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s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Royal Wedding Ceremony - Focu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 Ha, Sumi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하수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Received : 2019.06.26
  • Accept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paper studied Joseon royal incense, Buyonghyang, focusing on the case of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Incens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ith Buddhist cultures. Buyonghyang is an incense that represented the royal family and was used in various rituals. Civilians also burned this incense in front of a bride's palanquin at a wedding ceremony. Buyonghyang had various uses-ceremonial uses, as a fragrance, to mothproof, and medical uses. Buyonghyang is a combined incense with ten different ingredients. This study track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incense ingredients through Takjijunjeol, Sejong Shilok Jiriji,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dentified properties of the ingredients and studied recipes using ancient medical books-Jejungshinpyeon, Donguibogam, etc. Then the cooperation and treatment of incense by craftsman were examined using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 The significanc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by examining its use at a royal wedding ceremony. This study considered Sunjo's wedding ceremony ba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well-organized system compared to other Uigwe. Buronghyang was burned during all of the ceremonies which took place in the palace. Conversely, it is considered that Buyonghyang was burned only during the Bisuchekui ceremony (investiture), which took place in the bride's pla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mobilization of court ladies for various incense burners for the Bisuchekui ceremony. Since the incense was able to be used only after Bisuchekui,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e royal family could use the incense, and it was a symbolic incense of the Joseon Royal Family.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조선왕실의 부용향을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향은 삼국시대부터 불교문화와 함께 전래되었다. 부용향은 조선시대 왕실을 상징하던 향이며 왕실의 각종 의례에 사용되었다. 민가에서도 혼인할 때 신부의 가마 앞에서 부용향을 태우기도 했다. 부용향은 의례, 방향, 방충, 의료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부용향은 침속향과 백단향을 주 향재로 하여 모향, 백급, 영릉향, 감송향, 팔각향, 삼내자, 정향, 소뇌, 비초 등 10가지 향재를 혼합해 만든 합향이다. "탁지준절"과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향재의 수급 방법을 추적했다. 각 향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중신편", "동의보감" 등의 의서를 통해 제조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통해 부용향을 제작한 향장의 협업과 처우를 살펴보았다. 가례에서 부용향이 사용된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에 향이 갖던 의의를 알아보았다. 가례는 이전의 가례도감의궤에 비하여 그 체제가 잘 정비된 것으로 평가받는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참고했다. 궁에서는 의례를 진행하는 동안 항상 향을 사용했다. 반면 신부의 집에서 진행된 경우 오로지 비수책의에서만 향로 차비 등의 향과 관련된 차비가 동원되어 이 시기에만 향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책봉 후에야 비로소 향을 사용하게 됨을 통해 부용향은 왕실 사람만이 사용했으며 왕실을 상징하는 향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經國大典
  2. 高麗史
  3. 內醫院式例
  4. 大典續錄
  5. 度支準折
  6. 東醫寶鑑
  7. 三國史記
  8. 三國遺事
  9. 象村集
  10. 宣和奉使高麗圖經
  11. 純祖純元王后嘉禮都監儀軌
  12. 肅宗影幀模寫都監儀軌
  13. 承政院日記
  14. 日省錄
  15. 裝物志
  16. 濟衆新編
  17. 朝鮮王朝實錄
  18. 경인교육대학교 산업협력단, 2010, 조선 왕실의 의료, 국립고궁박물관
  19.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국역 국혼정례, 국학자료원
  20. 김창민 외, 2015, 한약재감별도감, 아카데미서적
  21. 백비헌, 2011, 향기로 장엄한 세계, 티웰
  22. 송인갑, 2004, 향수: The story of perfume, 한길사
  23. 신병주, 2007,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책과함께
  24. 이성미, 2008, 왕실혼례의 기록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5. 신병주 외, 2013,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6. 전완길, 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27. 한국한의학연구원, 2019, 임상가를 위한 한약재 감별과 응용
  28. 김지영, 2005, 朝鮮後期 국왕 行次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김지영, 2006,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조선왕실의 가마, 국립고궁박물관
  30. 이경희, 2011, 조선시대 향문화와 의생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경희.이은주, 2013, 가례도감의궤를 통해 본 의향(衣香)의 용도와 재료 한복문화 16, 한복문화학회
  32. 이경희.최덕경, 2016, 宋代 沈香 계통의 분류체계와 용도 중국사연구 100, 중국사학회
  33. 조은혜, 2009, 서화 유물 보존에 사용된 전통 천연 약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공호, 2018,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미술사논단 47, 한국미술연구소
  35. 외규장각의궤 https://www.museum.go.kr/uig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