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패션분야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학습 모형 개발 - NCS 패션분야 중심으로 -

Educaction program development applying capstone design for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in the fashion field

  • 김신우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Kim, Shin Woo (Dept. of Human Envirment & Design, Yonsei Uniersity) ;
  • Kim, Young In (Dept. of Human Envirment & Design, Yonsei Uniersity)
  • 투고 : 2019.11.15
  • 심사 : 2019.12.10
  • 발행 : 2019.12.31

초록

In this paper, Capstone Design Education Program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and recommended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armed with practical competences and real cooperative capabilities. In this era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the fashion world needs human resources with cooperative skills and true professional abilities. A case analysis, an in-depth interview, and 1,2 test method were used for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described below. First, this program needs to complement the NCS fashion design learning module. Second, material changes to creativity and practical competencies -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 of the students are assessed after applying Capstone Design to the NCS fashion design learning model. Third, the process of converging fashion curriculum with IT and electronic technology, developing a fashion design learning program, and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was tes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t fashion design education. Among the changes observed between the trial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sub-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i.e. self-assurance and openness, were increased along with knowledge, core competences including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greatest improvement on the technological side was observed in IT literacy while ability to respond to changes was also increased. Besides, effects were demonstrated in behavioral factors such as initiative, spirit of challenge, experience, and openness. Lastly,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Program Learning Model was proposed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talents in the fashion worl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희. (2015). 능력중심사회 조성을 위한 NCS의 과제. Public Administration Focus, 11(12), 12-15.
  2. 김선영. (2013). 디자인교육과 창의성-융합과 집중. 서울: 집문당.
  3. 김세희. (2016). 패션 기획 분야 국가 직무 능력표준(NCS)의 개발.보완 현황 고찰 및 도입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0(1), 69-80. https://doi.org/10.5850/JKSCT.2016.40.1.69
  4. 김소한.(2013. 12. 19). NCS가 교육현장에 정착 되려면. 한국교육신문, 자료출처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43078
  5. 김승인, 전수정. (2013). 융합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 13(2), 128-136.
  6. 김영석.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따른 디자인 계열의 특성화 전략 -M.E. Porter의 가치사슬분석(Value Chain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12, 395-408.
  7. 김영채. (2007).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8. 김주희. (2016). NCS기반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칠순, 장영수. (2014). 창의성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독일의 교육 시스템 및 포르츠하임 조형대학과 베를린 예술디자인대학 교과과정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5), 745-755. https://doi.org/10.5805/SFTI.2014.16.5.745
  10. 김필수. (2016. 9. 12). 자동차 분야의 대학교육,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무분별하고 획일적인 적용으로 부작용 심각하다. 한국경제, 자료출처 https://www.hankyung.com/thepen/article/58178
  11. 김현정. (2014). 융합인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상호보완적 디자인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박훈. (2014). 패션디자인과 ICT 융복합 활성화를 통한 패션의류산업의 신성장 전략. 산업연구원, 14(2), 15-25.
  13. 백재은.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국가역량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호주의 패션디자인 교육시스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3), 309-322.
  14. 성은모, 오헌석, 김윤영. (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3), 543-580.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543
  15. 송지영, 김선화. (2016).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183-19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183
  16. 신창범, 권오성. (2013).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 인터랙션 디자인 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33-42.
  17. 안성로.(2013. 11. 12).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현황과 과제. 신구학보, 자료출처 http://news.shingu.ac.kr/print_paper.php?number=252&news_article=nm_news_article&target=print_paper
  18. 오수진. (2015). 융합형 패션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및 시장 동향. (2015. 2).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26. 자료출처 https://www.bioin.or.kr
  20. 윤명한. (2012). 디자인분야의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 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111-118.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11
  21. 이윤진. (2016. 10). 패션 테크(Fashion Tech)의 글로벌 트렌트 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16(10). 자료출처 http://tradenavi.or.kr
  22. 이지연. (2015).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다학제적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이.(2014),디자인 산업융합전략과 캡스톤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 12(2), 68-72. https://doi.org/10.20924/ccthbl.2014.12.2.068
  24. 임마리.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집행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탐색.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남경. (2015).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1), 1-14.
  26. 조준동. (2015). 창의융합프로젝트 아이디어북. 서울: 한빛아카데미.
  27. 최경희. (2012). 창조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한국의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미국, 유럽, 한국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6(1), 68-83.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68
  28. 최경희. (2013). 패션디자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한.미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원 교과과정 개설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지, 14(4), 517-529.
  29. 최동선. (2013). 직업교육 강화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방향. 교육정책포럼, 246, 13-17.
  30. 하승연,(2011) 뉴욕파슨스(Parson The New School for Design)의 패션디자인 교육과 패션산업 인턴쉽, 패션정보와 기술, 6(8), 20-25.
  31. 한연희. (2014). 캡스톤 디자인 모형에 따른 여성 시니어 의류개발 - 평화시장 여성복 트렌드를 중심으로 -. 패션과 니트지, 12(3), 64-71.
  32. 한경순, 이진화, (2016), 한국의 패션전문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1), 81-99.
  33. Barron, F.,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1), 439-476. https://doi.org/10.1146/annurev.ps.32.020181.002255
  34. Barron, F. (1953). Complexity-simplicity as a personality dimensio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8(2), 163. https://doi.org/10.1037/h0054907
  35. Dellas, M. & Gaier, E. L. (1970).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Bulletin, 73(1), 55-73. https://doi.org/10.1037/h0028446
  36. Kushinke, K. P. (2001). Why hrd is not an academy disciplin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4(3), 291-294. https://doi.org/10.1080/13678860110059357
  37. McLagan, P. A.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43(9), 4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