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Removal of the Seated Medicine Buddha from the Samneung Valley at Namsan, Gyeon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일제강점기 경주 남산 삼릉계 약사여래좌상 반출 경위에 대한 고찰

  • Jun, Araki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Studies)
  • Received : 2020.09.03
  • Accepted : 2020.10.30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Surveys of Buddhist ruins at Namsan in Gyeongju began in earne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undertaken by Japanese scholars. These surveys of Buddhist remains in Namsan made during the colonial period should be seen as previous research which cannot be ignored in any in-depth study of Buddhist ruins in Gyeongju. Full-scale surveys of Buddhist ruins at Namsan began in the 1920s. Previous surveys conducted around the time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re generally viewed as only representing preliminary investigations and, thu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these early survey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led to the Buddhist ruins on Namsan becoming widely known in the 1910s and served as the foundations for later studies. The removal of the Seated Medicine Buddha from Samneung Valley in Gyeongju in 1915 and its subsequent exhibition at the Joseon Local Products Expo, which marked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Japanese administration of Korea, was especially important in garnering attention for Namsan's wealth of Buddhist artifacts, as the statue was placed in the main hall of the art museum and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from visitors. It is typically thought that this Seated Medicine Buddha was exhibited in 1915 because it was the most beautiful and well-preserved statue from Namsan. However, the removal of this statu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posed move of the Seokguram statue to Seoul around the time of Korea's annexation. The plan to move Seokguram to Seoul was primarily devised by Terauchi Masatake, and the plan, based on Ilseontongjo-ron ('日鮮同祖論'), a historical theory that prehistoric Korean and Japanese people were of the same blood, and Joseon Jeongcheasoeng-ron ('朝鮮停滯性論'), a historical theory arguing that development had stagnated in Korea, was intended to be a visual demonstration of a new era for Korea. This new era was to proceed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the dissolution of Gyeongbokgung, the symbol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ould be replaced with past glories as symbolized by the statue of Buddha. However, as the plan floundered, the replacement for Seokguram in Seoul ended up being none other than the Seated Medicine Buddha of Samneung Valley. Surveys of the Seated Medicine Buddha began in 1911, administered by Sekino Tadashi, but he likely learned of the statue's location from Moroga Hideo or Kodaira Ryozo, Japanese residents of Gyeongju. It is also probable that these Japanese residents received a request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o find a Buddha statue that was worthy of being displayed at exhibitions. In this way, we can say that the transfer of the Seated Medicine Buddha to Seoul was the result of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General, Sekino Tadashi, and Japanese residents of Gyeongju. This also had the effect of removing the magical veil which had shrouded the Buddhist ruins of Namsan. In other words, while the early surveys of Buddhist ruins on Namsan are significant,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 surveys were undertaken for purely academic purposes, as they were deeply related to the imperial ambitions of Governor-General Terauchi which encompassed the plans to move Seokguram to Seoul and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1915 Expo. It sh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failure of the plan to move Seokguram to Seoul and the preservation of the Seated Stone Buddha of Mireuggok at Namsan was in no small part due to resistance from Korean residents in Gyeongju. Although it is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e paper, research is needed which shows that the Korean residents of Gyeongju were not simple bystanders, but agents of history.

