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a Low-cost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저가 VR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Lim, Eun-Su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 Yun, Sung-Yi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 Ko, Yong-Suk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 Jung, Ha-Young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 Choi, Hong-Sub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임은수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 윤성의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 고영석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 정하영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 최홍섭 (대진대학교 전자공학과)
  • Received : 2018.06.28
  • Accepted : 2018.07.25
  • Published : 2018.07.31

Abstract

Currently the bottleneck in virtual reality's commercialization might be that high cost VR equipment is needed and interesting VR contents are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se problems by implementing low-cost VR system with wireless controller and HMD(Head Mounted Display) using a smart phone and PC. The functions of real HMD are simulated by utilizing the display and embedded sensors of a smart phone. In that situation PC is in charge of processing huge data and is communicated with smart phone. And wireless controller is designed to make VR user's movement to be free. In addition, we made the several VR contents for testing our prototype system directly. Easy access to VR equipment could induce increasing number of users and investment. And it will be a big step toward improving VR technology and its commercialization.

현재 가상현실 상용화의 문제점은 사람들이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수십만 원을 호가하는 가상현실 장비들이 필요하다는 것과 가상현실을 즐길 만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과 PC를 활용하여 별도의 비용 없이 HMD(Head Mounted Display)의 기능을 구현하고 무선으로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가상현실은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PC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내장 센서를 이용하여 P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HMD의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무선 컨트롤러를 제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의 테스트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고가의 장비 없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선환경에서 벗어나 무선 환경에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이렇게 가상현실을 쉽게 접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가하면 개발에 많은 투자가 됨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 발전과 상용화에 많은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 A. Jung, "A study on the gesture UI to tele-presence in VR game", Dept. of Image Design Major, Hanyang University (Master), pp.1-32, 2017
  2. I. K. Cheon, "Android programming to illustrate easily", saengneung Publishing Co, vol. 3, pp.1-976, 2015.
  3. H. S. Kim, " Implementation of VR object Control system using Tilt/Campass Sensors",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Dongshin University (Master), pp.22-30, Feb 2012.
  4. J. H. Hwang, "Real-time VR Strategy Chess Game using Motion Recognition", Journal of DCS, Vol.18, No.1, pp.1-7, Feb. 2017 https://doi.org/10.9728/dcs.2017.18.1.1

Cited by

  1. Development of Emotion Analysis Platform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VR Media Content vol.19, pp.10, 2018, https://doi.org/10.9728/dcs.2018.19.10.1887
  2. Display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ol.19, pp.12, 2018, https://doi.org/10.9728/dcs.2018.19.12.2423
  3. An Eye-tracking Study of Virtualgraph Contents in Mobile Commerce vol.22, pp.10, 2018, https://doi.org/10.9728/dcs.2021.22.10.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