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eking a Multilateral Cooperation Framework for the Inter-Korean Exchan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Through a Multinational Nomination of a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남북 무형유산 교류 협력의 다자간 협력 틀 모색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 등재 사례 -

  • Kim, Deoksoon (ICHCAP,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r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 and Pacific Region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 김덕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 Received : 2019.06.28
  • Accepted : 2019.08.0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Kim Jong-un regime in 2012, the safeguarding and management system of cultural heritag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as been changing to a form similar to that of a democratic country's legal system. In addition, the Nation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NAPCH) has continuously recorded and catalog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s in the DPRK, listing Arirang, kimchi-making, and ssireum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presentative List. In particular,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of ssireum in October 2018 is symbolic in term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raising expectations for the further multinational nomination of the two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urrently, South Korea lists 20 items on its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ree of which are shared by various countries with multinational nominations such as falconry, tug-of-war, and ssireum. However, when comparing the process of applying for multinational nomination in the three elements that follow,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hese cases reflect the nature of multinational nomin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sireum, without a working-level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prepare an application for a multinational nomination, each applied for a single registration; these applications were approved exceptionally as a multinational nomination by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Secretary-General of UNESCO, and no bilateral exchanges have taken place until now. This is symbolic, formal, and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individual listings in terms of the spirit of co-listing on the premise of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refore, the only way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guarantee the spirit of multinational nomination is to request multilateral co-registration, including the two Koreas. For thi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a strategic approach, such as finding elements for multilateral co-listing; accumulating expertise, capabilities, and experience as a leading country in multilateral co-listing; and building cooperative governance with stakeholders. Besides, to reduce the volatility of inter-Korean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depending on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special nature of inter-Korean relations, measures should be taken toward achieving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exchanges and cooperation under a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using UNESCO,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2012년 북한의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리는 정상 국가의 법과 관리체계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민족유산보호지도국은 무형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목록화하며, 이들 중 아리랑, 김치 담그기, 씨름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2018년 12월 씨름의 남북 공동 등재는 평화와 화해를 위한 남북 교류 협력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남북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공동 등재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20개 종목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하고 있으며, 그 중 매사냥, 줄다리기, 씨름 등 3개 종목은 공동 등재로 여러 국가들이 함께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3개 종목의 공동 등재 신청 과정과 이후 활동들을 비교해볼 때, 과연 공동 등재의 본질과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특히 씨름의 경우 공동 등재 신청서 작성을 위한 남북 간 실무 협의도 없이 각각 단독 등재를 신청하였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주도 아래 정치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져 정부간위원회에서 예외적으로 공동 등재로 승인되었으며, 공동 등재 후 현재까지 상호 어떠한 교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국가 간 교류와 협력을 전제로 문화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 등재의 정신에 비추어볼 때, 상징적이고 형식적이며 실질적으로는 각각의 단독 등재와 유사하다. 따라서 남북 공동 등재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공동 등재 정신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은 남북을 포함한 다국가들이 함께 다자간 공동 등재를 추진하는 것이다. 특히 각궁 또는 옻칠 등 남북한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이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남북한 또는 다른 국가들이 등재한 종목에 대해 추가적으로 공동 등재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그리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북 관계의 특수성 및 정치적 상황에 따른 남북 문화 교류 협력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국제기구인 유네스코 등을 활용한 다자간 협력 속에서 남북 문화유산 교류 협력을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정배.이정원.김용범, 2012, 가야금산조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와 관련된 한.중 문화갈등 배경과 대응방안 한국사상과 문화 제63집, 한국사상문화연구원, p.358
  2. 김동현, 2017,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 등재와 다국적 유산의 과제 무형유산 3호, 국립무형유산원, p.206
  3. 박영정, 2019, 북한 무형유산 정책 동향 북한의 무형유산과 남북 교류협력 방안 자료집, 국립무형유산원, pp.41-50
  4. 송민선, 2017,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 등재를 위한 교류협력방안 연구 문화재 50권 2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95
  5. 신현욱.박영정, 2014,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협력 방안 한국민요학 41, 한국민요학회, pp.142-143
  6. 심승구, 2019,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씨름의 남북 공동 등재와 과제 북한 무형유산정책 동향 북한의 무형유산과 남북 교류협력 방안 자료집, 국립무형유산원, pp.99-104
  7. 슬레이만 칼리프, UAE 매사냥 유네스코 다국간 공동 등재 유산 추진 경험과 시사점 국경을 넘는 무형유산 : 동아시아 공동 무형문화유산의 다원성과 보편성, 2009 동아시아 공동 무형문화유산 국제포럼 자료집, 2009, pp.145-146
  8. 이명진.정우탁, 2001,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85
  9. 조우찬, 2019, 남북한 무형문화유산 보존과 교류협력을 위한 방안: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 등재 추진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북한연구학회, pp.597-598
  10. 정창현, 2019, 김정은 시대 북한의 문화유산정책 변화와 남북 교류 통일인문학 77권, 인문학연구원, pp.365-375
  11. 황경순, 2018,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 '매사냥' 공동 등재의 특성과 의의 문화재 51권 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209, pp.212-213
  12. UNESCO, Summary Report of the expert meeting on the lists established in the 2003 Convention Safeguarding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is: UNESCO, 2007)
  13. https://ich.unesco.org/en/lists (검색일: 2019.6.24)
  14. https://ich.unesco.org/en/news (검색일: 2019.6.22)
  15. 유네스코 박원모 협력네트워크 실장 인터뷰 (2019.6.22)
  16. 기지시 줄다리기 박물관 고대영 학예사 전화 인터뷰 (2019.6.27)
  17. '북, 3년간 100건의 비물질문화유산 등록', 통일뉴스, 2017.10.25
  18. ''유네스코가 전해주는 줄다리기 이야기' 어린이 도서 발간', 매일일보, 2017.4.6
  19. '줄다리기 영문판 도서 발간.중민재단 학술 행사', 연합뉴스, 2019.4.11
  20. '창녕 영산줄다리기보존회-베트남 줄다리기단체 교류', 경남도민신문, 2018.12.3
  21. '北 "씨름, 유네스코 공동 등재 가능"...문화교류 제안', 아시아경제, 2014.7.20
  22. '문 대통령, 유네스코와 '씨름' 남북 공동 세계유산 등재 논의', 경향신문, 20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