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Material Properties of Steel Used to Repair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Beopcheonsa Temple, Wonju in 1957

1957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수리에 사용된 철물(鐵物)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 You, Harim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Lee, Jae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Lee, Taejo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Park, Heejeo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유하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박희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20.08.21
  • Accepted : 2020.11.01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National Treasure no. 101,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the Beopcheonsa Temple Site in Wonju has been transferred from place to place and reassembled several times since it was built. In particular, overall dismantling and repair was carried out in 1957 to restore parts damaged by bombing during the Korean War. Documented information on the repair process and materials used at that time does not exist. However, various types of metal materials used for this stupa have been identified during conservation work. Besides clamps anchor bolts, 9mm-thick circular rebars were mainly used for joining the parts of this stupa, while circular rebars and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were used for joining the parts with mortar restoration materials. Although deformed bars are typically used for stone pagodas classified as architectural structures, smooth circular rebars were used in this case. In terms of restoration using mortar, material shapes were transformed, bound alternately, and twisted irregularly to improve bonding strength and coherence in order to insert restoration materials and to bolster structural weaknesses. In addition, metallographic analysis showed the material to be hypo-eutectoid steel with low carbon content. Many non-metallic inclusions in the shape of drops of different sizes were included, which do not affect the whole elemental composition due to the very small quantities involved. Qualitative and EPMA analysis of Mn and S, which were not identified by SEM-EDS area analysis, established an even distribution of MnS in crystal grains of the microstructur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amples. It is presumed that secondary homogenization and softening might have been conducted after manufacturing to facilitate the working process. Furthermore, in consideration of properties indicating that the thinner the steel is, the less carbon content contained and the greater the elasticity and elongation, it is judged that restoration work was ordered.

국보 제101호로 지정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은 조성 후 수차례 이전 및 이건되었는데, 특히 한국전쟁 시 폭격으로 인한 심각한 훼손으로 1957년 전면적인 해체·보수가 이루어졌다. 당시 재료 및 수리 내용이 남아있지 않지만 보존 처리를 진행하면서 지광국사탑에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금속재료를 확인하였다. 각 부재를 연결하는데 꺽쇠 및 앵커볼트 외에 두께 9mm의 원형철근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부재와 모르타르 복원재를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두께의 원형철근과 철사 등이 사용되었다. 건축물로 분류되는 석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철근이 아닌 매끈한 표면의 원형철근이 사용되었다. 이는 모르타르 복원 시 재료가 가진 부착 강도와 결합력 강화를 위해 재료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서로 교차시켜 결속하고 불규칙적으로 꼬아 단면적을 늘리는 등 재료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금속학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탄소 함량이 낮은 아공석강 소재로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미세조직 내에는 불규칙한 크기로 분포하는 방울 형태의 비금속개재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나 전체 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SEM-EDS의 면 분석으로 검출되지 않는 망간(Mn)과 황(S)이 정량 분석 및 EPMA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 망간황화물(MnS)로 시료의 형태와 관계없이 미세조직 결정립 내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철물의 형태 제작 후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2차로 균질화 등 열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보여지며, 철물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포함된 탄소 함량이 감소하고 탄성과 신장률이 증가하는 특성에 따라 복원 작업 순서를 정하고 다양한 형태의 철물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근, 박노진, 이상봉, 2009, 금속조직학, 노드미디어
  2. 김정근, 김기영, 박해웅, 2012, 금속현미경 조직학, 노드미디어
  3. 이승평, 2012, 그림으로 설명하는 금속재료, 청호
  4. 이상민, 2008, The change of the morphology of MnS inclusions in steel during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일방향 응고 중 MnS 개재물의 형태 변화 거동 연구, 포항공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G. Poulachon, M. Dessoly, C. Le Calvez, J.L.Leberun, V. Prenet and I. S. Jawashir, 2001,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sulphide inclusions on tool-wear in high speed milling of tool steels, Wear, Vol.250 No.1-12, October 2001, pp.334-343 https://doi.org/10.1016/S0043-1648(01)00614-7
  6. R. Hertzberg, K. Vecchio, and F. Schmidt, 1989, Fatigue Performance of AISI 1140 Modified Steel, JTEVAB, Vol.17 No.5, pp.261-266
  7. 오상균, 서창희, 김동배, 정윤철, 김영석, 2010, SAE1144강의 기계적특성에 미치는 가공열처리의 영향, 한국소성가공학회, 한국소성가공학외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5, pp.321-324
  8. 김홍남, 2019, 통일신라전기 석조건축의 은장 연구 I - 감은사석탑, 불국사 석가탑, 석굴암, 월정교.춘양교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Vol.303, No.303. pp.5-37
  9. 김홍남, 2019, 통일신라 전기 석조건축의 은장 연구 II - 국제적 맥락에서 본 한반도 출현 은장의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Vol.304, No.304, pp.5-45 https://doi.org/10.31065/AHAK.304.304.201912.001
  10. 조혜진, 1999, 한국 현대 철골구조 건축의 형태에 관한 연구: 90년대 노출 철골구조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김생빈, 1998, 鐵筋콘크리트工學, 기문당
  12. 최주, 유명기, 김현태, 김유형, 1991, 기술해설: 고대 제철법의 복원실험(復元實驗), 대한금속재료학회, 대한금속학회회보, Vol.4 No2, pp.91-98
  13. 안재철, 송종목, 2014, 1930-40년대 부산.경상지역의 근대 역사문화유산에 사용된 강재의 재료적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Vol.23, No.6, pp.63-46
  14.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7,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복원I
  15. 박희정, 2018,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과거 복원 재료 및 방법에 대한 현황 조사-옥개석을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제39집, pp.22-37
  16. 박대남, 2018,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의장분석 및 성격 고찰,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Vol.0, No.59, pp.219-242
  1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석조문화재 수리기술 연구 석탑
  18. 박지영, 2018,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장엄(莊嚴) 고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미술사학, Vol.-No35, pp.163-190
  19.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 감은사 발굴조사 보고서
  20. 국립문화재연구소, 1989, 彌勒寺[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I
  2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보고서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