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ermite(R. speratus kyushuensis)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R. speratus kyushuensis) 피해 현황 분석

  • KIM, Sihyu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Yongjae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 김시현 (국립문화재연구원 안전방재연구실)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2.02.10
  • Accepted : 2022.05.11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ermites are a group of social insects that are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ince termite damage impairs the authentic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it is imperative to prevent it.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ermite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as part of efforts to prevent termite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across the country. The extent of termite damage to each cultural heritage was assess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comparatively analyzed by region 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Biological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from 2016 to 2019. It involved 362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25 national treasures, 157 treasures, 180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nd 1,104 build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at 317(87.6%) of the 362 wooden heritages, with visible termite damage observed in 185 cases(51.1%). Furthermore,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using one of two methods(detection dogs or visual inspection) in 324 cases(89.5%). Of the 1,104 buildings,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at 668(60.5%), while 339(30.7%) showed visible termite damage. Employing one of the two methods, damage was confirmed in 702 buildings(63.6%). The country was categorized into nine regions(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to examine the termite damage rate and the degree of damage to each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location.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to more than 70% of the cultural heritage in all regions. Visible damage was minima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32.1%) and Gangwon(21.4%) but severe in Chungnam(65.6%), Jeonnam(67.3%), and Gyeongnam(68.2%).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termite damage of each cultural heritage as a ratio of the absence of termite damage among the total absence, the average termite damage of the cultural heritage across the country was 9.2%. Regional 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in Jeonbuk and Jeonn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termite damage than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buk, and Gyeongbuk.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d termite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sites in the future.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의 일종으로 목조건축문화재의 주요 손상 원인 중 하나이다. 흰개미 피해는 문화재의 원형 가치와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므로 흰개미 피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전국에 분포한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362건(국보 25건, 보물 157건, 국가민속문화재 180건), 1,104동을 대상으로 국립문화재연구원이 2016~2019년 실시한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를 통해 각 문화재별 흰개미 피해 현황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2건 중 317건(87.6%)의 문화재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185건(51.1%)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탐지견, 육안 조사)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324건(89.5%)에 달했다. 1,104동의 건물 중 668동(60.5%)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339동(30.7%)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702동(63.6%)에 달했다. 전국을 9개 지역(수도권·강원·충북·충남권·전북·전남·경북권·경남권·제주)으로 구분하여 흰개미 피해율과 각 문화재의 피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지역에서 70% 이상의 문화재들이 흰개미 탐지견 반응이 나타났으며 육안 피해는 수도권(32.1%)과 강원(21.4%)이 적고 충남권(65.6%), 전남(67.3%), 경남권(68.2%)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총 부재 중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부재의 비율로 각 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 전국 문화재의 평균 흰개미 피해 정도는 9.2%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별 분산분석 결과 전북.전남의 문화재들은 수도권·충북·경북권의 문화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흰개미 피해 정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전국의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현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문화재 보존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a,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강원도」, pp.11~245.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b,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경주」, pp.11~242.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c,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대전, 제주」, pp.10~94.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d,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전라남도」, pp.17~606.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e,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전라북도」, pp.11~305.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a,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안동」, pp.15~361.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b,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남도」, pp.10~231.
  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c,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pp.22~775.
  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a,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기, 인천」, pp.10~22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b,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대구, 부산」, pp.10~249.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c,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pp.8~226.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d,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남」, pp.12~351.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e,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북, 대전, 세종」, pp.10~250.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a,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I」, pp.10~380.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b,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II」, pp.8~148.
  16. 김대운.정선혜.이상환.정용재, 2010, 「극초단파를 이용한 흰개미 탐지기술 적용연구」, 「보존과학회지」 26(1),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77~83.
  17. 김시현, 2022, 「목조건축문화재 예방보존을 위한 한국 지중흰개미 공간적 방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94.
  18. 김시현.이상빈, 2019, 「외래흰개미의 유입에 따른 목조문화재의 위협」, 「문화재방재학회논문집」 4(2), (사)문화재방재학회, pp.139~147.
  1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금산사 실측조사보고서」, pp.1~545.
  20. 박현철.배태웅, 1997,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흰개미인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Isoptera: Rhinotermitidae)의 형태적 기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2(1), (사)한국토양동물학회, pp.59~64.
  21. 배태웅.박현철, 1996, 「한국산 흰개미목(Isoptera)의 분류학적 재정리」, 「한국토양동물학회 학술발표대회」, (사)한국토양동물학회, pp.13.
  22. 서민석.조창욱.김수지.김영희.홍진영.이정민.정소영, 2015, 「목조문화재 흰개미 서식환경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4),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387~393. https://doi.org/10.12654/JCS.2015.31.4.06
  23. 이규식.정소영.정용재, 2000, 「목조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한 충해 방제방안」, 「보존과학연구」 21, 국립문화재연구소, pp.5~55.
