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공간용 비상피난지원 시스템에 화재가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of the Fire o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 김지태 (중앙대학교 기계공학과) ;
  • 성건혁 (중앙대학교 기계공학과) ;
  • 박원희 (한국철도기술 연구원) ;
  • 이덕희 (한국철도기술 연구원) ;
  • 유우준 (동양대학교 철도기계시스템학과) ;
  • 노경철 (동양대학교 철도기계시스템학과)
  • 투고 : 2018.02.12
  • 심사 : 2018.05.04
  • 발행 : 2018.05.31

초록

비상 피난 지원 시스템은 화재시 차연막이 형성되며 차연막 내에 가압을 하여 안전한 피난로를 확보해주는 시스템이다.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비상 피난지원 시스템의 차연막은 적절한 내화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가 차연막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대상은 다중이용 건축물의 대공간 의류 상점의 화재로 가정 하였으며 상점의 가연물에 따라 화재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차연막의 내화 안전 온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 온도가 $200^{\circ}C$ 이하 일때로 가정 하였다. 그 결과 Ceiling jet 의 영향으로 천장 부분에서 가장 높은 온도가 나타났으며 차연막의 내화 안전성은 열 방출률에 따라 화재로부터 차연막의 거리가 20 m부터 또한 최대 열방출율시 30 m 이후에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비상 피난지원 시스템 내부로 연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차연막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 하여야 하며 약 5 Pa 이상 가압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향후 비상 피난 지원 시스템의 설계시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is used to maintain evacuation routes by pressurizing a space inside screens. In cases of fi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hermal distributions in the tunnel for preventing system failure. In this study, w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re on a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in a large fabric store with some fire scenarios with different combustibles.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system failures was assumed to be $200^{\circ}C$. As a result, the highest temperature was predicted in the ceiling part due to the effect of a ceiling jet, and the fire safety of the screen was secured at distances of 20 to 30 m according to the heat release rate. To prevent the inflow of smoke into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maintain more than 5 Pa if positive pressure inside the smoke scr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designing a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Dong Gyun Park, "The failure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It's Implication of the Multi-Utilization Facilities Fire Model - with the Case of Seomun Market Fir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19, no. 1, pp. 201-217, 2006.
  2. Sungyong Bae, Kyoung-Chul Ro, Hong Sun Ryou,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Fire Growth on the Evacuating Characteristics in the Carriage Fire", In: Proceedings of 2009 Autumn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881-886, 2009.
  3. Yong Jun Jang, Won-Hee Park, Woo-Sung Jung and Chang Hyun Le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ssenger Evacuation Results Using CFAST and FLUENT", Proceedings of 2007 Autumn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348-1355, 2007.
  4. Chan sol Ahn, "A Study for Estimation of Ventilation Capacity of Large Enclosure Considering Evac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5, pp. 7-12, 2012. DOI: https://doi.org/10.9798/KOSHAM.2012.12.5.007
  5. DEARDORFF, James W, "Numerical investigation of neutral and unstable planetary boundary layer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29, no. 1, pp. 91-115, 1972. https://doi.org/10.1175/1520-0469(1972)029<0091:NIONAU>2.0.CO;2
  6. EVANS, David D. Ceiling jet flow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 pp 2.32-2.39, 1995. DOI: https://doi.org/10.1175/1520-0469(1972)029 <0091:NIONAU>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