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posal for storytelling cultural products using Baekje Relic Jinmyosu (Guarding animals in tombs)

백제 유물 진묘수(石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문화상품 제안

  • Ra, Sun-Jung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라선정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Received : 2020.10.28
  • Accepted : 2020.12.0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Storytelling, a medium that arouses the customers' purchasing need by playing on their emotions, is the best content that can be used as it can increase the value of goods using information. This paper's significance is that it suggests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used by using Baeke relic Jinmyosu (Guard Animals) as a motif. The purpose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This study developed storytelling by adding the meaning of Jinmyo and Beoksa, who calm protected their masters from evil forces with horns and wings, and has the meaning of ascending into heaven and guiding the soul on the right path. That image gives a glimpse of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to Baekje. This study proposed 4 cultural products as 'Keeper Stone Mason' and 4 'Stone Mason Teller.' The proposed cultural products can help to give correct awareness of Baekje culture through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aeke relic, Jinmyosu. Moreover, it will help promote the originality and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around the world by enhancing the value of Baekje cul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line for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that can create added value in various fields.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주박물관. (2007). 국립공주박물관. 경주: 통천문화사.
  2. 국가법령정보센터. (2020). 자료검색일 2020. 7. 1, 자료출처 http://www.law.go.kr
  3. 김덕용, 신정철. (2010). 문화원형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개발-백제 무령왕릉 출토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202-214. https://doi.org/10.5392/JKCA.2010.10.2.202
  4. 김성민. (2008). 한국전통장신구의 문화원형-백제 무령왕릉 유물을 이용한 도자장신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184-191. https://doi.org/10.5392/JKCA.2008.8.5.184
  5. 김영심. (2012).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한국사상사학, 40, 235.
  6. 김정옥. (2010). 백제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과 상징성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호. (2020). 문화재를 활용한 목재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연구-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관장식을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지, 31(2), 104-111.
  8. 김제중. (2018). 지역출토 유물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1(2). 207-208.
  9. 라선정. (2019). 백제 복식의 체험 콘텐츠 환형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40. 1-14.
  10. 류은영. (2010). 담화의 논리 : 구술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까지. 외국문화연구, 39, 82-85.
  11. 문학비평용어사전. (2020). 자료검색일 2020. 7. 12,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
  12.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2019). 국가이미지 조사 보고서. 21-23.
  13. 尹武炳. (1978). 武寧王陵 石獸의 硏究. 百濟硏究, 9, 21-40.
  14. 이재호, 박승철. (2013). 백제문화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백제문화상품 전국 공모전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1), 667-67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667
  15. 임영애. (2007). 중국 고분 속 진묘수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미술사논단, 25, 40-44.
  16. 조영주. (2019). 전통문양을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가방디자인을 중심으로.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6, 179-180.
  17. 주유흥. (2009). 백제문화와 중국의 남조문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40, 125-154.
  18. 최윤정, 명회봉. (2007). 충남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제안. 한국콘텐츠학회지, 7(9), 54-61.
  19. 郭德維. (1995). 楚系墓葬硏究. 湖北敎育出版社, 197-198.
  20. 鄭州市文物考古硏究所 編著. (2004). 中國古代 鎭墓神物. 文物出版社, 10.
  21. 水野清一. (1937). 長沙出土の木偶について. 東方學報. 8.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자료검색일 2020. 7. 7, 자료출처 https://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