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olescent Suicides in Korea a Review of Causes and Suggestions for Prevention

한국 청소년 자살문제와 예방대책 연구

  • 김운삼 (강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 구서연 (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7.10
  • Accepted : 2019.07.18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Thu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solutions to youth suicides in South Korea. First, we need to help adolescents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based on the traditional ethical principles from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econd, we claim that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s urgently needed. Adolescents' emotional securities need to be well supported through stabilized family lives and we need to set expande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tudents and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o help teenagers lead happier and more active school lives. Lastly,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social security system by eliminating potential risk factors and extending the protection factors so that Korean adolescents do not hesitate asking for help to protect themselves when they feel suicidal.

청소년으로 하여금 가족, 동료, 친구 연대의식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만약 자살을 시도하였으나 다행히 생명을 보전하였다면 일차적으로 '위기개입'을 해야한다. 즉 응급실 또는 입원치료 하에서 신속한 신체적 검사와 조치를 받아야 함은 물론이고 자살의 근본원인과 정신상태, 가족관계 등에 대한 정신과적인 접근과 치료가 필요하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문제해결에 대한 실마리가 안보이거나 대처 방법이 없다고 느낄 때 자살의 충동을 느낀다. 청소년 자살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세워 올바른 성격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도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 치료는 예방이다. 작은 관심과 작은 사랑만 있다면 지금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가 조금은 해결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법을 통하여 우리는 청소년의 자살을 줄일 수 있으며 우리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가야할 우리의 인재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화(2012).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광용.김명섭.이채언.이용희(2008). "비즈니스 강성옥(2010).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은실, 조향숙, 송양숙, 강성년(2003), 청소년의 자살의도와 우울, 영적안녕과의 관계. 전인간호과학학술지, 제2권.
  4. 김동숙(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 계적 관점의 연구 : 공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병철(2010).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예측 변인 연구: 자살에 관한 언론 보도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제54권 제2호. 346-362.
  6. 김보영(2008).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소영.홍세희(2012). 초기청소년 자살생각의 변 화유형분류와 예측.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1호. 251-275.
  8. 김순규(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66-93.
  9. 김은정(2002). 청소년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엽.이근영(2010).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5호. 121-149.
  11. 김재엽.정윤경.이진석(2009). 가정내 자녀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119-144.
  12. 난주(2013).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남영옥(2008).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 요인의 중재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5권 제3호. 199-218.
  14. 노충래.김설희(2012).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 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회적 지지요인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39권. 39-68.
  15. 문동규(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에스더(2012). 중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한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재숙(2011).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Baumeister의 도피이론 모형의 검증을 통해.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종익(2012).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강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주연(2011).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배병렬(2005).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청람.
  21. 서혜석(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용미주(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변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우채영(2009). 청소년의 부정적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우혜선(2008).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요인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위종희(201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가족탄력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윤경란(2006).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상구.이윤정.정혜선(2011). 남녀 중.고등학생의 자살시도 예측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5호. 652-66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52
  28. 장선희.이미애(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8호. 27-55.
  29. 정계숙(2005). 청소년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보행(2013). 청소년자살의 위험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분석.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조윤숙(2008).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가족환경 및 학교생활 부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차미영(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 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우울의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최진(2011). 고등학생의 자살위험 모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하연희(2001). 중학생의 자살생각 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하정미(2011). 상담가의 자살예방 사이버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홍나미(2011).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대인 관계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Beautrais, A. L.(2006). Suicide prevention: What we know & do not know.
  38. Beautrais, A. L., Joyce, P. R., & Mulder, R. T.(1999). Personality traits and cognitive styles as risk factors for serious suicide attempts among young people. Suicide Life Threatening Behavior, 29(1), 37-47.
  39. Beca-Garcia, E., Diaz-Sastre, C., Garcia Resa, E., Blasco, H., Braquehais Conesa, D., & Oquendo, M. A.,(2005). Suicide attempts and impulsivit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55, 152-156. https://doi.org/10.1007/s00406-004-0549-3
  40. Berzo, J., Paris, J., Tremblay, R., Vitaro, F., Zoccolill, M., Hebert, M., & Turecki, G. (2006). Personality traits as correlates of suicide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in young adults. Psychological Medicine, 36(2), 191-202. https://doi.org/10.1017/S0033291705006719
  41. Burns, J. m., & Patton, G.C. (2000). Preventative interrentions for youth suicide: A risk factorbased approac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4, 388-407. https://doi.org/10.1080/j.1440-1614.2000.00738.x
  42. Bushman, B. J., Huesmann, L. R.(2006).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 of Violent Media on Aggression in Children and Adul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0(4). 348-353. https://doi.org/10.1001/archpedi.160.4.348
  43. Gould M. S., Greenberg T, Velting D. M, Shaffer D.(2003).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42(4), 386-405. https://doi.org/10.1097/01.CHI.0000046821.95464.CF
  44. Kerr, D. C. R, Preuss, L. J., & King, C. A.(2006). Suicidal adolescents'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peers: Gender-specific assonciations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4(1), 103-114.
  45. Kim, B. Y., & Lee, C. S. (2009),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5), 651-661.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46. Kim, D. S. (2010). An Eco-Systemic Study of the Suicide idea of High School Students-Centered on Gong-j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 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47. Langhinrichsen-Rohling, J., Friend, J., & Powell, A. (2009), Adolescent suicide, gender, and culture: A rate and risk factor analy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4(5), 402-414. https://doi.org/10.1016/j.avb.2009.06.010
  48. Marisa Nicole Spam(2005). External Locus of Control as a predictor for suicide Risk in African American teenagers, Doctoral dissertation,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42(4), 386-405.
  49. Masako Mori, (2002), "The Role of Perceived Family Dysfunction in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Adolescent Suicidality among Urban Ethnic Minority Psychiatric Out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Colombia University.
  50. Wan, G. W. Y., & Leng, P. W. L. (2010), Factors accounting for youth suicide attepmt in Hong Kong: A model building. Journal of Adolescence, 33, 575-582.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9.12.007
  51. Watt, T. T., & Sharp, S. F.(2001), Gender differences in strain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 333-348. https://doi.org/10.1023/A:1010444212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