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atholic priests' casula wear

가톨릭 사제의 제의(祭衣)착용에 나타난 의미 연구

  • Yeo, Seungwha (Dept.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 Konkuk University) ;
  • Lee, Sang-Eun (Dept. of Fashion Design, Konkuk University)
  • Received : 2019.07.12
  • Accepted : 2019.11.21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asula wearing by Catholic priests. By understanding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riests' wearing of casula,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wearing casula, situational judgment, and the role and status of priests. Ultimately, the Catholic symbol and meaning of the casula can be f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sic setting of the casula,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riest, and the origin of the casula. Secon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design of the pattern shown in the casula. The patterns containing the symbol and the liturgical period were examined,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pattern design was considered. Third, various symbols appearing in examples of priests' ritual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various pictures acquired during interviews with priests and nuns and to perform content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spects of form, color, and pattern were shown through the wearing of casula during various situations. First, the morphological symbols appearing in the rituals are the simplified casula that hangs on the stola on the top of the alb and the symbols of the form according to the priest's status. In the liturgy, the casula is put on the outermost side as for basic wearing, but in the case of celebration or the attendance at celebrations other than the liturgy, it is the same as simplified wearing. Second, in terms of the symbol and color, the basic colored casulas were worn to match the time and character of the liturgy, and in addition, on the priests' ordination ceremony and celebration day the priests wore white casulas. Third, the symbol of the pattern used in the casula was a Cathoric pattern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e basic casula wearing of the liturgy. In addition, the patterns were produced by combining the patterns and meaning of the priests that were used in the casulas of the priests' ordination ceremony. The design of the pattern used in the beatification mass casula and the Mass of Peace casula during the Pope's visit to Korea in 2014 used the same motif as the Pope's design, but the simplified pattern was produced for the casula of the Cardinal and bishop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where a morphological symbol appears due to a distinction according to the role and status of the priest. This shows that the symbols that appear are the cross and should also consider the complexly, shape, color, and pattern.

Keywords

References

  1. 가톨릭신문. (2014. 4. 27). 청주교구 김병철신부 사제수품 금경축 축하식. 자료검색일 2019. 7. 4, 자료출처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60841
  2. Goldbrunner, Josef (1964). 교사용 가톨릭 교리. 서울: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3. 김광경. 전정미. 남미우. (1999). 관찰자의 종교와 가치관이 가톨릭 사제복의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11), 59-73.
  4. 김남수(1998). 모두 하나가 되게 하소서; 김남수 안젤로 주교님 사제서품 50주년 회고록. 수원: 천주교 수원교구.
  5. 김명식. (1980). 가톨릭교회의 전례복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학사학위논문.
  6. 김운종(2000). 전례복의 상징적 의미와 기원. 가톨릭대학교 학사학위논문.
  7. 김정진. (2000). 50년간 사제생활의 회고담; 나의 사제 생활의 신념과 지침의 이모저모. 사목연구, 8, 285-292.
  8. 김정희. (1981). 한국 가톨릭 복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9. 김종익. (2012). 그리스도교의 상징들. 서울: 가톨릭.
  10. 김지훈. (2018). 성품성사예식을 통해 바라본 사제 정체성에 대한 고찰; 사제 서품예식을 중심으로. 대전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선. (1993). 현재 우리나라 가톨릭 사제복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복식문화연구회지, 1(1), 69-80.
  12. 남정률. (2006. 3. 26). 가톨릭대 정의철, 구요비, 최기섭, 정구현, 박일 신부 합동 은경축. 가톨릭평화신문. 자료검색일 2019. 00.00, 자료출처 http://www.c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fid=1437&cat=&cid=185368&path=200603
  13. 박영순. (1990). 한국 가톨릭교 전례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일. (2001). 2002년 전례력. 서울 :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15. 박종인. (2016). 교회상식 속풀이. 서울: 바오로딸.
  16. 박준성. (2017. 6. 24).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 31명은경축 축하미사 봉헌. 천지일보. 자료검색일 2019. 7. 4, 자료출처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387
  17. 베니. (2019. 8. 7). 대주교님 사제들 공동집전 장례미사. 자료검색일 2019. 8. 8, 자료출처 https://blog.naver.com/veni55/221608854401
  18. 서기옥. (1975). 제의에 관한 소고. 가톨릭대학교 학사학위논문.
  19. 손희송. (2008). 미사 마음의 문을 열다. 서울: 생활성서사.
  20. 스승예수의 제자수녀회. (2003). 자료검색일 2019. 6. 2, 자료출처 http://www.pddm.or.kr/
  21. 안문기. (2007). 은혜로운 계절 축제. 서울: 가톨릭.
  22. 안성노. (1985). 전례복과 상징. 가톨릭대학교 학사학위논문.
  23. 양리나. (1994). 카톨릭교 전례복에 관한 연구-독일 Paderborn과 Keverlaer 의 전례복 회사를 중심으로-. 자연과학논문집, 7, 133-162.
  24. 윤종식. (2013). 천주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장례예식에 대한 고찰, 그리고 사목적 모색. 한국가톨릭신학학회지, 23, 1-38.
  25.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2015). 제의 영원한 사랑 순결한 옷. 부산: 순교의 맥.
  26. 이관홍. (2006). 성품성사 예식서에 나타난 주교, 사제, 부제의 직무와 영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성운. (2008). 가톨릭 교리 요약 교리문답. 서울: 기쁜소식.
  28. 이지훈. (2019. 7. 30). 이찬 토마스아퀴나스 첫미사집전. 한국일보. 자료검색일 2019. 8. 15, 자료출처 http://www.koreatimes.com/article/1260815
  29. 장신호. (2006). 사제서품 예식에 나타난 사제의 관계성. 가톨릭 사상, 35, 187-240.
  30. 정의철. (1997). 전례봉사. 서울: 생활 성서.
  31. 천주교 대구대교구. (2017). 천주교 용어집(개정증보판). 서울: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32. 천주교 대구대교구. (2000). 성유축성미사. 대구: 주교회의 천주교용어위원회
  33. 천주교 수원교구 복음화국. (2016). 합당한 준비 능동적 참여. 수원: 하상.
  34. 최윤환. (1995). 전례와 선포. 화성: 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35. 한경애. (1990). 가톨릭교 전례복에 관한 연구; 전례복 증 제의의 형태, 문양, 기법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Dalmais, I. H. (1996). 전례주년.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37. Inos Buffi. (2013). 미사의 역사. 서울: 가톨릭.
  38. Lameri, A. (2017). 전례적 표징과 예식 그리고 신비-전례의 소통적 측면-. 인천: 가톨릭대학교출판부.
  39. Plazidus, B. (1980). 전례주년과 빠스카 신비. 칠곡: 분도.
  40. Richard, W. C. (2017). 종교의 이해; 종교의 방법론과 원시종교 연구. 서울: 지식과 교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