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seum Lighting

박물관 조명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Kim, Ji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Daiil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지원 (국립문화재연구소) ;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9.06.21
  • Accepted : 2019.08.11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important academic research on museum lighting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over the past 30 years. The aim was to highlight important studies conducted in Korea on material deterioration caused by museum lighting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ED light sources to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ultimate goal of studies on museum lighting is to improve the long-term conservation effects, and this study examined the latest light sources of each era. Prior to the 1990s, the effects of light sources on relics were assessed by investigating incandescent ligh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the first museum exhibition lighting. Then in the 1990s, the introduction of halogen lamps and HID lamps led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light source itself and the introduction of illumination standards. In the 2000s, the lighting environment of museum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s that had been studied, and in terms of preservation, research was conducted not only to improve the conservation of relics but also to improve the sentiments of visitors. After 2010, LED lamps were introduced; therefore, material deterioration studies on LED lamps were expanded. During this period, enhancements to LED light sources were made, such as reducing the blue spike area and increasing color rendering. With the development of lighting us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reservation criteria has led to the need to prepare advanced standards, covering all aspects from the center of illumination to the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an object and the speed of radiation from the light source. Regular studies of museum lighting in a long-term perspective should be planned to standardize the more advanced conditions of material discoloration.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조명과 관련하여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중요 연구들을 되짚어보고자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박물관 조명으로 사용된 광원과, 그 한계로 인해 보존환경이 발전되는 과정 중에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박물관 조명에 의한 유물 열화에 대한 중요 연구 사례들을 되짚어보고 최근 적용되는 LED 광원에 의한 연구 현황을 살핌으로써 향후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박물관 조명에 관한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기간 사용에 대해 보존 효과를 높이는 것이며, 각 시대별 최신 광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1990년대 이전에는 최초의 박물관 전시 조명인 백열전구와 형광램프를 한지에 조사(照射)하여 광원에 의한 지류 유물의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에는 할로겐램프와 HID램프의 도입으로 광원 자체의 특성 분석 및 조도 기준 제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그간 연구되었던 광원의 특성을 바탕으로 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을 실시하여, 보존 측면에서 유물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관람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2010년 이후에는 LED램프가 도입되면서 LED램프에 의한 유물 열화 연구가 확대되는 동시에 blue spike 영역의 축소, 연색성 증대 등 광원 자체의 개선 연구가 이루어졌다.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사용되는 조명이 진보함에 따라 전시품 보존 기준의 방향도 조도 중심에서 유물의 색상 및 광원의 복사속에 이르기까지 변화해왔으며, 그에 따라 발전된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다 면밀한 유물 변성 조건의 표준화 마련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박물관 조명에 관한 꾸준한 연구가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일, 1989, 박물관.미술관의 전시 조명 광원 학술연구발표논집 제3권,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2
  2. 강대일, 2005, 문화재보존환경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3. 과학기술처, 1968,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4. 국가기록원 사진자료, 1978, 바레인 주택성 차관 국립중앙박물관 방문 관람 2
  5. 김원길.김주연, 2018,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 '불교 조각대전' 조명 연출 디자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제3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pp.199-208
  6. 김지원.이유정.김규린.이화수.강대일, 2018, LED 광원에 의한 회화 전색제의 변색 영향 연구 보존과학회지 제34권 제2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77-85 https://doi.org/10.12654/JCS.2018.34.2.02
  7. 김지원.이화수.유재형.이진환.강대일, 2017, 유물 변색 특성 평가를 위한 LED 가속 노화 실험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춘계학술대회집 제45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33-38
  8. 김홍범, 1994, 박물관의 전시조명계획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2-9
  9. 김홍범, 1995, 박물관의 조명환경계획에 대한 소고 보존과학연구 제16권,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9-154
  10. 김홍범, 1996, 진열장 조명의 이론적 기준과 시설에 대한 고찰 보존과학연구 제17권, 국립문화재연구소, pp.157-191
  11. 김홍범, 2002, 광방사에 의한 채색지의 새로운 내광성 평가방법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37-43
  12. 김홍범, 2004, 박물관의 전시 조명, 현대건축사
  13. 김홍범.권세혁, 1994, 광방사 에너지에 의한 손상을 고려한 박물관 전시조명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29-36
