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up-cycling cultural products using Hangul calligraphy

한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업 사이클링 문화상품 개발

  • Han, Yeon-Hee (Dept. of Fashion Design, Soongeui Women's College)
  • 한연희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9.10.24
  • Accepted : 2019.12.03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up-cycling design applied with Hangeul calligraphy on outdated clothing materials, and recreating them as eco-friendly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geul calligraphy enhances creativity and scarcity by expressing an unformatted analog sensibility in the digital era and further emphasizes the differentiated high value-added aspect of the produc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ing design products represent eco-friendliness, handcrafting, non-fabrication, originality, scarcity, storytelling, and customization. Third, the author made 11 up-cycling cultural products using Hangeul calligraphy, applying it to discarded jeans and pieces of cloth. Fourth, the phases of making cultural products are divided into planning and production. In the planning phase, items and materials are decided upon, design sketches are made, and in the production phase the items go through partial dismantlement, separation, reconstruction, collabo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calligraphy printing. Along with the beautiful and lyrical sensibility of Hangul, it was shown that up-cycling using Hangeul calligraphy, which has excellent originality and practicality of design, can be expanded to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훈. (2013). 한글 캘리그래피를 이용한 티셔츠 디자인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1(5), 684-698.
  2. 박순옥. (2008). 세계화를 위한 한국문화상품의 분석적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7, 81-83.
  3. 박주희, 김윤희. (2014). 폐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복식, 64(8), 138-154. https://doi.org/10.7233/jksc.2014.64.8.138
  4. 박지연. (2013). 업 사이클링 리 디자인 의상개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해인, 곽태기. (2017). 업사이클 브랜드 패션가방제품의 표현특성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20). 1-14.
  6. 박효주, 김경희. (2018). 업사이클 디자인 특성에 따른 패션디자인연구, 패션과 니트, 16(1), 44-55.
  7. 송재민, 김지영, 최종명. (2017). 한국의 세계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한자 글자꼴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5(5), 611-628. https://doi.org/10.29049/rjcc.2017.25.5.611
  8. 성현진, 정재훈. (2017). 현대패션디자인에 활용된 한글의 조형성 및 내적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3). 17-33.
  9. 신순범, 엄기서. (2005). 캘리그래피의 특징과 중요성에 대한 조형적 분석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8(2). 157-165.
  10. 신준용, 박영순, 정의철. (2011). 소재와 문양분석을 통한 사이버 쇼핑몰의 전통문화 상품 디자인특성고찰. 한국디자인포럼, 31, 235-244.
  11. 안인숙, 김호경. (2018). 폐기된 청바지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연구. 복식, 65(1), 76-88. https://doi.org/10.7233/jksc.2015.65.1.076
  12. 양진숙, 박효은. (2012). 재활용 섬유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1), 190-198.
  13. 왕경희. (2014). 업 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 337-351.
  14. 윤을요, 박선경. (2009). 한글 캘리그래피 패션에서 나타난 아날로그적인 감성. 기초 조형학 연구, 10(5), 301-312.
  15. 이향재. (2017). 캘리그래피의 감성융합 특성과 브랜드 가치. 조형미디어학, 20(1), 180-188.
  16. 정흥균. (2017). 한글 캘리그래피 디자인의 해체적 표현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지, 51, 143-152.
  17. 조재승. (2008). 한글을 소재로 한 문화예술 및 문화상품 디자인 활용방안 연구. 과학과문화, 5(4), 51-62.
  18. 홍종선. (2008). 한글문화의 발전과 세계화. 한국어학, 41, 157-182.
  19. 곽선미. (2019. 10. 11). '파타고니아, UN 지구환경대상 '기업가 비전' 수상'.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19. 10. 13,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74660
  20. 김민지. (2018. 6. 6). 패션업계에 부는 친환경 바람, 지속가능한 패션 주목. 에너지경제. 자료검색일 2018. 9. 16, 자료출처 http://m.ekn.kr/section_view.html?no=366403#_enliple
  21. 문화상품. (2016). 국립국어원. 자료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2bd066186341481da1dac7b76607dde8
  22. 백수진. (2019. 10. 9). 세계인이 뽑은 아름다운 한국어 (1) 사랑 (2) 안녕 (3) 아름답다 (4) 별.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9. 10. 9, 자료출처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09/2019100900301.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23. 업사이클링? 리사이클링?: 디자인 이슈 45. (2017). 서울디자인재단. 자료검색일 2018. 10. 12. 자료 출처 http://www.seouldesign.or.kr/board/32/post/101934/detail?menuId=29&boardCateId=4
  24. 유인근. (2019. 9. 13). '새 옷보다 나은 헌 옷' 파타고니아 코리아, 의류 무상수선 서비스 캠페인 전개'. 스포츠서울. 자료검색일 2019. 9. 15. 자료출처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818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