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asures to Create Local Webtoon Ecosystem

지역웹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 최승춘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대학원) ;
  • 윤기헌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4.04
  • Accepted : 2018.06.12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cartoon industry in Korea has continued to decline due to the contraction of published comics market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comic books rental stores until the 2000s when it rapidly started to experience qualitative changes and quantitative growth due to the emergence of webtoon. The market size of webtoon industry, valued at 420 billion won in 2015, is expected to grow to 880.5 billion won by 2018. Notably, most cartoonists who draw cartoon strips are using digital devices and producing scripts in data, thereby overcoming the geographical, spatial and physical limitation of contents. As a result,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of local ecosystems is generated. While the infrastructures of human resources are steadily growing by region, cartoon industries that a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olicy have shown good performance combined with factors of creative infrastructures in local areas such as webtoon experience centers, webtoon campuses and webtoon creation centers, etc.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cartoon infrastructures are substantially based on a capital area which leads to an imbalanced structure of cartoon industry. To see the statistics, companies of offline cartoon busines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ake up 87%, except for distribution industry. In addition, companies of online cartoon business which are situated outside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m merely 7.5%. Studies and research on local webtoon are inadequate. The existing studies on local webtoon usually focus on its industrial and economic values, mentioning the word "local" only sometime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local webtoon of the present time for the current state of local cartoon ecosystem, middle and long-term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an alternative in the future. Main challenges include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njoy cartoon cultures, the independence of cartoon infrastructure, and the settlement of regionally specialized cartoon cultures. It means that, in order to enable the cartoon ecosystem to settle down in local areas, it is vital to utilize and link basic infrastructur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ependence and autonomy beyond the limited support by the government. Finally, webtoon should be designated as a culture, which can be a new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local webtoon. Furthermore, desirable models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and studied, which are suitable for each region and connect them with regional tourism, culture and art industry. It will allow the webtoon industry to soft land in the industry. Local webtoon, which is a growth engine of regions and main cont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be a momentum for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reindustrialization of regions.

한국 만화산업은 출판만화시장의 축소와 만화대여점의 몰락 등으로 꾸준히 쇠퇴를 거듭하다 2000년대 이후 웹툰의 등장으로 급격한 질적 변화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가져왔다. 만화라는 단어는 웹툰의 광의적 의미로 해석되고 있으며, 웹툰은 만화의 포괄적인 개념까지 승계 받고 있다. 웹툰은 디지털기기를 사용하고 데이터화된 원고를 생산, 제공함으로서 콘텐츠의 지역적, 공간적, 물리적 한계를 뛰어 넘고 있다. 더구나 지역별 인적인프라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정부의 만화산업 지원정책과 맞물려 웹툰체험관, 웹툰캠퍼스, 웹툰창작센터 등의 창작인프라가 지역에 구축되어 활발한 움직임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웹툰은 지역 성장론과 지역분권에 맞는 산업적 모델로 인식받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도권과 부천 중심으로 만화인프라가 심각하게 편중되어 불균형한 구조로 놓여있는 현실이다. 만화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웹툰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성장한 짧은 만화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역웹툰 역시 성장의 초기단계에 진입했을 뿐이다. 만화의 인적인프라와 웹툰의 창작인프라로 활성화된 지역웹툰은 창작시설의 구축완료 이후 향후 성장 동력의 연구와 대안이 절실한 상태이며, 지속적 발전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웹툰이 지역발전의 새로운 방향인 '문화'로 지정되어 이와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만화콘텐츠를 개발, 지역의 관광, 문화, 예술 산업과 연계하는 모델이 꾸준히 개발되어야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서 지역 웹툰이 지방분권과 지역산업 부흥의 작은 모멘텀으로 작용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기, 한국 웹툰 산업의 글로벌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경영대학 석사학위논문 (2016.12)
  2. 김병수, 이원석, 3차 만화산업중장기발전계획 수립과 전문인력양성 정책,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제32호(2013), pp.161-199.
  3. 임학순, 만화클러스터에 대한 만화창작인력의 인식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제36호, (2014), pp.611-612.
  4. 이진희, 김병수, 지역 중심의 만화 창.제작센터 구축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제45호(2016), p170.
  5. 윤기헌 외, 웹툰 통계 분석을 통한 한국 웹툰의 특징,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제38호 (2015), p181.
  6. 순천시, 글로벌 웹툰 창작 센터 구축을 통한 만화도시 기본 계획 수립연구 용역, (2016.12), p.55.
  7.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5-2017 웹툰창작체험관 성과 평가 및 발전 방안보고서, (2018.1), pp.4-44.
  8. 문화체육관광부, 만화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2014-2018), (2014.5), p.5.
  9.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7만화산업 육성 중장기계획요약, (2014.5), p.1.
  10.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7콘텐츠산업통계조사결과(2016년 기준), (2018,6), pp.3-4.
  11. 한국콘텐츠진흥원,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보고서 요약문,(2015.6), p.6.
  12. 후쿠오카현, 일본.아시아 팝컬쳐 사이트, http://asianbeat.com/ko/feature/issue_spot/ktqmm/, 2017.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