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the Access Service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cusing on Facet Directory Service

국가기록원의 국가지정기록물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패싯 기반 디렉토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

  • 정미옥 (대구가톨릭대학교 기록대학원) ;
  • 최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 Received : 2019.11.21
  • Accepted : 2019.12.10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is designed to protect valuable civilian records from loss or damage. It also intends that government administrates important civilian records to raise public concerns civilian records and to foster archival culture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s of service fo the designated record through the web page of National Archive of Ko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f designated records is dispersed in two web pages by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an introductive web page of every collection in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and a web page of designated record service. Second, the web page of designated record service provides information of designated records only at collection level, so it is not easy for user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records.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for the designated record service of the National Archive of Korea, this study proposed the unification of dispersed web pages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records consistently. It also suggested a facet based directory service and word cloud service to give access to the contents of each designated record collection. The facet based directory and word cloud service will help users to understand the designated records in more detail.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민간의 기록물을 관리·보존할 수 있게 하고 기록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정기록물 지정 및 국가기록원의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첫째,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관한 정보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로 분산되어 있다. 둘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된 기록물에 관한 정보가 컬렉션 수준으로만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컬렉션 이하 수준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지정기록물의 활용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국가지정기록물에 대한 정보를 국가지정기록물 웹 페이지에서 단일화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가 국가지정기록물 내용과 주제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다각적인 주제와 내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국가지정기록물의 주제 디렉토리와 워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안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향. 2007. 국가지정기록물 지정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기록인, 1: 54-55.
  2. Kim, Se Kyung. 2007. The Transition of Legislations on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in Korea. M.A. thesi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rchival Studies,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3. Nam, Kyoung-hee. 2008. Acquisitionand Management Strategy of Nationa l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4. Lee, Eon-yag. 2016. A Critical Review of National Designated Records: The Cases of Foreig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5. Chung, Eun Kyung. 2007. The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rchiv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Jo, Hye-Min.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and Specialization. M.A. thesis. Wonkwang University
  7. Choi, Jae Ho. 2015. A Study on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System. M.A.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8. 국가기록원 국가지정기록물 개요. [online]. [cited 2019.6.2]. .
  9. 국가기록원 국가지정기록물 지정현황. [online]. [cited 2019.6.2]. .
  1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이하 국가지정기록물 콘텐츠. [online]. [cited 2019.6.2]. .
  11.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이하 민간기록물 관련 코너. [online]. [cited 2019.6.2]. ; .
  12. 국가기록원. 2007. 국가지정기록물 관리체계 구축 및 지정대상 조사용역 최종결과보고서. 대전: 국가기록원.
  13. 국가지정기록물 웹페이지. [online]. [cited 2019.6.2]. .
  14. 국가지정기록물 제3호 이승만 대통령 기록물 해설. [online]. [cited 2019.6.2]. .
  15.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5709호).
  16.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 (법률 제14613호).
  1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79호).
  1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746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