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Nail Art Design by Application of the Plant Patterns of the Wada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통일신라시대 와당의 식물 문양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조한솔 (중부대학교 뷰티케어학전공)
  • Received : 2022.08.11
  • Accepted : 2022.09.0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With the recent proliferation of Hallyu content, national interest in Korea and the demand for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a motif is on the rise. In addition, as customers' design requirements tend to value more and more detailed and differentiated handcrafted designs, research on the motifs used in nail experts' original nail design development and nail design is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nail design motifs with high practical value by producing nail design works applying plant patterns of Wadang,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diversify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s. The research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alyzed th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ategorized the motif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patterns and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tangible motifs are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fusion of nail art design works that utilizes both flat and stereoscopic art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nt pattern of Wada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s an attractive motif tha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nail designs expressing Korean emotions and traditional beauty,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dea of various beauty design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애. (2005). 와당문양을 응용한 염직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3), 53-61.
  2. 고정민. (2020). 네일아트 디자인의 표현기법 분석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6(6), 1253-1260.
  3. 김영석. (2010). 삼국시대 와당에 나타난 연화를 이용한 장신구 개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유식. (2010). 신라 와당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미선. (2010). 통일신라시대 유물의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패션 디자인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규. (1999). 와당 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도현주. (2004). 와당문양을 응용한 도자제 방향기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두산백과. (n.d.). 와당. 자료검색일 2022. 06. 11, 자료출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711
  9. 박소연. (2019). 통일신라 와당의 연화문양을 응용한 현대생활용품 사례분석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숙희. (2016). 스테인드글라스 기법을 이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백현경. (2008). 와당문양을 응용한 도제 조명등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정연. (2014). 앤디워홀(Andy Warhol) 작품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심수인. (2001). 통일신라시대 와당을 응용한 접시 개발에 관한 연구 - 연화문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안지혜. (2005). 통일신라시대 와당의 식물문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컷 워크 자수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유금와당박물관. (2015). 한국기와, 지붕 위의 아름다움. 서울: 유금와당박물관.
  16. 유금와당박물관. (n.d.). 와당 색조. 자료검색일 2022. 04. 28, 자료출처 http://yoogeum.org
  17. 이연서, 김연아. (2020). 회화적 요소를 응용한 바디아트 디자인 연구 - 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 미술에 표현된 붓다를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1(3), 311-324.
  18. 임계희. (2014). 와당 연화문을 활용한 침선문화상품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현자, 홍다검. (2021). 한국 전통 매듭 패턴을 소재로 한 융합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2(4), 327-341.
  20. 한국네일지식서비스협회. (2013). 봉숭아손톱 작품집 Vol. 9. 서울: 한국네일지식서비스협회.
  21. 한국네일지식서비스협회. (2011). KOREA NAIL SALON TREND 2. 서울: 한국네일지식서비스협회.
  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d.). 당초문. 자료검색일 2022. 06. 14, 자료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