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eriving the Items related to Investigation and Planning for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Scenic Sites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및 계획 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Jae-Yong (Depart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18.06.30
  • Accepted : 2018.08.14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cavate the items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analyze the needs of them. In this sense, based on 35 reports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established between 2006, when scenic sites started to be designated, and 2017, the items used in 'investigation field' and 'planning field' were examined, and then a survey regarding the needs of the items was conduc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argeting officials at 60 local governments in the whole country. Of 60 local governments, opinions from 48 officials at 45 local governm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their opinion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0.968 and 0.970 for 'investigation field' and 'planning field', respectively, showing high reliabil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pinions generally expressed the needs of 6 items of 'investigation field'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Especially, the needs to investigate 'historic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humanistic environment', and 'landscape' turned out to be high. In addition, as for 'general environment' and 'users', the needs of specific items such as 'distribution of mai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 sites' (4.04) and 'acceptance of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interested parties' (4.15) were found to be high. Besides, the items of 'planning field' also turned out to be needed in general (4.0). Particularly, the needs of 'enhancement of designated value and status' (4.26) and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designated areas of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4.25) in 'historical environment', 'maintenance of historic buildings at scenic sites' (4.28) in 'humanistic environment', and 'landscape trail planning' (4.28) in 'landscape' were found to be high. In conclusion, the practical items related to investigation and planning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cenic sit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명승의 종합정비계획 요소를 발굴하고 필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명승의 지정이 확대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7년 사이에 수립된 35건의 종합정비계획 보고서를 토대로 '조사 분야'와 '계획 분야'에 사용된 항목을 검토하여 전국 60개 지자체의 명승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필요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국 60개 지자체로부터 회수된 45개 설문지에 대한 실무 담당자 48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응답에 대한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를 수행하였으며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Alpha)가 조사 분야에서 0.968, 계획 분야에서 0.970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설문조사결과, 종합정비계획의 6개 조사 분야에 대한 항목의 필요도에서도 전반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었다. 특히, '역사환경'과 '자연환경', '인문환경', '경관'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일반환경'과 '이용자'부문에서도 주요 문화재 및 유적의 분포(4.04), 지역주민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4.15) 등 특정 항목에 대한 필요성도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계획 분야에 대한 항목의 필요성에서도 대체적으로 필요(4.0)의 수준으로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역사환경'의 지정가치 및 위상강화(4.26), 문화재 지정구역 및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의 정비계획(4.25), 그리고 '인문환경'의 명승 내 역사적 건축물에 대한 수리(4.28), '경관'부문의 경관탐방로계획(4.28)에 대한 항목들은 필요도가 높았다. 이처럼 명승의 종합정비계획 수립에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조사와 계획 항목들은 새로 마련된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지침"과 함께 종합적 차원에서 명승의 효율적인 보존과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웅, 김승민, 2014,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3호, pp.191-20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91
  2. 김진영, 2016, 명승의 전통적 개념 고찰을 통한 명승제도 개선방안 연구; 명승의 정의, 지정기준,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8
  3. 김창규, 2013,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범과 정책연구, 제13권 3호, pp.1211-1246
  4. 강영애, 노재현, 김현, 2016, 명승 영월 청령포의 경제적 가치 추정과 보전기금 지불의사 결정요인 관광연구, 제31권 6호, pp.151-170
  5. 노재현, 이현우, 2016, 별서 명승 김천 방초정(芳草亭)과 최씨담(崔氏潭)의 입지 및 조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4권 1호, pp.71-82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71
  6. 단양군, 2016, 단양지역 명승 종합정비 기본계획수립, p.174
  7. 담양군, 2014, 담양 명옥헌원림(명승58) 보존 및 정비 기본계획, p.43
  8. 문화재청, 2014, 국가지정 명승 유형별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 pp.23-28
  9. 문화재청, 2016, 명승 보존관리 방안(지정구역 기준마련) 연구, pp.63-71
  10. 문화재청, 2017,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연구, pp.92-105
  11. 박근엽, 2008, 명승지정을 위한 경관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섬진강 하류권 사례대상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4
  12. 박정애, 2013, 朝鮮 後半期 關北名勝圖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78호, pp.61-95
  13. 서귀포시, 2013, 제주 서귀포 산방산 안전진단 및 종합정비계획, p.60
  14. 신승진, 2004, 명승지정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영월 동강 어라연 지역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3
  15. 신준, 류제헌, 2017, 전통 명승에 부여된 인문적 가치의 내용과 실제 사례 문화역사지리, 제29권 1호, pp.77-92
  16. 양주미, 2008, 전통원지의 명승지정 요인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5
  17. 오해성, 이원호, 2013, 명승 제35호 성락원에 대한 신귀화식물의 분포특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16권 4호, pp.181-185
  18. 이영배, 류제헌, 2013, 진정성과 완결성에 기초한 명승 보호구역의 타당성 검토 문화재, 제46권 3호, pp.32-47
  19. 이영이, 이진희, 김준, 이재근, 2012, 도서 경관의 명승자원으로서의 가치연구; 명품마을(관매도, 영산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0권 4호, pp.93-101
  20. 이원호, 김동현, 안혜인, 김재웅, 김대열, 조운연, 2014, Transition and Change factors of Scenic Site No.33 Gwanghalluwon Garden(명승 제33호 광한루원의 변천과정과 변화요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12권, pp.13-20
  21. 이원호, 김재웅, 2013,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9호, pp.429-43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429
  22. 이원호, 김재웅, 신현실, 2012,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제34호) 일원의 수체계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제2권, pp.141-145
  23. 이원호, 이세미, 2013, 성락원(명승 제35호) 주변지역 필지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성북동 문화재 주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 31권 2호, pp.82-91
  24. 이진희, 2006, 명승 대상지 평가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동해 무릉계곡, 함양 화림계곡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4
  25. 이종범, 2013, 명승지역 내 주요수목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별서명승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5
  26. 이창훈, 이원호, 2017,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난 명승자원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5권 1호, pp.1-9 https://doi.org/10.14700/kitla.2017.35.1.001
  27. 정산야, 2018, 조선시대 명승 체험 방식의 유형화; 영서 지방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7
  28. 조규희, 2012, 조선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國都) 명승의 재인식 한국문학과 예술, 제10집, pp.147-194
  29. 조영남, 2016, 관동 지방 명승 향유 방식의 변화; 해안 명승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5
  30. 하태일, 2016, 누적가시도를 이용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8
  31. 하태일, 김충식, 2014, 계곡 명승의 효과적인 경관보호를 위한 구역 설정기법 개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3호, pp.183-19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83
  32. 최지영, 이진향, 이재근, 2012, 금선정의 명승적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0권 1호, pp.11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