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궐(東闕) 추경원(秋景苑)의 조영과 변천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and Change of Chugyeongwon in Donggweol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Oh, Jun-young (Depart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8.09.29
  • 심사 : 2019.01.28
  • 발행 : 2019.03.30

초록

본 연구는 동궐(東闕)에 실존했던 추경원(秋景苑)의 조영과 변천 양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추경원의 조영 위치와 범위, 조영 배경과 의도, 소속 체제와 공간적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추경원은 창경궁 함인정(涵仁亭) 주변 또는 시민당(時敏堂)과 진수당(進修堂) 사이의 공간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관련 사료에 따르면 추경원은 도총부(都摠府) 서쪽, 협상문(協祥門) 안쪽, 숭문당(崇文堂) 인근에 위치했다고 전해진다. "동궐도형(東闕圖形)"을 통해서도 각각의 조건에 부합하는 추경원의 조영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근대적 실측도 형식의 "창경궁배치도(昌慶宮配置圖)"에 따르면 오늘날 추경원은 창경궁 문정전(文政殿)과 숭문당 남쪽의 녹지공간에 해당한다. 둘째, "동궐도(東闕圖)"에서 추경원은 담장으로 한정된 대지에 수목들이 생육하던 녹지공간으로 묘사되어 있다. 내부에 일체의 인공적 시설은 도입되지 않았다. 또한 추경원은 주변 대지보다 표고(標高)가 높은 지형에 입지했다. 특히 추경원의 구성 형식과 입지 특성은 한양에 소재했던 궁궐 외원(外苑)과도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궁궐 외원의 운영 양상을 고려하면 추경원 역시 지세(地勢)의 보존과 배양(培養)을 위해 조영되었다고 판단된다. 셋째, 조선 후기에 걸쳐 추경원은 동궁(東宮)과 함께 창덕궁 또는 창경궁 소속으로 편입되었다. 따라서 추경원은 동궁 영역에 포함된 왕실정원으로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본래 담장과 협문(夾門)으로 구성되었던 추경원의 서쪽 경계부는 이후 담장과 행각(行閣)이 결합된 형식으로 변모했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추경원은 각종 개발행위로 인해 점차 변질되기 시작했고, 종국에는 소실(消失)되어 실체를 찾아볼 수 없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and aspects of change in Chugyeongwon, which is located in Donggweol (東闕). In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and range of Chugyeongwon,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the construction, and the affiliated system and aspects of spatial changes of i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ugyeongwon has been assumed to be the space near Haminjeong (涵仁亭) or between Simindang (時敏堂) and Jinsudang (進修堂) in Changgyeonggung Palace. However, according to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it is said that Chugyeongwon was located west of Dochongbu (都摠府) in Hyeopsangmun (協祥門) and near Sungmundang (崇文堂). Through Donggweoldohyeong (東闕圖形), evidence of the construction of Chugyeongwon can be found, which verifies such claims. According to The Plan of Changgyeonggung Palace (昌慶宮配置圖), in the form of modern measured drawing, Chugyeongwon today is the green space created in the south of Munjeongjeon (文政殿) and Sungmundang in Changgyeonggung Palace. Second, According to Donggweoldo (東闕圖), Chugyeongwon was a green space where trees grew on the ground within the walls. No artificial facilities were constructed inside. In addition, Chugyeongwon was located at a site with an altitude higher than the surroundings. Especially, the composition form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Chugyeongwo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lace Outer Garden located in Hanyang. Thus, based on this evidence about the form and other aspects of the operation of the Palace Outer Garden, it can be inferred that Chugyeongwon was constructed for the preservation and cultiva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inside Donggweol. Third, in the late Joseon period, Chugyeongwon was assigned to Changdeokgung Palace or Changgyeonggung Palace in the same manner as was Donggung (東宮). Thus, it is very likely that Chugyeongwon served as a garden for the Royal Family in the Donggung area. The west boundary of Chugyeongwon, which originally consisted of walls and a side gate, was changed into the form in which the walls and colonnades were combined. Chugyeongwon has been modified due to various acts of development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n the end, it has disappeared so that no trace can be found.

키워드

참고문헌

  1. 도성전도(都城全圖) 청구요람(靑邱要覽),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2. 동궐도(東闕圖),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3. 동궐도형(東闕圖形),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4. 수선전도(首善全圖),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5. 수선총도(首善總圖),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6. 창덕궁낙선재도형(昌德宮樂善齋圖形),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7.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8. 궁궐지(宮闕志),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9. 대청시일록(代廳時日錄),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10.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1. 병산집(屛山集)
  12.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13. 어제궁궐지(御製宮闕志),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14. 육전조례(六典條例),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5. 일성록(日省錄)
  16.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한국 역사 문화 자료 데이터베이스(www.excavation.co.kr)
  17.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8.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19. 진찬의궤(進饌儀軌,), 1848,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20. 진찬의궤(進饌儀軌), 1877,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21.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2. 현목수빈빈궁혼궁도감의궤(顯穆綏嬪殯宮魂宮都監儀軌),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23. 국립고궁박물관, 2011, 조선왕실의 건축, 창덕궁 학술연구, p.60
  2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조선왕실 건축도면, p.157, 217
  25. 문화재관리국, 1985, 창경궁 발굴조사보고서, p.142
  26. 문화재관리국, 1989, 창경궁 중건보고서, pp.31-37
  27. 문화재청, 2016, 동궐(창덕궁.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p.44, 48
  28. 윤국병, 1997, 조경사, 일조각, p.298
  29. 경세진.조재모, 2015, 조선후기 궁중연향 시 숙설소와 중배설청의 배치와 운영에 관한 연구 -궁중연향의궤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Vol.24 No.6, pp.71-72
  30. 김완, 2012, 동궐도(東闕圖)의 도상(圖像)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3
  31. 김종태, 2015, 궁궐 공간 표현 용어의 가변성 -왕의 사적(私的) 공간 '대내(大內)', '자내(自內)'를 중심으로- 고궁문화 No.8, pp.30-31
  32. 김현준.심우경, 2007,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5 No.2, pp.144-146
  33. 신지혜, 2011, 조선 후기 大妃의 喪葬禮 참여확대와 의례공간의 변화 장서각 No.26, p.142
  34. 오준영.김영모, 2017, 조선시대 한양 동부(東部) 함춘원(含春苑)에 관한 연구 문화재 Vol.50 No.3, pp.117-119
  35. 이재용, 2019, 조선 후기 동궐(창덕궁.창경궁)의 원형 추정에 관한 연구 -동궐도의 기하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 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40-143
  36. 이효석, 2005, 朝鮮時代 世子의 宮闕 空間 使用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7-48
  37. 정우진, 2016, 朝鮮時代 宮闕 後苑의 體制와 運用 樣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57-58
  38. Daum 지도(map.daum.net)
  39. 국토지리정보원(www.ngii.go.kr)
  40. South Korea, view of Changdok palace complex in Seoul(그림 11), UWM LIBRARIES 소장(uwm.edu/lib-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