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Status, Construction Type and Stability Considerations for Fortress Wall in Hongjuupseong (Town Wall) of Hongseong, Korea

홍성 홍주읍성 성벽의 보존상태 및 축성유형과 안정성 고찰

  • Park, Junh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박준형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8.05.21
  • Accepted : 2018.08.19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exactly when the Hongjuupseong (Town Wall) was first constructed, due to it had undergone several times of repair and maintenance works since it was piled up newly in 1415, when the first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jong (the 5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Parts of its walls were demo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leaving the wall as it is today. Hongseong region is also susceptible to historical earthquakes for geological reasons. There have been records of earthquakes, such as the ones in 1978 and 1979 having magnitudes of 5.0 and 4.0, respectively, which left part of the walls collapsed. Again, in 2010, heavy rainfall destroyed another part of the wall. The fortress walls of the Hongjuupseong comprise various rocks, types of facing, building methods, and filling materials, according to sections. Moreover, the remaining wall parts were reused in repair work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re reflected vertically in the wall. Therefore, based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walls, the Hongjuupseong was divided into type I, type II, and type III, according to building types. The walls consist mainly of coarse-grained granites, but, clearly different types of rocks were used for varying types of walls. The bottom of the wall shows a mixed variety of rocks and natural and split stones, whereas the center is made up mostly of coarse-grained granites. For repairs, pink feldspar granites was used, but it was different from the rock variety utilized for Suguji and Joyangmun Gate. Deterioration types to the wall can be categorized into bulging, protrusion of stones, missing stones at the basement, separation of framework, fissure and fragmentation, basement instability, and structural deformation. Manually and light-wave measurements were used to check the amount and direction of behavior of the fortress walls. A manual measurement revealed the sections that were undergoing structural deformatio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light-wave measurement, the two monitoring methods proved correlational. As a result, the two measuring methods can be used complementarily for the long-ter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wall. Additionally, the measurement system must be maintained, managed, and improved for the stability of the Hongjuupseong. The measurement of Nammunji indicated continuing changes in behavior due to collapse and rainfall. It can be greatly presumed that accumulated changes over the long period reached the threshold due to concentrated rainfall and subsequent behavioral irregularities, leading to the walls' collapse.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of the six grades of management from 0 to 5 have been made, to manage the Hongjuupseong more effectively. The applied suggested grade system of 501.9 m (61.10%) was assessed to grade 1, 29.5 m (3.77%) to grade 2, 10.4 m (1.33%) to grade 3, 241.2 m (30.80%) and grade 4. The sections with grade 4 concentrated around the west of Honghwamun Gate and the east of the battlement, which must be monitored regularly in preparation for a potential emergency. The six-staged management grade system is cyclical, where after performing repair and maintenance works through a comprehensive stability review, the section returned to grade 0.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oroughly and evaluate grades on a regular basis.

홍주읍성의 초축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문종 1년 축조 이후 수십 차례에 걸친 보수와 정비를 거쳤으며, 일제강점기에 일부 성벽이 훼철되면서 오늘날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 홍성은 지구조적으로 지진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역사지진 기록이 남아 있으며, 1978년과 1979년에 각각 규모 5.0과 4.0의 지진이 발생하여 성벽 일부가 붕괴된 바가 있다. 2010년에는 집중강우에 의해 성벽이 붕괴되기도 하였다. 홍주읍성 성벽은 구간에 따라 다양한 구성암종, 치석형태, 축조방식, 채움재료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보수과정에서 기존의 성벽을 훼철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시대에 따른 특성이 성벽에 수직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홍주읍성의 유형분류는 성벽의 수직적 분포를 기준으로 나누었으며, 축성유형의 수직적 개수에 따라 유형 I, 유형 II, 유형 III으로 구분하였다. 성벽에 사용된 암석은 주로 조립질화강암이나 성벽유형에 따라 암종의 차이가 명확하다. 성벽 하부는 자연석 내지 할석을 사용하여 다양한 암종이 혼재되어 나타나나, 중앙부의 치석한 암석은 대부분 조립질 화강암이다. 보수석재는 담홍색화강암이나 수구지와 조양문의 구성 암종은 성벽과 상이하다. 홍주읍성의 대표적인 손상유형은 배부름, 성돌의 돌출, 기초부 성돌의 유실, 부재의 이격, 균열 및 단열, 기초불안정 및 구조적 변형이다. 성벽에 발생하는 거동의 양과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동 간이계측 및 광파측정을 수행하였다. 수동계측 결과, 성벽의 구조적 변형이 진행되는 구간을 분류할 수 있다. 광파측정 자료와 비교한 결과, 두 모니터링 방법은 상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으로 두 계측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홍주읍성의 안정화를 위해 계측시스템은 유지, 관리 및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남문지 일대의 계측결과를 종합할 때, 붕괴된 성벽 또한 강우에 의한 거동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오랜 기간 변위가 누적된 상태에서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한 이상거동에 따라 임계점을 초과하여 붕괴에 이르렀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홍주읍성 성벽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연구결과를 토대로 0등급부터 5등급까지 총 6단계의 관리등급을 제안하였다. 이 관리등급을 적용한 결과, 1등급 501.9m (61.10%), 2등급 29.5m (3.77%), 3등급 10.4m (1.33%), 4등급 241.2m (30.80%)로 나타났다. 4등급 구간은 홍화문 서쪽과 치성의 동쪽에 밀집된 양상으로 나타나며, 상시 모니터링 수행을 통해 위험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6단계로 분류한 관리등급은 전체적인 안정성 검토를 통해 수리와 보수가 수행된다면 다시 0등급으로 회귀하는 윤회적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정밀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등급의 평가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질조사소, 1963, 홍성도폭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pp.1-16
  2. 기상청, 2012, 한반도 역사지진기록 기상청, pp.1-280
  3. 기상청, 2016, www.kma.go.kr
  4. 박성흥, 1995, 홍주주류성고 홍성문화원, pp.1-126
  5. 서정석, 2002, 백제의 성곽 학연문화사, pp.1-338
  6. 서정석, 2014, 경부자은의 백제 성곽 연구 백제문화 51, pp.205-225
  7. 오창환, 2012, 원생대 이후 트라이아스기까지의 남한과 동북아시아의 지구조 진화 암석학회지 21, pp.59-87
  8. 조영훈.이찬희, 2015, 한양도성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한 고문헌 분석 및 암석학적 데이터베이스 구축 암석학회지 24, pp.193-207
  9. 최종규, 2012, 서울 한양도성의 축성시기별 성벽 형태 및 구조 고찰 서울학연구 47, pp.67-117
  10. 한건택, 2013, 홍성의 홍주목관아와 전영 관련 역사문화자원과 활용방안 충청학과 충청문화 16, pp.57-65
  11. 홍성군, 1925, 홍성군지 홍성군, pp.1-350
  12. 홍성군, 2016, 홍성 홍주읍성 정밀진단용역 보고서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p.1-282
  13. 홍주대관편찬위원회, 2002, 홍주대관 홍성군, pp.1-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