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lligraphy Sty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 An Examination of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해동명적》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서풍

  • Yoo, Jibok (Jeonju University.Korean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 유지복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Received : 2018.12.31
  • Accepted : 2019.02.08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alligraphy styles through the analysis of handwriting.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海東名迹, Haedong Myeongjeok) is the first collection of famous Korean calligraphers' masterpieces and was published by Shin Gongje (申公濟, 1469-1536)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While m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publishing backgrounds of and differences among the wood block editions and stone-carved editions of the various remaining copies of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calligraphy sty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represented within the collection itself.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aspects of style transitions among two categories of calligraphy: (1) the calligraphy style of scribes who were in charge of documentation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館閣) and (2) the calligraphy style passed down among the Goryeong Shin clan (高靈申氏). This study verifies that various styles which emerged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revivalism of the late Yuan dynasty gained acceptance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the traditional Wang Xizhi style was still in use. The most notable revel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alligraphy style of Kangli Naonao (康里??), a Yuan dynasty calligrapher from a remote region to the west of China, appears to have become acceptable during this period. Indeed, various Yuan dynasty styles were flowing into Korea during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stand in contrast to Zhao Mengfu's "pine-snow calligraphy style." Finally, the authenticity of the Eo Sukguan (魚叔權)'s record in A Storyteller's Miscellany (稗官雜記, Paegwanjapgi) is reviewed in this study. Eo claims that writing attributed to Park Gyeong in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was actually Shin Jageon's. Howeve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and Park based on their backgrounds and their political positions suggests that Eo's claim is not valid.

이 논문은 ${\ll}$해동명적(海東名迹)${\gg}$에 실린 필적을 분석하여 조선 초기 서풍의 흐름과 그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ll}$해동명적${\gg}$은 16세기 초에 신공제(申公濟)가 간행한 서첩으로, 우리나라 역대 명필의 필적을 한데 모아놓은 최초의 집첩(集帖)이다. 필자는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이본으로 남아 있는 목판본과 석판본의 간행 배경과 판본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ll}$해동명적${\gg}$에 실린 조선 초기 필적의 서풍을 분석하는 데 주력하였다.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관각(館閣)의 문서를 담당했던 사수(寫手)들의 서풍과 고령신씨(高靈申氏) 집안에 가전(家傳)되어 오던 서풍의 변화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왕희지 서풍이 건재한 가운데 원말 복고주의의 영향으로 파생된 다양한 서풍이 수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서역 변방 출신 강리노노(康里??)의 서풍이 폭넓게 수용된 흔적이 주목된다. 이는 으레 조맹부(趙孟?)의 송설체(松雪體)로 대변되었던 여말선초에 실은 다양한 원대의 서풍이 유입되고 있었다는 징표이다. 마지막으로 "패관잡기"에 실린 어숙권(魚叔權)의 기록의 진위 여부를 추론해 보았다. 어숙권은 ${\ll}$해동명적${\gg}$에 실린 박경의 필적이 실은 신자건이 쓴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어숙권의 출신과 정치적 입지를 기준으로 신자건과 박경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어숙권의 주장이 타당치 못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고령신씨대종회 편, 고령신씨대종보 종합본I, 고령신씨대종회
  2. 민족문화추진회 편, 1971, (국역)대동야승, 민족문화추진회
  3. 釋尾春芿 編, 1909, 大東野乘, 조선고서간행회
  4. 장서각 편, 2012, 韓國古文書精選 1,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5. 조선고서간행회 편, 1968, 대동야승, 서울대학교 출판부
  6. 호림박물관 편, 1999, 湖林博物館名品選集 2, 호림박물관
  7. 黄惇, 2002, 中国书法史.元明卷, 南京: 江苏敎育出版社
  8. 김홍남, 1999, 安平大君 소장 中國 書藝: 宋 徽宗, 蘇軾, 趙孟頫, 鮮于樞 美術史論壇 제8권, 한국미술연구소, pp.76-102
  9. 노인환, 2015, 조선시대 批答의 문서 유형 연구 古文書硏究 제47호, 韓國古文書學會, pp.25-51
  10. 송수영, 2004, 松雪體 流入 背景에 관한 小考 書藝學硏究 제5호, 韓國書藝學會, pp.47-82
  11. 신복호, 2002,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韓國漢文學硏究 제30집, 한국한문학회, pp.145-184
  12. 오창림, 2017, 조선 초기 고득종의 시문과 서예 연구 耽羅文化 54호, 탐라문화연구원, pp.237-263
  13. 유지복, 2016, 海東名迹 목판본 연구 書誌學硏究 65, 한국서지학회, pp.213-241
  14. 유지복, 2016, 海東名迹 석판본 연구 藏書閣 36, 한국학중앙연구원, pp.32-67
  15. 유지복, 2016, 최흥효와 15세기 서단 국학연구 31집, 한국국학진흥원, pp.383-424
  16. 이재충, 2004, "稗官雜記"의 詩話 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완우, 2001, 조선시대 松雪體의 토착화 書藝學硏究 제2호, 韓國書藝學會, pp.249-271
  18. 이완우, 2004, 고려시대 글씨와 宋.元대 서풍 고려미술의 대외 교섭, 도서출판 예경
  1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20.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