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uth and North Korean Collaboration for Natural Heritage Conservation across Demilitarized Zone : Its Significance and Challenges

비무장지대(DMZ) 자연유산 남북 공동협력의 의의와 과제

  • Received : 2019.01.30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e Demilitarized Zone (DMZ) stretches two kilometers north and south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area was established as a weapons-free buffer zone when an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in 1953.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very high-tension military standoffss over the past 65 years. On the South Korean side, civilian access to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beyond to the north has been restricted, and natural heritage has been well maintained. Natural heritage is defined as living things, their habitat and non-living things of the ecosystem which deserve to be protected. Research shows that a variety of flora and fauna, their habitat, marshes and geographical structures are found across the DMZ region. Although the DMZ region has not been such a good place for habitat conservation, we can say that this area may be the best location for restoration in terms of its variety of ecosystems and considerable land size. Restoration of course depends on future plans and management policies. This area, including the DMZ and the well-protected north of the CCL, will be the best habitat for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if we classify the various habitat types and create a habitat map. In doing this project, we need to include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nd the lagoon (brackish water lake) of the East Sea coast. In addition, we must establish long-term plans for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and do international scientific research across the DMZ region in collaboration with scientist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experts.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for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efforts is paramount.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 MDL)을 경계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을 비무장지대로 설정하기로 협정으로 정했지만 지난 65년 동안 무장이 가득한 지대로 유지되어왔다. 남쪽의 경우 민간인 통제선(Civilian Control Zone : CCZ) 이북 지역과 그 배후의 접경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오랫동안 제한되어 오히려 비무장지대보다 자연이 상대적으로 더 잘 보전되어왔다.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은 자연생태계의 보호할 가치가 있는 생물과 그 서식지, 그리고 무생물 자원으로 정의된다. 비무장지대에서는 다양한 생물들과 습지를 비롯한 서식지와 지형들이 있음이 여러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완벽하고 보전이 잘 되어 있는 서식 공간은 아니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그만한 다양성과 규모를 가진 공간이 없고, 향후 관리 방향에 따라 복원이 가능한 최적의 장소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비무장지대와 잘 보호된 일부 민통선 이북 지역을 포함한 그 일원의 서식지 유형(habitat type)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어 관리한다면 한반도에서 멸종 위기에 있는 종들이나 멸종한 종들을 서식하게 하는 최적 장소가 될 것이다. 이때 한강 하구와 동해의 석호(lagoon) 등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조사와 보호 노력을 남북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특히 비무장지대 내부를 남북 과학자와 국제 전문가를 포함하여 국제 과학조사를 추진하고 장기 계획을 세워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ces

