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difficul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cas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10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April 4 to June 24, 2018, data were collected by transcribing through a total of 22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20 times) and group interviews (2 times). In order to categorize the interview data, derive the core categories, and increase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data interpretation, it was sent to the study participants for member check and verified by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Christian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pplying Church Education to Nuri Course', 'Applying Nuri Course to Church Education', and 'Learners Understanding for Integration of Church Education and Nuri Course' did. It is hop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ll be helped through the recognition and difficulty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finding a desirabl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경력 4년 이상 기독유아교사 10인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탐구하였다. 2018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 동안 개별면담(20회)과 집단면담(2회)의 총 22회 면담을 통해 전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를 범주화, 핵심 범주 도출, 자료 해석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송부하여 확인(member check)을 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검증받았다. 그 결과,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교회교육을 누리과정에 적용', '누리과정을 교회교육에 적용', '교회교육과 누리과정 통합을 위한 학습자 이해'로 분석했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탐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바람직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방안 모색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자.김난예 (2017). 기독 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기독교교육논총, 52, 257-292.
  2. 김민정 (2018).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 기독교교육논총, 55, 341-383.
  3. 김연옥 (2020). 기독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4. 김유경 (2013).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빈곤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5. 김윤옥 (2001).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6. 김지은 (2015). A기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미션스쿨에서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박은혜 (2016).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8. 박진솔 (2018).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 다문화교육신념,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9. 방승미 (2014).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0. 송수지 (2012). 성찰활동이 예비기독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논총, 32, 237-265.
  11. 안미선 (2013).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모형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2. 안소영 (2012).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기독교 세계관 인식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3. 양은영 (2014).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세계관,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4. 양주혜 (2015). 기독교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실제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5. 유은경 (2018). 기독교 예비영유아교사의 기독교세계관 인식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6. 이문숙 (2008).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7. 이상수 (2016). 교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 사례연구 : 교사선교회(TEM)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8. 이성남 (2018). 누리과정 수업 안에서 활용 가능한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 설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9. 이윤주 (2018).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교육과정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신학대학교.
  20. 임부연.김성숙.송진영 (2014). 유아교사론. 경기: 양서원.
  21. 장향진 (2019). 기독교인 영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22. 장화선 (2007). 우리나라 공교육 제도에서 기독인 교사에 의한 신앙교육 가능성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14, 319-356.
  23. 전미라 (2004).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 및 교사재교육의 필요성 조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24. 정경미.김미경 (2016). 유아기하교육에 대한 기독유아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도. 유아교육학논집, 20(1), 35-52.
  25. 정대현.정옥경 (2010).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기독교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교육적 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앙과 학문, 15(3), 293-326.
  26. 정윤 (2019). 기독교 유아교사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27. 정희영 (2000).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다음세대.
  28. 조용환 (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9. 조혜선 (2008). 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경력교사 10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0. 최성진 (2018).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영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1. 함국희 (1997). 기독교 유아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32. Creswell, J. W. (2010). 질적연구방법론(2판).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 출판)
  33. Glaser, B. G. (2014). 근거이론 분석의 기초. 김인숙.장혜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2 출판)
  34. Litosseliti, L. (2003). Using focus groups in research. London: Continuum.
  35. Merriam, S. B. (1997).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90 출판)
  36. Kim, M. J. (2020).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1. 165-201. https://doi.org/10.17968/jcek.2020..61.006
  37. Seidman, I. (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박혜준.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6 출판)
  38. Van Dyk, J. (2003). 가르침은 예술이다. 김성수 역. 서울: IVP. (원저 2000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