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Digital Heritage ODA' - Focusing on the Myanma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

디지털 문화유산 ODA 적용에 관한 시론적 연구 -미얀마 문화유산 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 정성미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 Received : 2020.09.14
  • Accepted : 2020.11.02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refers to assistance provided by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in donor countries, aimed at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yanmar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that is underway as part of the ODA project to strengthen cultural and artistic capabilities and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ODA.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is intended to achieve the permanent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terials. Cultural heritage can be stored in digital archives, newly approached using computer analysis technology, and information can be used in multiple dimensions. First,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ODA was able to permanently preserve cultural heritage content that urgently needed digitalization by overcoming and documenting the "risk" associated with cultural heritage under threat of being extinguished, damaged, degraded, or distorted in Myanmar. Second, information on Myanmar's cultural heritage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and used in many ways through linkages between materials. Third, cultural maps can be implemented that are based on accurat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s to where cultural heritage is located or inherited. Various items of cultural heritage were collectively and intensively visualized to maximize utility and convenience for academic, policy, and practical purposes. Fourth, we were able to overcome the one-sided limitations of cultural ODA in relation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Fifth,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 run by officials in charge of the beneficiary country, which could be the most important form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ultural ODA, was operated together. Sixth,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it is an ODA that can be relatively smooth and non-face-to-face in nature, without requiring the movement of manpower between countries during the current global pandemic. However, the following tasks remain to be solved through active discussion and deliberation in the future. First, the content of the data uploaded to the system should be verified. Second, to preserve digital cultural heritage, it must be protected from various threat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train local experts to prepare for errors caused by computer viruses, stored data, or operating systems. Third, due to the nature of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computer technology, measures should also be discussed to address the problems that tend to follow when new versions and programs are developed after the end of the ODA project, or when developers have not continued to manage their programs. Fourth, since the classification system criteria and decisions regarding whether the data will be disclosed or not are set according to Myanmar's political judgment, it is necessary to let the beneficiary country underst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ultural ODA project.

공적개발원조(ODA)란 공여국(供與國)의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사회 복지 증진을 위해 제공하는 원조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역량강화 ODA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미얀마 문화유산 관리시스템의 구축 과정을 살펴보며, 디지털 문화유산 ODA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디지털 문화유산 관리시스템은 유·무형 문화유산 자료의 영속적인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것이다. 문화유산을 디지털 아카이브즈에 저장하고, 컴퓨터 분석 기술을 이용해서 새롭게 접근하여, 다차원적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문화유산 ODA의 성과는 첫째, 미얀마의 문화유산 중에서 소멸, 훼손, 변질, 왜곡될 가능성이 큰 문화유산의 '위험성'을 극복하고 기록화 함으로써 디지털화가 시급히 필요한 문화유산의 내용을 영구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미얀마 문화유산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자료 간 연계성을 통해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문화유산이 소재하거나 전승되고 있는 정확한 지리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문화지도 구현이 가능하다. 학술적·정책적·실용적 목적으로 활용의 효용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유산을 총체적, 집약적으로 시각화했다. 넷째, 공여국과 수원국과의 관계에서 문화 ODA가 갖는 일방적일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다섯째, 문화 ODA에서 가장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이 될 수 있는 수원국 담당자들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었다. 여섯째,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국가 간 인력 이동 없이 비교적 원활하게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는 ODA라는 시사점이 있다. 그러나 향후 활발한 논의와 고민을 통해 해결해야 할 다음과 같은 과제도 남겨졌다. 첫째, 시스템에 업로드 된 자료의 내용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디지털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서 여러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 예컨대 컴퓨터 바이러스, 저장된 데이터나 작동시스템에 대한 에러를 대비할 수 있는 현지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컴퓨터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의 특성상 ODA 사업 종료 이후에 새로운 버전과 프로그램이 개발되거나 개발자가 지속해서 관리하지 않았을 때 뒤따르는 문제에 대한 방안도 논의되어야 한다. 넷째, 미얀마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분류 체계 기준이 정해지고, 자료 공개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수원국 측에 문화 ODA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을 이해시켜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B8104104)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미얀마종교문화부, 2017, 미얀마 금속문화재의 과학적 분석, (주)하이브, pp.8-103
  2. 김용구, 2016,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文化財 제49권 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258
  3. 메이몽, 2016, 미얀마 인레호수의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과 석사학위논문, pp.26, 28
  4. 박순철 외, 2018, 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즈, 민속원, pp.26, 28, 49
  5. 사)글로벌발전연구원, 2017, 한국형 문화 ODA 정책과 전략수립 및 시범사업 발굴연구, 문화체육관광부, pp.140-145
  6. 오윤아, 2013, 한국의 미얀마 연구 동향, 아시아리뷰 제3권 2호(통권 6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pp.141
  7.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홈페이지: https://www.ichcap.org
  8. 유동환, 2019, 방법으로서의 디지털문화유산: 무형유산 보존과 활용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디지털 헤리티지의 유용성과 위험성, 무형유산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29
  9. 윤병섭, 2014, 미얀마의 정치체제와 경제의 상응 , 아시아연구, 제17권 2호, 한국아시아학회, pp.59
  10. 이다니엘.최용준, 2019, 텍스트 마이닝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의 미얀마 지식 구조 분석 연구, 아태연구제26권 3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pp.226-248
  11. 이태주, 2014, 문화와 발전을 위한 ODA 구상, 국제개발협력의 담론과 정책, 국제개발협력 제 1권, 한국국제협력단, 138-157
  12. 정환문.정다정, 2014, 한국 문화 분야 ODA 문제와 나아가야 할 방향, 문화산업연구 제14권 1호, 한국문화산업학회, pp.7
  13. 조계수.정연내, 2019, 한국 문화 ODA 실행전략 연구: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3권 3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pp.27-59
  14. 함한희.정성미, 2013, 전라북도 무형문화유산의 목록화와 현황분석- ICHPEDIA 자료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제22호, 실천민속학회, pp.178
  15. LABORATORIO DI GEOGRAFIA SOCIALE, UNIVERSITA DEGLI STUDI DI FIRENZE, 2016, Sustainable Destination Plan for the Ancient Cities of Upper Myanmar - Mandalay, Amarapura, Innwa, Sagaing, Mingun (2016-2021), Edizioni Polistampa Via Livorno, 111-298
  16. Hahm, H., Lee, J., Jeong, S., Oh, S., Park, S.C., 2020, A Digital Solution and Challenges in the Safeguarding Practic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 Case of 'ichngo.net' Platform,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Series, 94-99
  17.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 http://www.moef.go.kr(보도 자료-세계은행(WorldBank) 신탁기금 운영현황 및 성과, 2017년 2월 13일)
  18. 대한민국 ODA 홈페이지 : http://www.odakorea.go.kr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 http://www.cha.go.kr(보도 자료-문화유산 분야 신남방정책.신북방정책에 부합하는 공적개발원조(ODA) 추진, 2018년 3월 9일)
  20. 외교부 홈페이지 : http://www.mofa.go.kr
  21. 유네스코 인가 NGO 홈페이지 : http://www.ichngo.net/
  22.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홈페이지 : https://ich.unesc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