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궁중 의례용 일월오봉도 병풍의 장황에 관한 고찰 - 초록색 회장 비단과 금박 장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Mounting the Five Peaks Screen - With the focus on green bordering silk and gilt ornamentation

  • 박윤희 (국립문화재연구원 미술문화재연구실)
  • PARK, Yoonhee (Research Division of Artistic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1.12.22
  • 심사 : 2022.01.27
  • 발행 : 2022.03.30

초록

조선 왕실에서는 영원불멸한 왕의 존재와 권위를 나타내고자 일월오봉도로 병풍을 만들어 왕의 공간마다 설치하였다. 일월오봉도는 궁궐의 가장 대표적인 의장물로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제작했던 병풍의 실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연구된 바가 없다. 이것은 현재 전하는 유물이 기록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의궤를 중심으로, 왕실 의례에 사용했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다양한 생김새와 장황 재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일월오봉도 병풍의 원형과 변형 과정까지 함께 고찰하였다. 의례용으로 제작한 왕실의 병풍들은 예식과 법도에 따라 엄격하게 제작되었고, 각각이 갖는 위상에 따라 장황에 사용하는 재료 또한 차등을 두었다. 궁궐의 정전(正殿)과 빈전(殯殿), 혼전(魂殿), 진전(眞殿)에 설치했던 오봉병과 궁중연향을 위해 제작했던 오봉병은 생김새와 크기는 모두 다르지만, 병풍을 꾸미는 비단 회장(回粧)은 일치하였다. 대체로 초록색 비단으로 가장자리를 두르고, 그 위에 꽃문양의 금박을 장식하였다. 쪽풀로 염색한 초록색 비단은 원료를 수입해야 하는 값비싼 붉은 색 비단을 대신하였으며, 영조22년 '문단(紋緞) 금지 조치' 이후에는 무늬없는 초록색 평직 비단을 사용했다. 그나마 비단에 올린 금박 첩금으로 인해 사대부가의 병풍과 차별되는 궁중 의례용 병풍의 장식미를 더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안 방치되었던 조선왕실의 병풍들은 1960년대부터 유물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보존처리가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장황이 개장(改粧)되었고, 원형의 모습을 많이 잃게 되었다. 이것은 전통의 장황 문화가 단절된 것이 가장 주된 원인이었다. 과거에는 고증의 부족으로 문화재를 온전하게 보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 지금부터는 각 분야에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증을 철저히 하고, 문화재의 수리 이력에 대한 정보까지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royal court of Joseon had a tradition of mounting the Irworobongdo, a painting of the sun, the moon and the five sacred peaks, symbols of the king's immortal presence and authority, on a folding screen and placing it in special spaces within the palace that were reserved for the king. While the Irworobongdo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important ceremonial object of the royal palaces of Jose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various folding screens used in the royal palaces, largely because the official records about such screens do not match the remaining original relics.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diversity of the shapes and mounting materials of the Irworobongdoused for various ceremonies held in the royal palaces of Joseon based on the Uigwe, the official records of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he discussion also extends to the theme rarely studied so far, namely the original form of the Irworobongdo and its evolution in the following period. The ceremonial "five peak" folding screens (Obongbyeong) used at a number of important palace buildings, including the crown hall (Jeongjeon), royal funerary hall (Binjeon), spirit hall (Honjeon) and portrait shrine (Jinjeon), differed in shape and size from the folding screens used in royal celebratory events such as banquets, although the paintings themselves and the style of mounting them were essentially the same. The paintings were mounted on screens bordered with green silk and ornamented with floral gilt designs. The folding screens used in royal ceremonies were produced according to strict guidelines that required the ceremonies and mounting materials to be graded on the basis of the status of each screen. It was not until the 1960s that these ceremonial folding screen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had been neglec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began to undergo conservation treatment provided as part of a heritage preservation program. Unfortunately, many of the screens repaired in this period lost some of their original features - largely due to the use of non-traditional mounting techniques. Considering, however, that significant achievements have since been made in the heritage preservation field based on the use of historical evidence, it is now necessary to systematically use the repair history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royal ceremonial folding screens to ensure that they are preserved and managed more effectively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朝鮮王朝實錄」
  2. 「承政院日記」
  3. 「景福宮營建日記」
  4. 「景孝殿唐家及床卓等造成與入排所入各項物種價」, 奎 17033
  5. 「慶運宮重建都監儀軌」, 1906(광무 9) 奎 14328
  6. 「己丑進饌儀軌」, 1829(순조 29) 奎14370
  7. 「御眞圖寫都監儀軌」, 1902년(고종 39) 奎 14000
  8. 「影幀摸寫都監儀軌」, 1900년(고종 39) 奎 13982
  9. 「仁政殿營建都監儀軌」, 1805년(순조 5) 奎 14334
  10. 「仁政殿重修儀軌」, 1857년(철종 8) 奎 14343
  11. 「中和殿營建都監儀軌」, 1907년(융희 1) 奎 14345
  12. 심연옥 이선용, 2019, 「한눈에 보는 금박」,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p.114.
  13. 문화재청, 2000, 「근정전 실측조사보고서」,
  14. 문화재청, 2018, 「덕수궁 중화전 일월오악도 보존처리 수리보고서」.
  15. 국립고궁박물관, 2008,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
  16. 국립중앙박물관, 2014, 「외규장각 의궤 학술총서 2: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17. 명세나, 2009, 「조선시대 흉례도감의궤에 나타난 오봉병 연구」, 「미술사논단 28호」, 한국미술연구소, pp.44~52.
  18. 박승원, 2011, 「외규장각 의궤의 표지 장황에 사용된 직물의 종류와 무늬」,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국립중앙박물관, p.187.
  19. 백광선, 2015, 「조선시대 금박과 금박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p.78.
  20. 신서연, 2012, 「조선시대 의궤의 장황」,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pp.11~12.
  21. 신한나, 2009, 「조선왕실 흉례의 의장용 병풍의 기능과 의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p.40.
  22. 안지윤, 김수연, 천주현, 2014,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보존과학회지」30권1호,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50.
  23. 유새롬, 2013, 「외규장각 어람용 의궤의 형태적 특징에 관한 기초적 연구」, 「조선시대사학보」66집, 조선시대사학회, pp.19~20.
  24. 이은주, 2019, 「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문화재」52권 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20~23.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2.20
  25. 이진희, 2010, 「조선시대 장황 용어와 관련 기록」, 「장서각」2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p.125.
  26. 전나나, 2020, 「덕수궁 중화전 당가 구조와 오봉병의 원형에 대한 고찰」, 「美術史學」39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p.201.
  27. 조흥윤, 1988, 「한국장황사료(1)-영정모사도감의궤」, 「동방학지」 57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pp.179~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