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 dyed fabrics using Artemisia princeps extract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rains

쑥 추출액을 이용한 천연염색 직물의 항생제 내성균주에 대한 항균효능

  • Received : 2021.09.30
  • Accepted : 2021.12.06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cotton and silk fabrics naturally dyed with Artemisia princeps extract on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f bacteria. The concentrated natural dye of the Artemisia princeps extract was made at the liquor ratio of 1:10 at 40-60℃ for 60 minutes. The concentration of FeSO4·7H2O, Al2(SO4)3, and CuSO4 5H2O mordant was 3% (owf), and the liquor ratio was 1:20. In order to experiment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naturally dyed fabric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TCC 33591, was used by breeding it in Brain Heart Infusion Agar (BHA) containing Oxacillin (2㎍/ml), Fungizone (2.5㎍/ml), and Brain Heart Infusion broth (BHI; Detroit, MI, USA).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acterial growth reduction rate on dyed cotton and silk fabric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rains, it was found that the copper mordant in cotton fabric shows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a bacterial growth reduction rate of 99.9%, and the non-mordant cotton fabric shows the lowes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a reduction rate of 18.6%. In the case of the naturally dyed silk fabric, it indicates the highest reduction rate of strains in the Al mordanting (94.9%), and Cu mordanting (99.9%).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1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됨.

References

  1. 김병희, 송화순. (1999). 쑥 추출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1(5), 30-37.
  2. 김영숙, 김무남, 김정옥, 이종호. (1994). 쑥의 열추출물과 주요 향기성분이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6), 994-1000.
  3. 김정옥, 김영숙, 이종호, 김무남, 이숙희, 문숙희, 박건영. (1992). 쑥의 휘발성분에서 동정된 물질의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1(3), 308-313.
  4.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6.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5. 박영득. (2001). 야생쑥 추출물을 이용한 견직물의 천연염색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1), 33-46.
  6. 박영희, 남윤자, 김동현. (2000). 쑥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67-76.
  7. 박종철, 유영범, 이종호, 김남재. (1994). 한국산 식용식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VI)-참죽나무 잎, 미나리, 쑥의 항염증 및 진통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3(1), 116-119.
  8. 백천의, 송경헌, (2003). 계절별 쑥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3), 7-14.
  9. 송경헌, 백천의. (2006). 쑥을 이용한 천연염색의 염색성과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1), 79-86.
  10. 신승엽, 정혜원. (2013). 샐룰로오스와 나일론 직물의 쑥 추출물에 대한 염색성과 항균성. 한국의류학회지, 37(8), 1130-1138. https://doi.org/10.5850/JKSCT.2013.37.8.1130
  11. 육창수. (1981). 한국약용식물자원도감. 서울: 진명출판사.
  12. 이기동, 김정숙, 배재오, 윤형식. (1992).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1), 17-22.
  13. 이재남. (1981). 양모염색물의 광원별 변퇴색에 관한 연구. 의류직물연구, 1(10), 116-135.
  14. 이태문. (2021.08.19). 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2억1천만명 돌파, 사망자도 440만명 넘어서-.한국면세뉴스. 자료검색일 2021.8.19, 자료출처 kdfnews.com
  15. 정필근. (1990). 생약초. 서울: 홍신문화사.
  16. 한국섬유기술연구소. (1996). 항균방취 가공약제와 가공방법. 섬유기술지, 25(2), 57-76.
  17. 한영혜, (2020.3.12). WHO, 결국 사상 세번째 '팬데믹' 선언..."코로나 통제가능".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21.8.19, 자료출처 joins.com
  18. 항생제내성관리과. (2020.11.16). (의사편1)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 영상_1분30초. 질병관리청. 자료검색일 2021.8.19, 자료출처 kdc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