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rface Contamina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Daejanggakgibi Stele of Silleuksa Temple using Non-destructive Technology

비파괴 기술을 활용한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의 표면오염물 분석과 물성진단

  • KIM, Jiyou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Myeong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22.03.29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Daejanggakgibi Stele of Silleuksa Temple in Yeoju is a stone stele from the Goryeo Dynasty that is inscribed with various stories about the construction of Daejanggak, a place where Buddhist scriptures were kept. This stele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 state in which discoloration of the body has occurred, and the inscription has been partially damaged due to dozens of cracks.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s for stone artifacts, material investigation, portable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ultrasonic velocity analysis for the stele were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ele body was composed of light gray crystalline limestone, and the base stone, support stone, and cover stone were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Portable X-ray fluorescence analysis confirmed that iron(Fe) was an original coloring element of the stele surface. From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color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iron-containing materials flew down from between the stele body and the cover stone. Thereafter, living organisms or organic contaminants attached to it so that yellow and black contaminants were formed. Ultrasonic diagno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property of bot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ranged from fresh rocks(FR) to completely weathered rocks(CW), and the average weathering index was grade 3(intermediate). However, the point where cracks developed intensively was judged to be the completely weathered stage(CW), and some crack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ele bear potentially very high risk.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movement of these cracks and establish reinforcement measures for conservation in the future.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는 불경을 만들어 보관하던 곳인 대장각의 조성에 관한 기록이 적힌 고려시대의 비석이다. 비신은 변색이 일어나고 수십 개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결실되어 명문이 일부 훼손된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 석조유산에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분석법을 활용하여 대장각기비의 재질조사, 휴대용 X-선 형광분석, 초음파 물성진단을 실시하였다. 재질조사 결과, 비신은 담회색 결정질 석회암으로, 받침석, 지지석, 옥개석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장각기비의 변색오염물은 휴대용 X-선 형광분석 결과 철(Fe)이 원인물질로 판단되었다. 분포양상으로 미루어 비신과 개석 사이에 철을 함유한 물질이 산화되어 흘러내리고 이후 생물이나 유기질 오염물이 부착되면서 황색과 흑색 오염물을 형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초음파 물성진단 결과, 신선한 암석(FR)부터 완전히 풍화된 암석(CW)까지 다양한 풍화도를 보였고 평균 풍화도지수는 3등급(보통)으로 산출되었다. 균열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지점은 완전히 풍화된 단계(CW)로 판정되었고, 비신 상부와 하부에 분포하는 일부 균열은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열에 대해서는 향후 거동 모니터링과 보강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초음파탐사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풍화도 비파괴 평가기법」, p.18.
  2. 김성한, 이찬희, 아라키 나루토, 2017,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의 손상도 및 표면오염물 분석」, 「자원환경지질」 50(6), pp.497~508. https://doi.org/10.9719/EEG.2017.50.6.497
  3. 김영택, 이찬희, 이명성, 2005,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보존과학적 풍화훼손도 평가」, 「자원환경지질」 38(6), pp.675~687.
  4. 김유리, 이명성, 전유근, 이미혜, 좌용주, 2016,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비파괴 훼손도 진단과 입지환경 검토」, 「문화재」 49(4), pp.52~63.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4.52
  5. 김지영, 조영훈, 이찬희, 2013, 「경복궁 석조조형물의 재질 및 손상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29, pp.407~420. https://doi.org/10.12654/JCS.2013.29.4.11
  6. 류경석, 김지영, 전유근, 한두루, 이찬희, 2012,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 「지질학회지」 48(6), pp.521~532.
  7. 문화재청, 2021, 「문화재 상세정보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www.heritage.go.kr.
  8. 유지현, 이명성, 최명주, 안유빈, 김유리, 2018,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의 재질특성과 비파괴 훼손도 평가」, 「암석학회지」 27(4), pp.207~222. https://doi.org/10.7854/JPSK.2018.27.4.207
  9. 유지현, 이찬희, 전유근, 2014,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보존과학회지」 30(4), pp.427~438. https://doi.org/10.12654/JCS.2014.30.4.11
  10. 이명성, 박성미, 전유근, 이선명, 이재만, 2013, 「비파괴 기법을 이용한 태종 헌릉 신도비의 표면 훼손도 진단」, 「문화재」 46(4), pp.90~107. https://doi.org/10.22755/KJCHS.2013.46.4.90
  11. 이명성, 이재만, 김재환, 2012,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초음파 물성진단」, 「문화재」 45(1), pp.70~86. https://doi.org/10.22755/kjchs.2012.45.1.70
  12. 이명성, 유지현, 김지영, 2018, 「청와대 소재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의 암석학적 비파괴분석을 통한 산지해석」, 「지질학회지」 54(5), pp.567~578.
  13. 이명성, 전유근, 김지영, 2016,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암석학회지」 25(3), pp.299~310. https://doi.org/10.7854/JPSK.2016.25.3.299
  14. 이정은, 이찬희, 채성태, 정영동, 2010,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평가」, 「보존과학회지」 26(4), pp.349~360.
  15.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2007,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p.183~196.
  16. 이찬희, 전유근, 조영훈, 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2), pp.153~164.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53
  17. 이찬희, 조영훈, 전유근, 2009,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 - 간접전달 방법의 상관관계」, 「보존과학회지」 25(3), pp.233~244.
  18. 이찬희, 최명주, 2021,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의 손상특성 및 안정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54(1), pp.137~150. https://doi.org/10.9719/EEG.2021.54.1.137
  19. 전유근, 이찬희, 2011,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존과학회지」 27(3), pp.269~276.
  20. 전유근, 이찬희, 조성남, 조영훈, 박기정, 양필승, 2008, 「운현궁수조의 손상평가와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풍화도 및 균열심도 측정」, 「보존과학회지」 24, pp.1~11.
  21. 조영훈, 이찬희, 2015, 「석조문화유산의 표면 요철도에 적합한 초음파 탐촉자 및 접촉매질 선정 연구」, 「보존과학회지」 31(3), pp.267~278.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7
  22. 한두루, 김성한, 박석태, 이찬희, 2021, 「통영 세병관 초석의 암석학적 특성 및 비파괴 손상평가」, 「자원환경지질」 54(2), pp.199~212.
  23. Lee, C.H., Kim, J. and Lee, M.S., 2010a,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pp.31~44.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9.00460.x
  24. Uchida, E., Cunin, E.,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6,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 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