경주 남산의 불적에 대한 본격적 조사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경주 남산 불적조사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경주 남산 불적을 심도 있게 고찰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선행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경주 남산의 불적조사는 192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한일병합을 전후한 초기 조사는 예비 조사 정도로 간주되어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은 기초 조사로 후속 조사의 발판이 되었고, 1910년대에 남산이 불적의 보고로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1915년 경주에서 반출되어 경성 경복궁에서 개최된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에 출품된 삼릉계 약사여래좌상은 관람객의 눈길을 가장 끄는 미술관 중앙홀에 전시되어 세간에 불적으로서의 경주 남산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약사여래좌상은 남산 불상 중에서 가장 원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고 아름다웠기 때문에 공진회에 출품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그 반출은 한일병합을 전후하여 구상된 석굴암 경성 이전계획과 깊은 관계를 맺으면서 진행되었다. 석굴암 경성 이전계획은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중심이 되어 구상된 식민 이데올로기인 '일선동조론'과 '조선정체성론'을 바탕으로 조선왕조의 상징인 경복궁을 해체하고 그 한복판에 과거의 영광을 상징하는 석굴암을 안치시킴으로써 일본 제국에 의한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을 시각적으로 선언하려는 기획이었다. 그러나 그 구상이 무산되자 석굴암 본존불 대신에 경성으로 반출된 것이 다름 아닌 삼릉계 약사여래좌상이었다. 약사여래좌상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는 1911년 세키노 다다시가 실시했으나 그 위치를 세키노에게 알린 것은 모로가 히데오나 고다이라 료조와 같은 경주 거주 일본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들 현지인은 총독부로부터 요청을 받아 공진회에 출품할 만한 불상을 찾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약사여래좌상은 총독부와 세키노 다다시, 그리고 경주 거주 일본인들 사이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경성으로 반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경주 남산의 불적이 그 신비의 베일을 벗기는 과정이기도 했다. 요컨대 초기 남산 불적조사는 기초 조사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석굴암 경성 이전계획과 1915년 공진회의 성공적 개최라는 데라우치 총독의 제국주의적 야망과 깊은 관계 속에서 진행되어 순수한 학문적 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기 어렵다. 한편 석굴암 경성 이전계획이 좌절되고 경성으로 반출될 가능성이 컸던 미륵곡 석조여래좌상이 현지에서 보존될 수 있었던 것에는 경주 조선인의 저항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자세히 논할 수 없었으나 그들을 단순한 방관자가 아니라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로 부각시킬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정, 2012, 나라의 정화(精華), 조선의 표상(表象) : 일제강점기 석굴암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 김동하, 2013,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불교유적조사와 경주고적보존회의 '慶州古蹟及遺物調書' 불교미술사학 Vol.15
  3. 徐丙協, 1916, 共進會實錄, 博文社
  4. 임영애, 2017, 일명 '청와대 불상'의 내력과 의미 미술사학연구 Vol.296 https://doi.org/10.31065/AHAK.296.296.201712.002
  5. 정규홍, 2018, 구한말.일제강점기 경상도지역의 문화재 수난일지, 경상북도.(사)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6. 黃壽永, 1967, 石窟庵修理工事報告書, 文化財管理局
  7. 李成市, 2004, 朝鮮王朝の象徵空簡と博物館 植民地近代の視座, 岩波書店
  8. 李成市, 2004, コロニアリズムと近代歷史學-植民地統治下の朝鮮史編修と古蹟調査を中心に- 植民地主義と歷史學-そのまなざしが殘した もの, 刀水書房
  9. 稻田春水, 1915, 朝鮮公進會美術館の一瞥 考古學雜誌6-3, 考古學會
  10. 今西龍, 1970, 新羅舊都慶州の地勢及び其遺蹟遺物 新羅史硏究, 國書刊行會
  11. 大坂金太郞, 1931, 趣味の慶州, 慶州古蹟保存會
  12. 小川雄三, 1914, 新羅古蹟慶州案內, 朝鮮新聞慶北支社
  13. 奧田悌, 1920, 新羅舊道 慶州誌, 玉村書店
  14. 小場恒吉, 1940, 慶州南山の佛蹟, 朝鮮總督府
  15. 木村靜雄, 1924, 朝鮮に老朽して, 帝國地方行政學會朝鮮本部
  16. 小泉顯夫, 1986, 朝鮮古代遺跡の遍歷 -發掘調査三十年の回想, 六興出版
  17. 杉原莊介, 1933, 慶州南山に遺蹟を探る ドルメン, 岡書院
  18. 末松熊彦, 1912, 朝鮮美術私觀朝鮮及滿洲 제52호
  19. 關野貞, 1904, 韓國建築調査報告, 東京帝國大學工科大學
  20. 關野貞, 1910, 朝鮮建築調査略報告, 朝鮮藝術の硏究
  21. 關野貞, 1914, 朝鮮古蹟調査略報告
  22. 關野貞, 2009, 關野貞日記, 中央公論美術出版
  23. 高橋潔, 2001, 關野貞を中心とした朝鮮古蹟調査行程-1909年(明治42年)-1915年(大正4年)- 考古學史硏究第9號, 京都 木曜クラブ
  24. 朝鮮總督府, 1916,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 제1卷, 제3권
  25. 中吉功, 1956, 新羅甘山寺石造彌勒.阿彌陀像について 朝鮮学報 9, 朝鮮学会
  26. 藤田亮策, 1958, ビリケン總督一朝鮮の思い出(1) 親和 52, 日韓親和會
  27. 宮﨑涼子, 2020, 未完の聖地-景福宮 宮域再編事業の100年,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8. 諸鹿央雄, 1916, 新羅寺蹟考
  29. 諸鹿央雄, 1935, 故關野博士と朝鮮慶州 夢殿 14 別卷(關野博士追悼集), 鵤故鄕舍
  30. 每日申報, 연합뉴스, 조선총독부 관보
  3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국립중앙박물관 HP)
  3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국립중앙박물관 HP)
  33. 慶州古蹟及遺物調書, 조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소장)
  34. 關野貞フィールドカード(도쿄대학 종합연구박물관 고이시카와분간[東京大學綜合硏究博物館小石川分館]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