  1. 강원발전연구원, 2012, 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강원권) (발표 자료집)
  2. 경기개발연구원.경기도, 2008, DMZ, 살아 있는 생태문화 박물관
  3. 경기도.경기개발연구원, 2012, 60년 DMZ, 현재와 미래 -DMZ사업 추진현황과 향후 방향- 2012년도 제1차 DMZ 포럼 회의자료
  4. 경기도.경기개발연구원, 2013,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으로' DMZ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5. 과학기술통신부 등(관계 부처 합동), 2018, 2018년도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시행계획
  6. 국립수목원.녹색연합, 2018, 평화와 생명의 DMZ
  7. 김계중, 2006, DMZ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요소와 전략 DMZ 자연자원의 보전 관리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8. 김귀곤, 2002, 비무장지대 내륙습지 관리보전 방안 습지 : 물과 삶 그리고 문화(세계 습지의 날 기념 세미나) 자료집, 해양수산부.환경부
  9. 김귀곤, 2007, DMZ의 환경친화적인 관광 자원화 방안 DMZ의 친환경적인 관광 자원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10. 김귀곤, 2010, 평화와 생명의 땅 DMZ, 드림미디어
  11. 김군수, 2013, 통일경제특구에서 접경지역 활로 찾기 DMZ의 미래 : DMZ 가치의 세계화와 지속가능발전, 한울아카데미
  12. 김보현, 2013, 보호지역(Protected Areas), 한국보호지역포럼
  13. 김종규, 1996, 1. 민통선 북방 지역의 지리적 특성 야생의 보고, 비무장지대, 현암사
  14. 김용일, 2013, 백두대간 생태 통로를 DMZ에 만들자 2013 2nd CBD Youth Forum, 2014 CBD/COP 12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찾는다 자료집
  15. 남정호.강대석, 2003, 서해 연안 접경지역 남북 협력관리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6. 노백호, 2007, 한강 하구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방안 DMZ 평화포럼 I, DMZ 일원의 환경보전과 향후 과제, 생태지평
  17. 녹색연합, 2008, DMZ 일원 환경 실태 보고서,
  18. 박은진, 2012, DMZ 일원 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방안 World Conservation Congress (Jeju 2012), DMZ's Biodiversity and its Sustainable Future : How can we achieve sustainable future of the Korean 비무장지대 발표 자료집
  19. 박은진, 2013a, DMZ의 자연환경 DMZ의 미래 : DMZ 가치의 세계화와 지속가능발전, 한울아카데미
  20. 박은진, 2013b, 남북협력 의제이자 지역발전 의제인 DMZ, 실천방법론과 성공사례 확산 중요 (토론문)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 으로' DMZ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21. 박은진, 2013c, DMZ의 탄생 DMZ의 미래 : DMZ 가치의 세계화와 지속가능발전, 한울아카데미
  22. 박진섭, 2007, 남북관계를 통해서 본 DMZ 지역의 상황 변화와 보전 전략 DMZ 평화포럼 I, DMZ 일원의 환경보전과 향후 과제, 생태지평
  23. 배기동, 2006,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의 현재와 미래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현실과 미래 비전-, 주류성
  24. 변병설, 2003, 남북 접경지역의 환경보전 방안 서해 연안 남북 접경지역 해양환경.생태계 보호를 위한 정책 워크숍 자료집
  25. 산림청 임업연구원, 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보고서 1995-2000
  26. 손기웅, 2013, DMZ 세계평화문화공원 : 의미와 추진방안 (토론문)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으로' DMZ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27. 심숙경, 2003, 비무장지대 국제 보호구역 지정 추진에 대한 검토 서해 연안 남북 접경지역 해양환경.생태계 보호를 위한 정책 워크숍 자료집
  28. 서재철, 2007, DMZ를 진정한 비무장지대로 한겨레 21 제682호
  29. 신준환.임종환, 2007, DMZ 일원의 자연생태계 특징과 가치 DMZ 평화포럼 I, DMZ 일원의 환경보전과 향후 과제, 생태지평
  30. 원병오 등(성천문화재단 엮음), 1996, 야생의 보고, 비무장지대, 현암사
  31. 이기환, 2008, 비무장지대 일원 유산의 보전방안 연구 - 유네스코 세계복합유산으로서의 타당성 검토,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수진, 2013, 글로벌 관광명소로서 DMZ 만들기 DMZ의 미래 : DMZ 가치의 세계화와 지속가능발전, 한울아카데미
  33. 전선희, 2015, 비밀의 숲, DMZ가 궁금하니?, 자연과생태
  34. 전호식, 2006, DMZ 일원 생태계 보전대책 DMZ 자연자원의 보전 관리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35. 제종길, 2007, 비무장지대가 영원히 야생으로 남아야 할 이유 바다와 생태 이야기, 각
  36. 제종길, 2008, DMZ 자연생태 보전 방향 DMZ의 보존과 활용,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제3회 학술 심포지엄)
  37. 제종길, 2013a, DMZ 일원의 지속 가능한 보전 (토론문)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으로' DMZ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38. 제종길, 2013b, DMZ의 의미와 전망 환경부 DMZ 생물다양성 교사연수 (발표 자료)
  39. 조덕현, 2007, DMZ의 친환경적인 관광자원화 토론자료 -Ecotourism을 중심으로- DMZ의 친환경적인 관광자원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40. 최주영, 2004, 생명과 평화의 땅, DMZ, 경기환경운동연합.강원환경연합.인천환경연합
  41. 한겨레신문사.경기문화재단, 2001, 경기도 비무장지대의 생태기행 (자료집)
  42.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3, DMZ의 생태 복원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43. 환경부, 2012, DMZ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 연구
  44. 환경부, 2013, DMZ 최초의 생태계 조사, 60년 만의 베일을 벗다 (DVD video 자료)
  45. 환경부.국립생태원, 2018, DMZ에 멸종위기종 101종 포함 야생생물 5,929종 서식 (보도자료)
  46. 환경처, 1992, DMZ 인접지역(민통선 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47. 한국정책학회.환경자원분과학회, 1997, 자연자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부 기능의 합리화 방안 (연구계획서)
  48. Jeong, Hoi-Seong, 2007, Northeast Asia Ecological Security and DMZ Conserv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s DMZ Conservation : Science and Impact Assessment South and North Korea Environment Forum
  49. Kim, Ke-Chung, 2006, Korea's Unique DMZ Ecosystems : Essence and Strateg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n DMZ, Korea, (사)한국임학회
  50. KLRI, 2013, The World Peace Park and Environmentally Social Capital around the Korean DMZ
  51. Kwon, Y.H. and Y.I. Song, 2007, EIA and economic cooperation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 Pan-Korea's perspective
  52. Lankov, Andrei, 2013, The DMZ Peace Park : a (very) long-term goal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으로' DMZ 국제 심포 지엄 발표 자료집
  53. Riecken, Uwe, 2013, The importance of the preservation of DMZ ecology, conclusions from the German Green Belt 'DMZ의 미래 : 정전에서 공존.공영으로' 비무장지대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54. Shim, Suk-Kyung, 2011, Governance of the German Green Belt Ecological Network - Implication for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Dissertation for Doctor, Humboldt University in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