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 Cho, Do-soon (School of Life and Environmen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조도순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Received : 2019.01.30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was established in 1953 by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It extends from the estuary of the Imjin River, in the west, to the coast of the East Sea. It is 4 km in width and 148 km in length. However, the ecosystems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located between the southern border of the DMZ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the CCZ in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and the Yellow Sea are similar to those in the DMZ, and, therefore, the ecosystems of the DMZ and the CCZ are collectively known as the "ecosystems of the DMZ and its vicinities." The flora in the DMZ and its vicinities is composed of 1,864 species, which accounts for about 42% of all the vascular plant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ffiliated islands. Conducting a detailed survey on the vegetation, flora, and fauna in the DMZ is almost impossible due to the presence of landmines and limitations on the time allowed to be spent in the DMZ. However,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Munsan-Gaesong railroad reconstruction project, it was possible to undertake a limited vegetation survey within the DMZ in 2001. The vegetation in Jangdan-myeon, in Paju City within the DMZ, was very simple. It was mostly secondary forests dominated by oaks such as Quercus mongolica,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The other half of the DMZ in Jangdan-myeon was occupied by grassland composed of tall grasses such as Miscanthus sinensis, M. sacchariflorus, and Phragmites japonica.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 DMZ may be covered with pristine mature forests due to more than 60 years of no human interference, the vegetation in the DMZ was composed of simple secondary forests and grasslands formed on former rice paddies and agricultural fields. At present, the only legal protection system planned for the DMZ is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ensures that the DMZ would be managed as a nature reserve for only two years following Korean reunification. Therefore, firstly, the DMZ should be designated as a site of domestic legally protected areas such as nature reserve (natural monument), scenic site, national park, etc. In addition, we need to try to designate the DMZ as a UNESCO Biosphere Reserve or as a World Heritage site, or as a Ramsar international wetlan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nomination as a world heritage site, we can emphasize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value of the wetlands converted from the former rice paddies and the secondary forests maintained by frequent fires initiated by military activities. If the two Koreas unexpectedly reunite without any measures in place for the protection of nature in the DMZ, the conditions prior to the Korean War, such as rice paddies and villages, will return.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cosystems in the DMZ, we have to discuss and prepare for measures including the retention of mines and barbed-wire fence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roads in the form of tunnels or bridges, and the maintenance of the current fire regime in the DMZ.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한국군사정전협정에 의해서 설정된 폭 4km, 길이 248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으로서 서쪽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장단반도의 임진강 하구로부터 시작해서 동쪽으로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의 동해안까지 이른다. 그러나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민통선지역(민북지역)과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도 어느 정도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와 유사하므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을 합쳐 일반적으로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라고 부르고 있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식물상은 총 1,864종류로 파악되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관속식물 종류의 약 42%에 해당한다.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은 수많은 지뢰와 출입의 제약 때문에 정밀한 조사가 거의 불가능하다. 2001년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경의선 남북 연결 철도 건설 구간의 비무장지대 내부 식생을 조사한 결과 산림 식생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로 우점하는 2차림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였고 비무장지대의 나머지 반은 과거의 묵논에 형성된 억새, 물억새, 달뿌리풀 등의 장경초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비무장지대의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덮여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은 이와 같이 군사적인 활동에 기인한 빈번한 산불로 대부분 구조가 단순한 2차 천이 초기의 산림이거나 과거의 농경지에 형성된 묵논 습지 및 초지로 되어 있다. 비무장지대의 법적 보호 장치로는 통일 후 2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환경부의 자연유보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비무장지대의 보전을 위해서는 천연보호구역, 명승, 국립공원 등 국내법에 따르는 자연보호지역 지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제적인 협력을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국제습지의 지정에 비무장지대가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무장지대의 세계유산 신청 시에는 지난 60여 년간 산불에 의해서 2차림과 묵논 습지가 유지되어온 독특한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내세울 수 있다. 아무런 자연 보전 대책 없이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비무장지대 생태계는 순식간에 6.25전쟁 직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통일 후에도 비무장지대 생태계를 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뢰 존치, 철조망 존치, 도로와 철도의 터널 및 교량화, 산불 유지 등의 대책이 논의되고 준비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ces

  1. 강원도, 1987, 민통선 북방지역 자원 조사 보고서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용역보고서), p.695
  2. 경기도, 1987, 민통선 북방지역 자원 조사 보고서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용역보고서), p.553
  3. 건설교통부.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02, 통일대교-장단 간 도로 확장 및 개설공사 환경영향평가 결과보고서
  4.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2010, 민통선.비무장지대(DMZ) 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동해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 기술학회지 13, pp.63-74
  5. 문화공보부, 1974,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종합 학술조사 보고서
  6. 문화재청, 2006, 군사접경지역 자연유산 기초자원 조사 보고서 (서부지역), p.463
  7. 문화재청, 2007, 군사접경지역 자연유산 기초자원 조사 보고서 (종합요약), p.139
  8. 문화재청, 2015, 설악산-금강산 세계유산 등재 가능성 검토 및 추진방향 도출 연구용역 보고서, p.487
  9. 산림청 임업연구원, 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 보고서 1995-2000, p.625
  10. 윤성일.계명찬.이흥식, 2007, DMZ 및 군사접경지역의 포유류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 pp.215-222
  11. 이우철.조도순, 2001, 강원도 고성군 송현리 일대의 식물상 비무장지대 인접지역(고성군)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12. 이일구, 1968, DMZ에서의 소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11, pp.21-29
  13. 최철영, 2004, 남북간 군사적 합의와 한국정전협정의 효력 성균관법학 16, pp.477-503
  14. 환경부, 1995, 95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 보고서 (I), p.605
  15. 환경부, 2003,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조사 결과 종합보고서
  16. 환경부.국립생태원, 2016, DMZ 일원의 생물다양성 종합보고서
  17.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10, DMZ 중부지역 생태계 조사 보고서
  18. 환경부.산림청.문화재청, 2009, DMZ 서부지역 생태.산림.문화재 현황 조사.연구 보고서, p.311
  19. 환경처, 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