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교육에서 초·중등 메이커 교육의 방향

  • 발행 : 2022.03.31

초록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애.김홍순(2017).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250-267.
  2. 김현진 외(2021). 학교 역량교육을 위한 수업설계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교육공학연구, 37(4), 719-765.
  3. 이동국(2019). 메이커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3), 577-600.
  4. 이동국 외(2019). 학교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 및 운영사례. 연구자료 RM 2019-28.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이영태(2020). 공학교육에서 메이커교육의 가치와 역할. 공학교육동향, 27(1), 25-29.
  6. Bevan, B. et al.(2015). Learning through STEM-rich tinkering: Findings from a jointly negotiated research project taken up in practice. Science Education, 99(1), 98-120. https://doi.org/10.1002/sce.21151
  7. Blikstein, P.(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4, 1-21.
  8. Koehler, M., & Mishra, P.(2009).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9(1), 60-70.
  9. Peppler, K., & Bender, S.(2013). Maker movement spreads innovation one project at a time. Phi Delta Kappan, 95(3), 22-27. https://doi.org/10.1177/0031721713095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