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the production of three envoys at the Joseon tongsinsa festival

조선통신사 축제의 삼사신(三使臣) 조복(朝服) 제작을 위한 제언

  • Received : 2019.03.08
  • Accepted : 2019.06.19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Joseon Tongsinsa Festival has been held annually in May in Busan. It reenacts the procession of the Joseon Tongsinsa that the Joseon Government delegated to Japan four times in the 18th century. In the most important situation during the meandering period, three envoys (Jeongsa, Busa, Jongsagwan) who led the Joseon Tongsinsa, wore Jobok, but at the Joseon Tongsinsa Festival, the three envoys are wearing Jobok, which are not historically accurate. The Jobok called Geumgwan Jobok and were comprised of Yanggwan, Eui, Sang, Jungdan, Peasul, Su, Pumdae, Daedae, Paeok, Hall, Mal, and Hwa. These were ranked from first class to ninth class by personal ornamentation such as Yanggwan, Su, Pumdae, Paeok. So, this study is focused on ascertaining the Jobok of the 18th century for the three envoys who were ranked third grade.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artifacts, and portraits that can depict the 18th century Jobok including all components. It was based on The 7th Korean Human Body Survey Final Report (2015) in order to produce all components of the Jobok of the modern males in their 50s who are playing the role of the three envoys in the Joseon Tongsinsa Festival.

Keywords

References

  1. 구혜자. (2001). 한복만들기-구혜자의 침선노트 (I).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 구혜자. (2010). 한복만들기-구혜자의 침선노트 (III).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3. 국립고궁박물관. (2013).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4.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 2천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5.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6.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1). 상암동 출토 전주이氏 익정(1699-1782년) 유물 연구. 韓國服飾 19, 83-148.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4). 서울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密昌君 服飾考察. 韓國服飾, 22, 132-133.
  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8). 경기도 광주 출토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복식고찰. 韓國服飾 26. 131-254.
  10.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논문.
  11. 사이즈코리아. (2015).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 최종보고서. 충북: 국가기술표준원.
  12. 수원화성박물관. (2013). 번암 채제공. 경기도:수원화성박물관.
  13. 이강철 외 공저. (2003).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서울: 현암사.
  14. 이영주, 이상은. (2014). 지리산 남악제 제례복식에 관한 제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4), 49-62.
  15. 이은주. (2012). 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 복식고증. 服飾, 62(8), 118-133.
  16. 이자연. (2005). 조선통신사일행의 의례와 복식에 관한 연구. 韓服文化, 8(1), 19-30.
  17. 이주영. (2014). 朝鮮信使來聘記錄을 통해 본 1711년 통신사 복식. 韓服文化, 17(2), 59-71.
  18. 장민정. (2017). 단령 제도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3), 159-174.
  19. 장정윤. (2003). 조선시대 문무백관 조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최연우. (2015). 조선후기 관원 조복의 구성과 형태 연구. 韓服文化, 18(3), 131-148.
  21. 최영선. (2004). 조선시대 문무백관 제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2. 박해용 금관조복. 자료검색일 2018. 10. 10, 자료 출처 http://www.heritage.go.kr
  23. 삽은대. 자료검색일 2018. 10. 30, 자료출처 http://museum.dankook.ac.kr
  24. 심동신 금관조복. 자료검색일 2018.10. 20, 자료출처 http://museum.dankook.ac.kr
  25. 유수 초상화. 자료검색일 2018. 10.18, 자료출처 http://www.heritage.go.kr
  26. 정온가의 유품. 자료검색일 2018. 10. 22, 자료출처 http://www.heritage.go.kr
  27. 정원용 유품. 자료검색일 2018. 10. 30, 자료출처 http://www.nfm.go.kr
  28. 조선통신사 축제. 자료검색일 2019. 05. 10, 자료 출처 http://www.tongsinsa.com
  29. 화(靴). 자료검색일 2018. 12. 20, 자료출처 http://kyujanggak.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