  14. 김홍범.김훈.권세혁, 1996, 전시물의 변색 예측을 이용한 박물관 조명 기준의 작성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37-47
  15. 김훈.김홍범, 1996, 조명에 의한 박물관 전시물의 변색 측정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43-51
  16. 김훈.김홍범.권세혁, 1997, 광방사에 의한 채색지의 새로운 내광성 평가방법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37-43
  17. 문화재관리국, 1972, 국립중앙박물관 준공보고서
  18. 문화체육부, 1996a, 박물관 내 전시 및 수장 공간의 보존환경 기준 연구
  19. 문화체육부, 1996b, 박물관 내 전시 및 수장 공간의 조명환경 기준 연구
  20. 박필제.이준호, 2010, 2010 상해 엑스포 전시관 LED 조명의 조형 연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2권 제1호, 한국기초조형학회, pp.277-284
  21. 이경아, 2006, 전시 쇼 케이스 제품 개발 연구: 광방사 에너지 손상 중심의 기능성 및 정서성 증대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7권 제4호, 한국기초조형학회, pp.447-456
  22. 이경원, 1994, 박물관.미술관용 형광램프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16-19
  23. 이미식.배순화, 1997, 직물류 유물의 전시 및 보관환경 실태조사 복식 제34권, pp.109-120
  24. 이승은.노현숙, 2017, 박물관 전시공간 조명환경 기준 연구 (I) 박물관 보존과학 제18권, 국립중앙박물관, pp.65-76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7.18.0065
  25. 이승은.노현숙.이민수, 2008, 전시 조명에 의한 천연염색한지의 색과 강도 변화 (I) 박물관 보존과학 제9권, 국립중앙박물관, pp.51-58
  26. 이승은.제이슨길, 2018, 박물관 전시 조명 조사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제19권, 국립중앙박물관, pp.83-98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19.0083
  27. 이학정.권영숙.장정대.이상준.조현혹, 2006, 견직물의 광열화 거동 한국염색가공학회지 제18권 제6호, 한국염색가공학회, pp.37-42
  28. 임근하.좌성훈, 2017, 전시 시설에서 LED의 고조파 발생 및 대책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8권,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pp.255-266
  29. 임종민.이진우, 2010, 증착법을 이용한 퇴색파장 차단 필터 및 램프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4권 제12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47-56
  30. 장영준, 2010, 미술관의 할로겐, LED 조명 시스템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연구논문집 제2권, 국립현대미술관, pp.139-177
  31. 전경숙, 1992a, Cellulose의 광분해에 관한 연구 (II) -광조사된 면섬유의 화학적 성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18권 제1호, 한국의류학회, pp.15-22
  32. 전경숙, 1992b, 면섬유의 Photodegradation에 대한 연구 -온도, 습도가 인열강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16권 제2호, 한국의류학회, pp.181-187
  33. 지철근, 1994, 조명에 의한 박물관.미술관 전시품의 열화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10-15
  34. 지철근, 2004, 조명환경원론, 문운당
  35. 지철근.조기동, 1994, 박물관.미술관용 할로겐전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20-23
  36. 한성희.문환석.이규식, 1989, 광조사에 의한 한지의 변질에 대하여 보존과학연구 제10권, 국립문화재연구소, pp.253-259
  37. 한종성.김기훈.이창모.김훈.김홍범, 2005, 신 국립중앙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97-100
  38. 한종성.김홍범.김훈, 2004, 각종 광원의 광복사의 측정과 분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229-234
  39. 한종성.김훈, 1999a, 광조사에 의한 유기물의 변색 측정 및 예측 한국색채학회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색채학회, pp.6-12
  40. 한종성.김훈, 1999b, 복사에너지에 의한 플라스틱의 변색 측정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색채학회, pp.45-52
  41. 한종성.김훈, 2005, 박물관의 전시 조명 기준에 따른 유물 관리방안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217-221
  42. 한종성.김훈.김홍범, 2006, 국립중앙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 및 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pp.1-5,
  43. e영상역사관 사진자료, 1993, 알베르토 후지모리 페루 대통령 국립중앙박물관 관람
  44. e영상역사관 사진자료, 1996, 신 중앙박물관 내부 전시품
  45. Garry Thomson, 1986, The Museum Environment (2nd ed.), Butterworth-Heinemann, Oxford
  46. Jo Soomin, Ryu Soo Ryeon, Jang Wonhyeong, Kwon Oh-Sun, Rhee Boa, Lee Young Eun, Kim Dongmin, Kim Jungsik, Shin Kwanwoo, 2019, LED illumination-induced fading of traditional Korean pigment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ol.37, pp.129-136 https://doi.org/10.1016/j.culher.2018.11.005
  47. Letizia Monico, Koen Janssens, Costanza Miliani, Brunetto Giovanni Brunetti, Manuela Vagnini, Frederik Vanmeert, Gerald Falkenberg, Artem Abakumov, Yinggang Lu, He Tian, Johan Verbeeck, Marie Radepont, Marine Cotte, Ella Hendriks, Muriel Geldof, Luuk van der Loeff, Johanna Salvant, Michel Menu, 2013, Degradation process of lead chromate in paintings by Vincent van Gogh studied by means of spectromicroscopic methods. 3.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detection of different crystal forms of the chrome yellow pigment, Analytical Chemistry Vol.85, pp.851-859 https://doi.org/10.1021/ac302158b
  48. Lumiotec, 2013, Lumiotec OLED Panels Adopted to Illuminate Special Exhibition At Tokyo National Museum -Highlight of Special Exhibition of Treasured Masterpiece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www.lumiotec.com
  49. Manuela Lunz, Elise Talgorn, Jannie Baken, Wiebe Wagemans, Dirk Veldman, 2017, Can LEDs help with art conservation? - Impact of different light spectra on paint pigment degradation Studies in Conservation Vol.62. pp.294-303 https://doi.org/10.1080/00393630.2016.1189997
  50. QY Zhai, MR Luo, XY Liu, 2015, The impact of illuminance and colour temperature on viewing fine art paintings under LED lighting Lighting Research and Technology Vol.47. pp.795-809 https://doi.org/10.1177/147715351454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