  24. 이규식.정소영.정용재, 2001,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법」, 「보존과학연구」 22, 국립문화재연구소, pp.41~52.
  25. 임익균.차현석.강원철.이상빈.한규성, 2021, 「국내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피해 및 모니터링 현황」, 「보존과학회지」 37(3),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191~208.
  26. 정소영, 2010, 「탐지견을 활용한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피해 조사 연구」, 「보존과학연구」 31, 국립문화재연구소, pp.121~130.
  27. 정소영.이규식.정용재, 2002, 「해인사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 방안」, 「보존과학연구」 23, 국립문화재연구소, pp.77~93.
  28. 한성희.이규식.정용재, 1998, 「한국 서식 흰개미의 특성과 방제」, 「보존과학연구」 19,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3~158.
  29. Brune, A., 2014, 'Symbiotic digestion of lignocellulose in termite gut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3), Nature Publishing Group, pp.168~180. https://doi.org/10.1038/nrmicro3182
  30. Cookson, L.J..Trajstman, A.C., 2002, 'Termite survey and hazard mapping', Technical report(CSIRO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137,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 pp.1~50.
  31. Eggleton, P..Beccaloni, G.W...Inward, D.J.G., 2007, 'Response to Lo et al.', Biology Letters 3(3), Royal Society Publishing, pp.564~565. https://doi.org/10.1098/rsbl.2007.0367
  32. Lee, S.B..Tong, R.L..Kim, S.H..Im, I.G..Su, N.Y., 2020, 'Potential pest status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Blattodea: Isoptera: Rhinotermtida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Florida Entomologist 103(4), Florida Entomological Society, pp.431~437.
  33. Kim, M..Choi, Y..Lee, J..Kim, J., 2012,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subterranean termites of the genus Reticulitermes (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5(1),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pp.97~102. https://doi.org/10.1603/AN11078
  34. Kim, S..Chung, Y., 202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rmite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buildings in Korea', Forests 2022, 13(3), MDPI, p.465.
  35. Kim, S..Lee, H..Jeong, S..Chung, Y., 2021, 'Biologica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for the conservation of Janggyeong panjeon Depositories and Daejanggyeongpan(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of Haeinsa temple in kore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Biodegradation 156(105131),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Biodegradation, pp.1~7. https://doi.org/10.1016/j.ibiod.2020.105131
  36. Lee, W. H., Choi, D. S., Ji, J. Y., Kim, N. H., Han, J. M., Park, S. H., Lee, S. J., Seo, M. S., Hwang, W. J., Forschler, B. T., Takematsu, Y., Lee, Y. H., 2015, 'A new record of Reticulitermes kanmonensis Takematsu, 1999(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18(3),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p.351~359. https://doi.org/10.1016/j.aspen.2015.04.006
  37. Li, H.F..Su, N.Y..Wen-Jer, W..Err-Lieh, L., 2011, 'Termite pests and their control in taiwan', Sociobiology 57(3),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575~586.
  38. Park, Y..Katade, O..Schwarz, M..Kim, J..Kim, W., 2006, 'Intraspecific molecular phylogeny,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ography of Reticulitermes speratus(Isoptera: Rhinotermitidae)', Molecules and Cells 21(1), The Korean Society For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pp.89~103.
  39. Rust, M.K..Su, N.Y., 2012, 'Managing Social Insects of Urban Importance',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7(1), Annual Reviews, pp.355~375. https://doi.org/10.1146/annurev-ento-120710-100634
  40. Sanderson, M.G., 1996, 'Biomass of termites and their emissions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A global database', Global Biochemical Cycles 10(4), advancing earth and space science, pp.543~557. https://doi.org/10.1029/96GB01893
  41. Shim, J..Park, H..Ju, H..Song, J., 2021, 'First record of the termite family Kalotermitidae(Blattodea: Termitoidae)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4(4), Elsevier, pp.1266~1269. https://doi.org/10.1016/j.aspen.2021.08.017
  42. Son, S..Lee, H..Lee, W., 2019, 'A new record of Reticulitermes speratus speratus(Kolbe)(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2019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45.
  43. Takahashi, M..Yoshimura, T., 2002, 'Recent development in the control of japanese subterranean termites', Sociobiology 40(1),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13~24.
  44. Tong-tong, H..Qun-ya, G..Qian, C., 2014, 'Termite damage to wooden cultural heritage object and in-situ conservation treatment', Sciences of conservation and archaeology 26(3), pp.110~116.
  45. Zhong, J.H..Liu, L.L., 2002, 'Termite fauna in china and their economic importance', Sociobiology 40,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