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counsel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상담전문가의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10.14
  • Accepted : 2022.10.24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nseling experts'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unselors working in counseling-related occupation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and data from a total of 250 people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it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program. Results, There were no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counseling experience, and supervision frequency).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social expectations for counselors had a relatively large impact, the resilience fact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when self-acceptance of life was a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measures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unselors.

본 연구는 상담전문가의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글 설문지를 통해 전국의 상담관련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주요변인들 간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 상담경력, 수퍼비젼 빈도)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중에 상담자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극복력 요인은 자신과 삶의 수용이 적극적일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전문가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상담학회 https://www.counselors.or.kr), 한국상담심리학회 https://krcpa.or.kr) 10월소식지.
  2.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3. 김승천(2017).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탁진국 (2002). 직종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 125-141.
  5. Corey,M.S. & Corey,G. & Callanan,P.(1998).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professions. Wadsworth.Brooks/ColePublishingCompany.
  6.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Job burnout. Annual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7. 강유리 (2012). 심리상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시내(2014).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최유미(2016). 상담자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동희(2017). 특수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성희(2014).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강명희, 이수연(2013).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6), 265-293.
  13. 정순우(2012). 중등교사성격5요인과스트레스대처방식및심리적안녕감간의관계. 심리행동연구, 4(2), 1-24.
  14. 박성연, 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
  15. 양병환(1991). 스트레스의 개념. 정신건강연구, 10, 1-9.
  16. 김나미, 김신섭(2013).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125-1144. https://doi.org/10.15703/KJC.14.2.201304.1125
  17. 간순옥(2017).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강명희, 이수연(2013).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6), 265-293.
  19.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f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y. 57(6), 1069-1081.
  20. 정경진, 윤혜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9-152.
  21. 오중언(2017).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엄나연(2015).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박예라(2015).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송금란(2017).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26. 이나영(2014). 회복탄력성의 선행요인과 업무성과 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과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왕철주(2017). 호텔조리종사원이 지각하는 보상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Smith, B. W., Dalen, J., Wiggins, K., Tooley, E., Christopher,P., & Bernard, J. (2008). The brief resilience scale: assessing the ability to bounce back.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5, 194-200. https://doi.org/10.1080/10705500802222972
  29. 최효정, 석은조(201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5, 93-115.
  30. Polk. L. 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 Nurs Sci, 19(3), 1-13. https://doi.org/10.1097/00012272-199703000-00002
  31. 이일현(2014),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32. 송지준(2009),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33. 주영아, 강순화, 조하나(2014).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이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퍼바이지 자기개방을 매개로. 청소년상담연구,(1),151-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