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Abuse of the Elderly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Bae, Na-Rae (Dept. of Social Welfare, Konyang Cyber University) ;
  • So, Kwon-Seob (Dept. of Healthcare & Welfare, Konyang Cyber University)
  • 배나래 (건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소권섭 (건양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복지학과)
  • Received : 2019.11.05
  • Accepted : 2019.12.0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Our country has become an aging society with unparalleled speed,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Many of the elderly are physically,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dependent; this dependence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cost burden not only on the children and relatives of the elderly, but also at the social level. Under the prevailing environment of the family-oriented informal support system, the burden of support for elderly parents who rely on limited resources is highly likely to lead to abuse. Until now, dealing with the abuse of senior citizens has been mostly a one-off approach through media rather than academic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n objective approach to the elder abuse problem (which has so far been dealt with in the media as a form of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grasp the specificity and factors of elder abuse and to present the Korean situation with regard to elder abuse.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prevent elder abuse in formal and informal ways.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유래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노년층의 상당수는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심리적으로 의존성이 높으며, 이러한 의존성은 노인들의 자녀와 친인척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비용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현재와 같이 가족중심적인 비공식 부양체계가 압도적인 환경 속에서 한정된 자원에 의존하는 노부모 부양부담은 곧 학대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전통적 가치관을 지닌 노년세대와 이에 상충하는 젊은세대의 심리적 갈등은 언제라도 노인학대의 형태로 우리 앞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짐은 이미 우리사회의 한 구석에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변화가 급속히 진전되는 한국사회에서 노년을 위한 제도적인 정책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노인 학대 현상은 더욱 급증 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노인학대는 학문적인 접근보다는 매스컴을 통한 일회성 접근이 대부분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스컴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노인학대 문제를 가정폭력의 한 형태로서 객관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노인학대의 특수성 및 학대요인을 파악해 내고 노인학대에 대한 한국적 상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노인학대를 방지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에서 모색하여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lexis, J. Walker, Sally.S.K. Martin, Laura L. Jones. "The Benefits and Costs of Caregiving and Care Receiving for Daughters and Mothers", Journal of Gerontology, Vol 47, No.3, pp130-139, 1992. DOI: https://doi.org/10.1093/geronj/47.3.S130
  2. Block, M. J. Sinnott. "Elder abuse:The Hidden Problem.", Briefing by the Select Committee on Aging, U.S.House of Representatives(96) June 23. Boston, MA. pp10-12, 1979.
  3. Hickey, T., Douglass, R.L."Mistreatment of the Elderly in the Domestic Setting: An Exploratory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71, No.5, pp500-507, 1981. DOI: https://doi.org/10.2105/ajph.71.5.500
  4. Sofia,L.F,.Marília,S.S,.Pedro,N,.Teresa,M. "Domestic violence against elderly with disability, Journal of Forensic and Legal Medicine, Vol 28, November, pp19-24, 2014. DOI: https://doi.org/10.1016/j.jflm.2014.09.003
  5. M.C. Bond, K.H. Butler."Elder abuse and neglect: definitions, epidemiology, and approaches to emergency department screening". Clin Geriatr Med,. Vol 29, No.1, pp257-273,2013. DOI: https://doi.org/10.1016/j.cger.2012.09.004
  6. C.A. Walsh, J.L. Olson, J. Ploeg, L. Lohfeld, H.L. MacMillan. "Elder abuse and oppression: voices of marginalized elders", Journal of Elder Abuse and Neglect, Vol 23, No.1, pp17-42, 2011. DOI: https://doi.org/10.1080/08946566.2011.534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