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inoleum of the Deoksugung and Changdeokgung Pala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its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stics, and usage

20세기 초 덕수궁·창덕궁에 유입된 리놀륨(Linoleum) 바닥재 연구: 리놀륨의 제작 방식과 특성 및 사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9.28
  • Accepted : 2021.02.01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Linoleum is a resilient, hygienic, and eco-friendly floor covering. It was developed in England by Frederick Walton in 1863. Made of cork flour, linseed oil, and burlap as its main materials, the flexible and waterproof linoleum became globally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Unlike the vinyl coverings, the burlap-backed linoleum was used not only in commercial spaces but also in household areas like kitchens, bathrooms, and even living rooms. As a global product, linoleum was imported and used in Korean palaces like Deoksugung and Changdeokgung in the early modern period. According to the record Deoksugung Won-Ahn, linoleum was applied to the major buildings, including Hamnyeongjeon, Deokhongjeon, and Jeonggwanheon, and various other venues. The linoleum used in these places are mainly monochrome blue and brown color, which probably means that they are from England. The trade records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that linoleum was imported mainly from England and America. The Ewangjik building floor plan in the Changdeokgung Palace shows that linoleum was used extensively. There are even some originals, which were laid in 1920 and left in the Changdeokgung Palace. When Daejojeon and Huijeongdang were rebuilt in 1920, the interior was outfitted with western features and linoleum was used in areas such as bathrooms, the tonsorial parlor, and one of the rooms on the west side of Huijeongdang. In situ in the Daejojeon and Huijeongdang areas in the Changdeokgung Palace are monochrome, patterned black, and stylized floral tile patterned, which are closely similar to American products made by ALC and Armstrong company. This study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linoleum's characteristics, its uses and the material itself. It will also form the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Changdeokgung Palace as well as other modern interiors with linoleum flooring in the future.

리놀륨은 실용적이고 위생적이며 친환경적인 바닥재이다. 영국의 월튼(Frederik Walton)에 의해 1863년에 개발된 이것은 코르크와 아마인유, 삼베를 주 재료로 한 유연한 방수 재질로서 20세기 초반 전 세계에서 유행했다. 화학제품인 장판과 달리 뒷면의 삼베 바탕을 한 리놀륨은 병원, 사무실과 같은 상업 공간뿐만 아니라 부엌, 욕실, 심지어 거실과 같은 주거 공간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글로벌한 소재의 하나로서 리놀륨은 20세기 초 국내에도 수입·유통된 정황이 파악되고 우리나라의 덕수궁과 창덕궁 내의 여러 건물에서도 쓰였다. 덕수궁의 경우 1915년에 작성된 『덕수궁원안(德壽宮原案)』에 의하면 함녕전, 덕홍전, 정관헌과 같은 주요 전각을 비롯한 여러 곳에 리놀륨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주로 청색과 갈색 무지로서 영국의 제품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 수출입 자료에 따르면 리놀륨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국내에 수입되었다. 창덕궁의 경우 이왕직청사의 건물 평면도에는 곳곳에 리놀륨이 표기되어 있으며 대조전과 희정당 일곽에는 그 원형이 남아 있는 곳도 있다. 대조전과 희정당은 1920년에 개수될 당시 서양식 실내 장식과 근대적 설비를 갖추면서 화장실, 이발소, 서행각과 같은 일부 공간에 리놀륨을 사용했다. 여기에 사용된 것은 검정색 무지, 검정 패턴, 그리고 다색 꽃무늬 타일 패턴으로서 아메리칸 리놀륨 매뉴팩처링 컴퍼니(American Linoleum Manufacturing Company)나 암스트롱 코르크 컴퍼니(Armstrong Cork and Tile Company of Lancaster)와 같은 미국 제품들과 유사성이 크다. 본 연구를 통해 리놀륨의 특성과 사용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기초로 향후 창덕궁의 복원·재현뿐만 아니라 리놀륨이 사용된 근대 실내 복원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建築資料協會 編, 1926, 建築資料共同型錄 pp.106-107.
  2. 기세황, 2014, 20세기 초 창덕궁의 변형에 관한 연구-인정전 일곽과 희정당, 대조전 일곽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논문, pp.44-66.
  3. 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2017, 덕수궁원안 번역 및 해제 보고서 건축사사무소 강희재, p.32.
  4. 박윤미, 2018, 조선말기 이후 첨모직 깔개에 관한 연구, 문화재 51, 국립문화재연구소, p.86.
  5. 서울역사박물관 편, 2018, <대경성부대관>과 대경성도시대관으로 보는 경성 상점가 p.217.
  6. 최지혜, 2020, 테일러상회의 무역 활동과 가구-전통가구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39, pp.271-272.
  7.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2009,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pp.46, 55.
  8. 부산일보, 1928년 5월 4일 기사.
  9. 조선과 건축(朝鮮と建築) 1921년 6월, 1925년 11월 광고.
  10. 조선시보, 1933년 4월 24일 광고.
  11. 조선신문, 1928년 6월 19일 기사.
  12. 朝鮮總督府 編, 1911-1941, 朝鮮貿易年表.
  13. Conybeare, S. E., 1919, 'The Story of Linoleum', Du Pont Magazine, pp.5-8.
  14. Helena Brazil, 2018, Lincrusta 1877-1887: The Development, Designs and Character of Lincrusta - Walton, pp.28-29.
  15. Jane Powell, 2003, Linoleum, Gibbs Smith, Layton, pp.20-22.
  16. Pamela H. Simpson, 1997, 'Linoleum and Lincrusta: The Democratic Coverings for Floors and Walls', Perspectives in Vernacular Architecture Vol.7, Exploring Everyday Landscape, p.282.
  17. Pamela H. Simpson, 1999, Cheap, Quick, & Easy: Imitative Architectural Materials, 1870-1930,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pp.80-85.
  18. Richard Wilson, 2007, Early 20th Century Building Materials: Resilient Flooring, Technology & Development Program, p.4.
  19. https://archive.org.
  20. https://www.armstrongflooring.com.
  21. http://blog.modernmechanix.com.
  22. https://www.forbo.com.
  23. http://www.kobe-np.co.jp.
  24. https://museum.seoul.go.kr.
  25. https://statenisland.pastperfectonline.com.
  26. https://tarkett.com.
  27. https://www.toli.c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