with virtual reality. However, in Korean films they are replaced by historical dramas.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becomes a virtual reality. Films such as The Fortress(2017), Masquerade(2012), and Roaring Currents(2014) deal with virtual history. In these films, orange is a fake image and memory. (3) Light=color; Aura. The color and light of orange is aura. At sunrise and sunset, the orange of the incandescent light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artificial light. Orange of tungsten makes the real characters surrealistic and mysterious. For example, there are The City of Madness(2016), The Man from Nowhere(2010), and Coinlocker Girl(2014). (4) Fantasy; communication with other worlds. Orange is a sweet fantasy. In our daily life, we go to a supermarket, share a chat with friends in a coffee shop, and spend time in front of a television. Orange makes our life free and dreams. It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ormer being and the other world. This can be found in the sexual fantasy scenes of all genres. For example, there are Sunny(2011), Welcome To Dongmakgol(2005), and 200 Pounds Beauty(2006).

이 글에서는 현실과 가상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영화색채의 주황을 분석한다. 색채학에서 주황은 달콤하면서 신맛을 연상시킨다. 심리적으로는 자연에서 오렌지의 주황은 건강하지만, 도시에서 늦은 오후의 주황은 해롭다. 따뜻하고, 천진난만하고, 낭만의 주황이 다른 편에서는 낯설고 해롭다. 영화에서 주황은 가장 기본적인 색이다. 그것은 이미지를 재현하는 인공조명의 원천이 주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영화에서 표현된 주황의 주요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영화에서 표현된 주황은 영화적 사실을 현실의 진실처럼 보이게 한다. 둘째, 주황은 가상의 역사를 표현하며, 가짜이미지와 기억에 해당한다. 셋째, 빛과 색으로서의 주황은 아우라이다. 일출과 일몰의 주황은 영화의 인공조명과 유사하며, 텅스텐 조명의 주황은 실재 인물들을 초현실적이고 신비스럽게 만든다. 넷째, 달콤한 환상으로서의 주황은 다른 세계와의 의사소통을 중개한다. 슈퍼마켓에 가고, 커피숍에서 친구와 노닥이고, 텔레비전 앞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상에서 주황은 삶을 자유롭게 꿈꾸게 한다. 그것은 현존과 다른 세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매개한다. 이상의 네 가지 범주의 규정은 이 글의 가정이자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21세기연구회 (2004). 하룻밤에 읽는 색의 문화사:혁명의 색 빨강부터 이슬람의 녹색까지. 정란희 역. 예담.
  2. 고을한 편역 (1976). 요하네스 잇텐의 색채론. 상미사.
  3. 김선현 (2009). 컬러가 내 몸을 바꾼다. 넥서스.
  4. 김선현 (2005). 검은 천사 하얀 악마:흑백의 문화사. 시공사.
  5. 김종국 (2017). 영화에서 빨강의 상호작용적 의미 : 집중과 확산.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7호. 241-271쪽.
  6. 김종국 (2017). 영화의 초록, 생명과 물질.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9호. 399-423쪽.
  7. 김종국 (2013).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영화연구. 58호. 87-109쪽.
  8. 김종국 (2012). 영화의 색채교육방법 연구. 현대영화연구. 8권 2호. 317-342쪽.
  9. 김종국 (2008). 기호계의 <향수>, 아브젝시옹의 파랑. 영화연구. 35호. 171-190쪽.
  10. 김종국 (2006). 영화색채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11. 문은배 (2012). 한국의 전통색. 안그라픽스.
  12. 박연선 편 (2007). 색채용어사전. 도서출판예림.
  13. 박진배 (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 1.2. 디자인하우스.
  14. 유관호 (1998). 디지털 색채론. 세진사.
  15. 이재만 (2011). 한국의 전통색. 일진사.
  16. 하용득 (1986).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명지출판사.
  17. 한국색채학회 (2012). 컬러마케팅. 지구문화사.
  18. Albers, Josef (1975). Interaction of Color 실험에 의한 색채구성. 서재행 역. 일지사. 1980.
  19. Aristotle (BC 335년경). Peri Poietikes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2.
  20. Armengol, Josep M. (2011). Men in color: racialized masculinities in U.S. literature and cinema. Cambridge Scholars.
  21. Aumont, Jacques (1994). Introduction a la couleur:des discours aux images. Paris: Armand Colin.
  22. Ballas, Guila (1997). La Couleur dans la Peinture Moderne 현대미술과 색채. 궁리. 2002.
  23. Batchelor, David (2000). Chromophobia 색깔이야기. 김융희 역. 아침이슬. 2002.
  24. Bellantoni, Patti (2005). If it's purple, someone's gonna die: the Power of Color in Visual Storytelling. Focal Press.
  25. Birren, Faber (1978). Color & human response 색채의 영향. 김진한 역. 시공사.1996.
  26. Brown, Simon; Street, Sarah; Watkins, Liz (2013). Color and the moving image: history, theory, aesthetics, archive. Routledge.
  27. Coates, Paul (2010). Cinema and Colour: The Saturated Image. British Film Institute.
  28. Dalle Vacche, Angela; Price, Brian (2006). Color: the film reader. Routledge.
  29. Dalle Vacche, Angela (1996). Cinema and painting: how art is used in film. University of Texas Press.
  30. Duck, Michael John (2016). Goethe's "Exposure of Newton's Theory": a Polemic on Newton's Theory of Light and Colour. Imperial College Press.
  31. Eckstut, Joann & Arielle (2013). The secret language of color: Science, nature, history, culture, beauty of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 violet. Black Dog & Leventhal.
  32. Everett, Wendy (2007). Questions of colour in cinema: from paintbrush to pixel. Peter Lang.
  33. Fuery, Patrick & Kelli (2003). Visual Cultures and Critical Theory. Arnold:Great Britain.
  34. Gage, John (1999). Colo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색채의 역사 : 미술, 과학 그리고 상징. 박수진 외 역. 사회평론. 2011.
  35. Goethe, Johann Wolfgang von (1810). Zur Farbenlehre 색채론. 권오상 역. 민음사. 2003.
  36. Gunning, Tom (2015). Fantasia of Color in Early Cinema. Amsterdam University Press.
  37. Heller, Eva (2000). Wie Farben auf Gefuhl und Verstand wirken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이영희 역. 예담. 2002.
  38. Kandinsky, Wassily (1912). U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권영필 역. 열화당미술책방. 2000.
  39. Kennel, Glenn (2006). Color and mastering for digital cinema 디지털 시네마를 위한 컬러와 마스터링. 오명훈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40. Kernell, Daniel (2015). Colours and colour vision: an introductory surv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Misek, Richard (2010). Chromatic cinema: a history of screen color. Wiley-Blackwell.
  42. Ryan, Michael; Kellner, Douglas (1990). Camera politica 카메라 폴리티카 하. 백문임 역. 시각과언어. 1997.
  43. Steiner, Rudolf (1980). Das Wesen der Farben 색채의 본질. 양억관 외 역. 물병자리. 2000.
  44. Yumibe, Joshua (2012). Moving color: early film, mass culture, modernism. Rutgers University Press.
  45. Wittgenstein, Ludwig (1977). Remarks on Colour. translated by Linda L. McAlister and Margarete Schatt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