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in Perception on Men's Fashion Using Big Data : Focused on Influence of COVID-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남성 패션에 대한 인식 비교

  • Kim, Do-Hyeon (Dept. of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Mee (Dept. of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도현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김정미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2.07.21
  • Accepted : 2022.08.12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 of men's fash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EXTOM allowed the collec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term 'men's fash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Jan. 1, 2018 to Dec. 31, 2019 was set as the pre-COVID-19 era, while Jan. 1, 2020 to Dec. 31, 2021 was set as the post-COVID-19 era. The top 50 words in terms of appearance frequency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The extracted words were processed using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6.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pre-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men's fashion', 'brand', 'daily look', 'suit', and 'department store'. These words came up with a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discovered that 'men', 'fashion', 'men's fashion', 'brand', and 'sui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s', 'fashion show', 'purchase', and 'collection'. 2) In the post-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brand', 'men's fashion', 'discount', 'women', and 'luxury'. These words also displayed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found that 'fashion', 'men', 'brand', 'men's fashion', and 'discoun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 'fashion show', 'purchase', and 'situation'. 3)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men were interested in suits to wear to the office, daily look, and fashion shows in Milan and Paris. They often purchased menswear in multi-brand and open stores. However,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neakers, casual styles, and online fashion shows as social distancing and working from home became common. Most purchased menswear through online platforms.

Keywords

References

  1. "그루밍족을 잡아라" 男 뷰티 시장 95조 원. (2019. 8. 7). KBS. 자료검색일 2022. 5. 20, 자료출처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258078
  2. 강은미. (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애슬레저룩에 관한 소비자 인식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4), 1-18.
  3. 강은미. (2021).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패션 인식 변화 - 2019년과 2020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1), 15-27.
  4. 고애란, 이정순.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 소비자학연구. 31(5), 1-17.
  5. 곽기영. (2014). 소셜네트워크분석 (초판). 서울: 청람.
  6. 김난도. (2020). 트렌드 코리아 2021 (초판). 서울: 미래의창.
  7. 김보겸. (2019. 7. 1). 영어보다 어려운 패션용어. 비즈니스리포트. 자료검색일 2022. 5. 18, 자료출처 http://www.business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18411
  8. 김은영. (2021. 1. 12). 재택근무에 누가 정장 입어요? '신사복의 몰락'. 조선비즈. 자료검색일 2022. 2. 10, 자료출처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12/2021011202026.html
  9. 김은지. (2020. 8. 14). "신사복 매장 거의 사라질 지도..." 줄줄이 파산하는 정장기업, 왜?.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22. 2. 12, 자료출처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814/102456459/1
  10. 김의향. (2020. 9. 21). 슬기로운 집 앞 패션, 男 '원 마일 웨어'. 조선이코노미. 자료검색일 2022. 5. 24, 자료출처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26&t_num=13609577
  11. 김지후. (2022. 1. 18). 오피스에서도 쿨하고 편한 '워크레저 룩'이 대세!. 코스모폴리탄. 자료검색일 2022. 5. 25, 자료출처 https://www.cosmopolitan.co.kr/article/63053
  12. 김차경. (2021. 1. 21). 집관.산스장.홈짐.슬세권...코로나 1년이 만든 신조어. 정책브리핑. 자료검색일 2022. 5. 22, 자료출처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2931.
  13. 목민경. (2020. 11. 26). 정장 벗고 잠옷 입는다. 명품도 이젠 '코로나 패션'. 신세계인터내셔날. 자료검색일 2022.5.4, 자료출처 https://www.shinsegaegroupnewsroom.com/49371/
  14. 배정원. (2020. 4. 6). "코로나19로 자유질서 가고 성곽시대 재도래". 중아일보. 자료검색일 2022. 5. 4, 자료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47651#home
  15. 변수연. (2018. 12. 21). 내 나이가 어때서 정장 트렌드도 바꾼 아재파탈. 서울경제. 자료검색일 2022. 5. 21, 자료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J755P
  16. 서정민. (2020. 4. 23). 원마일 웨어.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22. 5. 24, 자료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60971#home
  17. 서정민. (2022. 6. 16). 워라블.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22. 6. 18, 자료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9514#home
  18. 성혜윤, 이경화. (2016). 20~30대 남성의 셔츠 착용실태 및 선호도 연구. 패션비즈니스. 20(5), 60-75. https://doi.org/10.12940/JFB.2016.20.5.60
  19. 송은영, 임호선. (2021).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디지털 패션 테크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3), 380-389.
  20. 신경록, 이은정. (2017). 20~30대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의복추구혜택이 비스포크 정장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5(2), 192-205. https://doi.org/10.29049/RJCC.2017.25.2.192
  21. 심은희, 김진영. (2021).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언택트 패션 커뮤니케이션 연구-코로나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1(1), 143-156.
  22. 안동주, 이정임. (2018). 온라인 맞춤 드레스셔츠 업체 현황조사 및 치수체계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5), 556-568. https://doi.org/10.5805/SFTI.2018.20.5.556
  23. 안서영, 고애란. (2020). 현대 소비자의 공간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5), 1019-1035.
  24. 안효선, 박민정. (2018).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한 패션디자인 평가 연구 -디자인 속성과 감성 어휘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2(3), 428-437.
  25. 안효선, 이인성. (2016). 디자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평가방법 모색 -한복 연관 디자인 요소, 감성적 반응, 평가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0(6), 1034-1044.
  26. 어서 와 워라밸은 처음이지? 홈족, 포미족, 문센족... 나도 워라밸 신인류!. (2018. 9. 4). 뉴스런. 자료검색일 2022. 5. 21, 자료출처 https://www.kra.co.kr/letsrunnews/3522.do
  27. 오승준. (2022. 6. 14). '워라밸' 넘어 '워라블' 시대... 퇴사보다는 직무 바꿔 '덕업일치'를.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22. 5. 22, 자료출처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20614/113917516/1
  28. 워라벨.가심비.소확행... 2018년 달구는 신조어들. (2018. 4. 17). 세계일보. 자료검색일 2022. 5. 20, 자료출처 https://m.segye.com/view/20180417001782
  29. 윤수은. (2021. 4. 28). 포스트코로나, 글로벌 소비가 향하는 곳은? '의류'. 애플경제. 자료검색일 2022. 2. 11, 자료출처 https://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66337
  30. 윤아영, 이은영, 이현화. (2018). 패션 인스타그램의 정보제공 주체(브랜드 vs 소비자)에 따른 소비자 인식 -신뢰성, 유용성, 유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2(3), 379-396.
  31. 이병엽, 임종태, 유재수. (2013). 빅 데이터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2), 211-21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211
  32. 정혜린, 김한나. (2021). 남성소비자의 의복소비가치가 온라인 패션 편집매장의 특성 지각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 비즈니스. 25(2), 18-33.
  33. 조혜연, 안은재. (2021).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변화요인에 따른 패션 소비자 행동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4), 515-528.
  34. 최영현, 이규혜. (2020). 팬데믹 상황에서의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 분석 -코로나19 확산의 영향-. 복식문화연구, 28(3), 285-298.
  35. 최영현, 이규혜. (2021). 원마일웨어와 홈웨어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코로나19 발생의 영향. 패션 비즈니스, 25(2), 110-126.
  36. 최지훈, 김미현. (2018). 남성 패션 편집매장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5,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