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Chwihyanggyo Bridge and the Creation of the Hyangwonjeong in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景福宮) 향원정(香遠亭)의 조성시기(造成時期)와 취향교(醉香橋)의 원형(原形)

  • Nam, Ho Hyun (Gangwh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Tae Min (Gangwh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남호현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
  • 김태민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8.09.29
  • Accepted : 2018.11.13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Hyangwonjeong and Chwihyanggyo located in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have mainly been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reign of King Gojong and various drawings thought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Because the current Chwihyanggyo was rebuilt temporarily after being burned to the ground during the Korean War, its form and the location of its reconstruction are not grounded on any accurate historical investig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photos of the Chwihyanggyo that were taken between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r or when they were taken, and it is hard to see which photos show the original Chwihyanggyo Bridge with the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is currently promoting the restoration of the Chwihyanggyo, has recognized this problem and initiated research on the matter. In 2017, an excavation survey successfully identified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Chwihyanggyo, as well as that of Hyangwonji Gado (假島), and the shape of the first foundation stone in the pier. With thes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ways in which the Chwihyanggyo has changed over the years. Moreover, by measuring the 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of the samples collected in the mounding layer of the Gado where the Hyangwonjeong is located, it was discovered that the Hyangwonjeong was constructed sometime after the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means that the theory that 'the late Joseon Hyangwonjeong was not the former early Josenn Chwirojeong' is groundless. Judging by the materials found to date, we can reasonably assume that the Chwihyanggyo and Hyangwonjeong must have been built around the same time that Geoncheonggung Palace was founded in the late Joseon period.

경복궁의 후원에 위치한 향원정과 취향교는 고종 연간의 관련 사료와 조선 후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몇몇 도면에 의지하여 연구되고 있었다. 현재의 취향교는 한국전쟁을 거치며 전소된 것을 종전 후 임시적으로 재건한 것이기 때문에 형태를 비롯하여 재건 위치도 정확한 고증을 거친 것이 아니다. 구한말~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과 이를 묘사한 그림엽서 따위가 일부 남아있지만 촬영 주체나 시기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여 어떤 사진이 취향교의 원모습을 담은 것인지 판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2017년 취향교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조사를 통해 취향교의 원위치와 교각 주춧돌의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취향교의 변화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최초의 취향교는 상판이 약한 아치를 그리는 3렬의 교각열을 가진 형태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교각열이 늘어난 평교형태로 변화한 것이 밝혀졌다. 또한 향원지 내 가도(假島)의 성토층에 대한 AMS연대측정을 통해 향원정이 임란 이후에 조성되었음이 판정되어 기존에 제기되던 '조선 전기 취로정 전신설'은 근거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발굴조사 및 사료검토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면 취향교와 향원정의 조성 시기는 조선 후기 건청궁의 건립연대와 평행할 가능성이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국역본 DB
  2.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국역본 DB
  3. 宮闕志,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4. 北闕圖形,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5. 景福宮配置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6. 景福宮全圖,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7. 景福宮圖,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8. 都城圖,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9. 彰義門 (壯洞八景帖 中), 정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0. 濬川事實 舟橋指南,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1. 朝鮮總督府(景福宮)敷地平面圖, 국가기록원 소장
  12. 문화재청, 2002,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13. 문화재청, 2013, 보물 제1761호 경복궁 향원정 정밀실측 보고서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북궐도형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景福宮 發掘調査報告書 3 - 咸和堂 ․ 緝敬堂 行閣址
  1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조선왕실 건축도면
  17.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8, 경복궁 발굴조사보고서 - 취향교지-
  18.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5,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19.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2015, 서울 2천년사 13: 조선시대 서울의 도시경관
  20. 중앙문화재연구원, 2003, 景福宮 건청궁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1. 남호현, 2016, 조선 궁궐의 주거공간, 민속원
  22. 문화재청, 2007, 景福宮 變遷史 : 경복궁 변천과정 및 지형분석 학술조사 연구용역. 上, 下, 문화재청
  23. 김동욱, 2001,경복궁 건물배치의 '삼문삼조'설에 대한 의문 건축역사연구 10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4. 박정해, 2013,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향토서울 83호, 서울특별시 시사 편찬위원회
  25. 이혜원. 2008, 景福宮 중건 이후 殿閣構成의 변화-경복궁배치도와 북궐도형을 중심으로- 경기대박사학위논문
  26. 한동수, 2014,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경복궁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4호, 한국건축역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