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R 기술과 디스플레이 실감 (Natural Reality) 화질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HDR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과, 그와 관련된 국제 표준화 동향을 언급하였다. 또한 HDR 기술이 추구하는 실감 화질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중요한 화질 인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기술 개발 과정이 그렇듯이, 새로운 기술의 출현하면 해당 기술의 성능 향상 혹은 artifact 저감을 위해서는 해당 성능이나 artifact의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그와 더불어, 새로운 측정 방법이 개발된 이후에는 그 방법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성능 향상과 artifact 저감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비로소 소비자들이 제대로 된 실감 화질을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체험,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기관의 HDR 관련 표준화가 명확히 정의되고 올바른 화질 측정항목과 방법들이 표준화된다면, 현재 진행 중인 각 디스플레이 기술의 HDR 기반의 실감 화질 성능 및 기술 적용에 따른 artifact도 올바른 방향을 전개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DR", Cambridge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 Fairchild, Mark D. "Color appearance models," John Wiley & Sons (2013).
  3. SMPTE ST2084:2014, "High Dynamic Range Electro-optical Transfer Function of Mastering Reference Displays," 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Journal, pp. 1-14 (2014)
  4. Eilertsen, Gabriel. "The high dynamic range imaging pipeline," Vol. 1939, Linkoping University Electronic Press (2018).
  5. https://www.rtings.com/tv/learn/hdr10-vs-dolby-vision
  6. 정종호, "HDR 기술과 국제표준 동향." Information Display 17.6, pp.17-23 (2016). https://doi.org/10.1080/15980316.2016.1139513
  7. https://displayhdr.org
  8. VESA, "High-performance Monitor and Display Compliance Teat Specification (DisplayHDR CTS). Rev. 1. 1", (2019)
  9. SMPTE ST2086:2014, "Mastering Display Color Volume Metadata Supporting High Luminance and Wide Color Gamut Images," 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Journal, (2014)
  10. SMPTE ST2094-40:2020, "Dynamic Metadata for Color Volume Transform-Application# 4," (2020)
  11. IEC TR 63274, "Power Consumption of High Dynamic Range Television Sets, "(2020).
  12. O'Shea, Robert P., et. al., "Contrast as a depth cue," Vision Research 34.12, pp,1595-1604 (1994). https://doi.org/10.1016/0042-6989(94)90116-3
  13. ICDM, "Information Display Measurements Standard,"v1.03c,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