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 composition and change of baekdong alloy in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 백동의 재료 구성과 변화

  • Kong, Sanghui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공상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Received : 2019.03.31
  • Accepted : 2019.05.0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flow of baekdong alloy's usage according to the alloying materials mentioned in document records. For this purpose, we first overviewed the use of copper as a base material for white copper alloys and other types of copper alloys. Baekdong is an alloy of copper and other metals and is currently defined as an alloy of copper and nickel. Howev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s and time of the scholars, baekdong may be defined as a metal with over a certain percentage of tin added to copper, or as an alloy of tin, zinc, and lead with copper. There is disagreemen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term. Baekdong, which started to appear in the litera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steadily seen through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to the modern perio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ach age and culture, from the symbol of the office to trading goods, daily life goods, and money. In the literature, baekdong's alloying material is not only copper and nickel, which are currently defined as alloys, but it is the same in that copper is used as the base metal of the alloy, although it varies sligh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ddition to copper, tin, zeolite, and emerald, zinc and lead also appeared. It was found that baekdong, which means alloy, and baekdong, which means white metal, were mixed. Nickel, which is the alloy material of baekdong as it is currently defined, is a metal with a relatively high discovery time and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modern industrial fields. Nickel was introduced into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ut its use is not known in detai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eptance and use of nickel-based baekdong in articles of modern newspapers and in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experience of craftsmen, we estimated the period when nickel-based alloys were used in crafts. Material is a direct factor in the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he basis for the changing of civilizations and cultur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ekdong with the material of alloys as a starting point.

백동(白銅)은 구리에 다른 금속을 섞어 녹여 만든 합금으로, 현재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학자들의 연구 대상과 시기에 따라 백동은 구리에 일정 비율 이상의 주석을 더한 금속으로 정의되기도 하고, 구리에 주석과 아연과 납을 합금한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이렇듯 백동은 그 정의에 차이가 있어 용어의 해석과 표기에 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문헌 기록을 토대로 시론적으로나마 백동의 구성 재료를 정리하고 그 흐름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백동 합금의 바탕 재료가 되는 구리의 이용과 구리 합금의 종류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헌의 백동 기록을 통해 그 사용과 인식을 정리해 보았다. 삼국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백동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근대기까지 꾸준히 보이는데 관직의 상징물부터 교역품, 생활기물, 화폐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쓰였다. 문헌 기록을 살펴보면 백동의 합금 재료는 현재 합금의 재료로 정의되고 있는 구리와 니켈뿐이 아닌데,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구리를 합금의 바탕 금속으로 이용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구리 외의 합금 재료로는 주석, 비석 및 비상, 아연, 납 등이 등장하며, 그 과정에서 합금을 의미하는 백동과, 백색의 금속을 의미하는 백동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정의되고 있는 백동의 합금 재료인 니켈은 비교적 발견 시기가 정확한 금속으로 현대 공업과 산업 분야의 소재로 폭넓게 쓰이고 있다. 니켈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조선 말기에서 근대기로 추정되고 있으나 그 이용과 사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신문기사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니켈의 수용과 그 이용을 함께 살피고, 장인들의 증험을 토대로 니켈을 이용한 백동 합금이 공예품에 사용된 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재료는 기술의 발전과 퇴보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며, 기술의 발달은 문명과 문화를 변화시키는 토대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시론적으로나마 합금의 재료를 중심으로 백동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니켈이라는 재료의 이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사
  2. 비변사등록
  3. 삼국사기
  4. 선화봉사고려도경
  5. 순조국장도감의궤
  6. 여유당전서
  7. 익종수능천봉도감의궤
  8. 일성록
  9. 임원경제지 섬용지
  10. 정조건능천봉도감의궤
  11. 조선왕조실록
  12. 주례 고공기
  13. 해동역사
  14.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15.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
  16. 국립문화재연구소 기획, 안귀숙 저, 2002, 유기장, 화산문화, p.12
  17. 국립문화재연구소 기획, 임옥수 저, 2006, 백동연죽장, 민속원, p.36
  18. 국립청주박물관, 2016, 삶과 예술 속 청동 이야기, p.21, 23, 212, 216
  19. 노태천, 2000, 한국 고대 야금기술사 연구, 학연문화사, p.112
  20. 리태영, 1991, 조선광업사, 백산자료원, p.212
  21. 염영하, 1991, 한국의 종, 서울대학교출판부, p.37
  22. 이규경 지음, 최주 역, 1998, 오주서종박물고변, 학연문화사, pp.81-86
  23. 이난영, 2000,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
  24. 이준영 해역, 2002, 주례, 자유문고, p.10
  25. 전용일, 2006, 금속공예기법(개정판), 미술문화, p.21.
  26. 조선기술발전사편찬위원회, 1994, 조선기술발전사 3 : 고려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p.33
  27.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8. 宮崎柳条, 1880, 百科工業新書 二, 清風閣, p.15
  29. 農商務省商務局, 1909, 重要輸出入品要覽: 下編, p.118
  30. 督辦交涉通商事務衙門 編, 1884,朝英通商條約原本, 刊寫者未詳, p.79
  31. 권향아, 1999, 한국 고대의 금속재료 한국공예논총Vol.2 No.1
  32. 김수철.최재완.이지은, 2016, 근.현대 문화재 인력거 재질 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2 No.1
  33. 송영주, 1986, 중요무형문화재 금속장에 관한 연구 -장도장, 연죽장, 입사장에 대하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성윤석, 2008, 통영지역의 목가구 제작기술의 전승과 변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35. 이재성, 2010, 한국 전통 방짜유기의 금속학적 특성과 재현실험,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정신, 2006, 고려시대 銅의 사용 현황과 銅所 한국사학보 25, p.155
  37. 이현복, 2007, 니켈의 국내 유통 현황 자원환경지질 제41권 제5호, p.625
  38. 전익환.이재성.박장식, 2013,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문화재 Vol.46 No.1
  39. 차순철, 2005, 경주지역의 청동 생산 공방 운영에 대한 일고찰 문화재 Vol.38
  40. 최공호, 2018, 순정효황후 <나전침대>와 공예의 근대 동아대학교 개교 72주년 기념 특별전 학술대회 : 근대 실용공예와 산업, p.32
  41. 황진주, 2011, 한국 청동거울에 대한 미세조직 및 성분 조성의 비교 연구 보존과학연구 Vol.32, p.158
  42. Fathi Habashi, 2009, A History of Nickel, CIM Bulletin Vol.94 No.1052, p.91
  43. 동아일보 1933. 10. 4, 1934. 3. 3, 1938. 4. 16
  44. 매일신보 1924. 3. 27, 1929. 6. 23, 1933. 1. 17
  45. 한성순보 1884. 6. 23
  46. 황성신문 1902. 3. 22
  47. 국가통계포털,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공산물 http://kosis.kr
  48.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
  49.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