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ati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선사시대 사적의 지정·보존·관리 현황과 활용 방안

  • Received : 2022.03.31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tatus of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management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and to suggest future applications. Prior to the discussion, the overall status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was reviewed. Specifically, the current status of designation, designated area, and distribution by region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nature of the sites were examined in detail. N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I report the results of field trips to several sites, such as Geomdan-ri in Ulju, Songguk-ri in Buyeo, and Seoktaek-ri in Hongseong, and propose some measures for preserv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remains. Finally, by referring to cases of US national historic sites such as protection, conserv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academic research project of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ed for a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that considers both socio-economic aspects as well as education and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The active use of cultural heritage can be a measure that leads to the continuou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ites, and ultimately will be a shortcut to increasing the value of national prehistoric sites.

본 글은 우리나라 선사시대 사적의 지정·보존·관리의 전반적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선사시대 사적의 활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한국의 선사시대 사적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대 및 유구 성격에 따른 선사시대 사적의 지정 현황을 비롯하여 선사시대 사적의 지정 면적, 지역별 분포 양상 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 선사시대 사적의 보존·정비·관리 현황에 대한 전반적 상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선사시대 사적의 보존·관리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현지답사를 통해 울주 검단리 유적, 부여 송국리 유적, 홍성 석택리 유적 등 몇몇 유적의 현황을 점검하고 선사시대 사적의 보존·정비·관리 방안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개진하였다. 울주 검단리 유적은 유적의 성격을 고려하여 유구 관련 시설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복토현장보존 뿐만 아니라 노출현장보존이나 이전보존을 병행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부여 송국리 유적은 유적의 전체적인 범위와 유구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정밀지표조사와 시굴조사가 선결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뚜렷한 목적을 가진 학술발굴이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홍성 석택리 유적과 같이 획기적이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고고 자료가 확인되고 역사적 가치와 고고학적 중요성이 인정되는 보존조치 유적의 경우, 보존 현황과 관리 상태를 우선 점검하여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 국가사적의 문화유산 보호보전 및 운영관리 체계, 학술조사연구 프로젝트 사례를 들어, 우리나라 선사시대 사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의 교육·연구적 측면과 사회·경제적 측면 모두를 고려한 활용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문화유산의 적극적 활용이 유적의 지속적인 보존·관리로 이어지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선사시대 사적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 2021, 「사적의 지정과 지역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2. 강봉원, 1998, 「미국의 문화재 관리 현황과 과제」, 「고문화」 51.
  3. 김경택.이기성.서현주.주동훈.박병욱.노양지.백혜림, 2020, 「송국리XIII」, 한국전통대학교 고고학연구소.
  4. 金元龍, 1986, 「韓國考古學槪說 第三版」, 一志社.
  5. 김재홍, 2021, 「역사시대 사적의 보존.관리 현황과 가치」,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6. 김종승, 2015, 「문화재청의 발굴 보존유적 관리체제 개선방향」,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한국매장 문화재협회.
  7. 김철주, 2021, 「사적 지정의 행정적.학술적 검토」,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8. 노중국, 2021, 「사적의 국가적 중요성」,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9. 문화재청, 2002, 「문화재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기본 계획」.
  10. 문화재청, 2012, 「선사유적의 보존관리 메뉴얼」.
  11. 박종섭, 2015, 「국내 발굴유적의 보존사례와 개선방안」,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한국고고학회.한국매장문화재협회.
  12. 釜山大學校博物館, 1995, 「蔚山 檢丹里 마을 遺蹟」.
  13. 손준호, 2016,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야외고고학」 26.
  14. 송길상, 2021, 「법과 사례를 통한 복원고증연구의 방향」, 「백제왕도핵심유적 복원고증연구의 개선방안 모색」, 백제왕도핵심유적 정책연구포럼,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단.
  15. 신희권, 2014, 「고고유적 활용 방안 연구」, 「야외고고학」 19.
  16. 신희권, 2021, 「세계유산 등재 및 관리와 사적의 지정.관리」,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17. 이기성, 2021, 「부여 송국리유적 세계유산 등재과정의 문제점과 추진방향」, 「호서고고학」 50.
  18. 이명선, 2021,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사적의 보존.관리와 활용」,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19. 이화종.이정철, 2022, 「세계유산 강화 고인돌의 현황과 보존.활용 방안」, 「호서고고학」 51.
  20. 최종규, 2015, 「국내 보존유적 정비 및 관리방안」, 「보존조치유적 제도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 51-86, 한국고고학회.한국매장문화재협회.
  21. 허의행.안형기, 2012,「매장문화재정보 관리와 활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획및 제작 연구」, 「야외고고학」 15.
  22.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강의 개정신판」, 사회평론아카데미.
  23.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15, 「홍성 석택리유적-충남도청(내포)신도시 진입도로 개설공사 구간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24. 홍보식, 2021, 「국가 사적 정책의 역사. 어제와 오늘」,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25. 황재훈, 2021, 「선사 사적의 보존.관리 현황과 가치」,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26. 미국국립과학원 홈페이지(https://www.nsf.gov)
  27. 미국국립역사공원 홈페이지(https://www.nps.gov)
  28. 한국청동기학회 홈페이지(https://www.bronzecultur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