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ological Impacts and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20th Century

20세기 한국 문화재 인식의 이데올로기적 영향과 변화

  • Oh, Chunyoung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0.08.13
  • Accepted : 2020.11.06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as a start point for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choice" of such would reflect the cultural ideology of the ruling power at that time. This has finally been proved by the case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First, in the late Korean Empire (1901-1910), the prevailing cultural ideology had been inherited from the Joseon Dynasty. The main objects that the Joseon Dynasty tried to protect were royal tombs and archives. During this time, an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into Korean historic sites began in earnest. Stung by this, enlightened intellectuals attempted to recognize them as constituting independent cultural heritage, but these attempts failed to be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1910-1945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led investigations to institutionalize Korean cultural heritage, which formed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At that time,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designation, protec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t only rationalized their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but also illustrated their colonial perspective. Korean nationalists processed the campaign for the love of historical remains on an enlightening level, but they had their limits in that the campaign had been based on the outcome of research plann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1945-2000 period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s took places that were based on nationalist ideology. People intended to consolidate the regime's legitimacy through these projects, and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Charter' in 1997 represented an ideology in itself that stretched beyond a means of promoting nationalist ideology. During the past 20 centuries, cultural heritage content changed depending on the whims of those with political power. Such choices reflected the cultural ideology that the powers at any given time held with regard to cultural heritage. In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heritage choice mechanism, there have been working trade-off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terminology and society, as well a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ies. The ruling party has tried to implant their ideology on their subjects, and we could consider that it wanted to achieve this by being involved in collective memori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so called-choice,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문화재 인식의 출발점이 되는 문화재 '선택'에는 당시 지배 권력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다는 가정을 세웠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먼저 대한제국 후기(1901~1910)에는 조선시대부터 가져오던 과거 유적들에 대한 관점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국가가 중요하게 보호하려 한 대상은 왕릉과 왕실기록물들이었다. 이 시기에 한국 유적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계몽주의 지식인들에 의한 주체적 문화재 인식 시도가 있었으나 제도화되지 못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에는 일본인들 주도로 문화재 조사와 제도화가 진행되었고, 이는 현재 한국 문화재 관리체계의 출발점이 되었다. 당시 조선총독부가 주도한 고적 조사, 지정, 보호, 선양 활동은 일본 제국주의 지배를 합리화함과 동시에 식민주의 사관을 반영하는 것들이었다. 국내 민족주의자들이 계몽적 차원에서 고적애호 운동을 벌였으나, 이는 일본인들이 기획한 고적조사 성과에 기초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해방 후(1945~2000)에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하여 문화재 복구와 복원 활동들이 있었고, 여기에도 정권의 정통성을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었다. 그리고 1997년의 '문화유산 헌장' 제정은 문화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수단이 되는 것을 넘어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가 되는 일이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한국에서는 정치권력의 선택에 따라 문화재의 내용이 변하였다. 이 선택에는 당시 권력이 문화재에 대해 가지는 문화적인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었다. 이런 문화재 선택의 배경에는 개념어와 사회의 상호 보완적 관계, 즉 집합기억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작용하고 있었다. 지배집단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집단에 각인시키려 하는데, 그 수단으로 정권의 정통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전통문화에 관련된 집합기억, 즉 문화재 선정과 활용에 관여함으로써 이를 실현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민지, 2018, 사회교육을 통한 국민교육헌장의 이념 보급(1968-1972) 역사문제연구 40
  2. 국립고궁박물관, 2020.6.19., 6.25 전쟁과 문화유산 보존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환수문화재 조사보고서
  4. 국립중앙박물관, 2009, 한국 박물관 백년사 - 본문편
  5. 김영범, 1999, 알박스(Maurice Halwachs)의 기억사회학 연구 사회과학연구, 大邱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6. 김용간, 1958, 문화 유물 조사 보존에 대한 조선 로동당의 시책 문화유산 1호
  7. 김용철, 2017, 근대 일본의 문화재 보호제도와 관련 법령 미술자료 92, 국립중앙박물관
  8. 金鐘洙, 2019, 한국 문화재 제도 형성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國史學科 韓國史專攻 博士學位 論文
  9. 金志宣, 2008, 조선총독부 문화재 정책의 변화와 특성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0. 나인호, 2011, 개념사란 무엇인가 -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역사비평사
  11. 남보라, 2015, 국가건설과정의 북한 문화유산 관리 연구 - 1945년-1956년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사회문화언론전공 석사학위논문
  12. 남보라, 2019, 북한문화재 보호법제 변화와 최신 동향 2019년 남북 문화유산의 이해 과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13. 문화재청, 2011, 문화재청 50년사-본사편
  14. 서울특별시사 편찬위원회, 1958, 서울 명소고적
  15. 심주아, 2016, 이코모스 헌장의 문화유산 개념 및 보존원칙의 변화와 그 의미 - 베니스 헌장을 중심으로,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修理復原學科 文化財復原專攻 碩士學位論文
  16. 吳世卓, 1982, 文化財保護法 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法學科 行政法專攻 博士學位論文
  17. 오세탁, 1997, 문화재보호법과 그 문제점 문화재 30
  18. 오춘영, 2018,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 위원회 구성과 목록 변화를 중심으로 文化財 51-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 오춘영, 2018,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文化財 51-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 오춘영, 2019, 개념사적 관점에서 본 '문화재(文化財)' 개념의 특성과 정의, 2019년도 호서사학회 전반기 학술대회
  21. 오춘영, 2019, 대한제국기 문화재 개념과 인식 한국사연구회 제321차 월례연구발표회, 한국사연구회
  22. 오춘영, 2020, 韓國 近代 '文化財' 認識의 形成과 變容, 忠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3. 이현일.이명희, 2014,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美術資料 85, 국립중앙박물관
  24. 林會承, 2011, 臺灣文化資產保存史綱, 台北:遠流
  25. 정갑영, 2016, 조국 근대화와 민족문화 사회이론 50
  26. 정규홍, 2005, 우리 문화재 수난사, 학연문화사
  27. 정근식, 2006, 기억의 문화, 기념물과 역사교육 역사교육 97
  28. 정상천, 2011, 프랑스 소재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 과정 및 평가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3
  29. 최석영, 2015,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서강대학교출판부
  30. 최호근.민유기.윤영휘 옮김, 2006, 국가와 기억,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3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10, 傳統,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3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검색서비스, http://kyudb.snu.ac.kr
  3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34.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35.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http://www.p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