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lace wallpaper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Gyeongbok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and Chilgung Palace -

조선시대 궁궐 도배지 특성 연구 - 경복궁, 창덕궁, 칠궁을 중심으로 -

  • KIM Jiw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isu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Myoungnam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EONG Seonhwa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지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 김지선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 정선화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2.01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By taking wallpaper specimens from Gyeongbokgung Palace, Changdeokgung Palace, and Chilgung Palace preserv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we plann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used as wallpaper in the Joseon royal family. First, we confirmed the features of paper hanging in the palaces with old literature on the wallpaper used by the royal family based on archival research. Second, we conducted a field survey targeting the royal palaces whose construction period was relatively clear, and analyzed the first layer of wallpaper directly attached to the wall structure after sampling the specimen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main raw material was hanji, which was used as a wallpaper by the royal family, and grasped the types of substances(dyes and pigments) used to produce a blue color in spaces that must have formality by analyzing the blue-colored paper. Based on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we checked documents and the existing wallpaper by comparing the old literature related to wallpaper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palaces. We also built a database for the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hen conserving the wallpaper in the royal palaces. We examined the changes in wallpaper types by century an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lace of use by extracting wallpaper-related contents recorded in 36 cases of Uigwe from the 17th to 20th centur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ames used for document paper and wallpaper were not different, thus document paper and wallpaper were used without distin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wallpaper depending on th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undation of wallpaper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Baekji(white hanji), Hubaekji(thick white paper), jeojuji(common hanji used to write documents), chojuji(hanji used as a draft for writing documents) and Gakjang(a wide and thick hanji used as a pad). As a result of fiber identification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bers and the normal color reaction(KS M ISO 9184-4: Graph "C" staining test) for the first layer of paper directly attached to the palace wall, the main materials of hanji used by the royal family were confirmed and the raw materials used to make hanii in buildings of palaces based on the construction period were determined.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ing materials of the blue decorative paper with an optical microscope,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ic analysis(UV-Vis),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XRD), we determined that the type of blue decorative paper dyes and pigments used in the palaces must have formality and identified that the raw materials used to produce the blue color were natural indigo, lazurite and cobalt blue.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후기부터 현재까지 보존된 경복궁, 창덕궁 그리고 칠궁 내 일부 전각의 도배지를 채취하여 조선 왕실에서 도배지로 사용한 종이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첫 번째로, 고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왕실에서 사용된 도배지 기록을 통해 왕실에서의 도배 특성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건립 시기가 비교적 분명한 전각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시료확보 후 초배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왕실 도배지로 활용된 한지의 주원료를 확인하였으며, 청색 장식지 분석을 통해 격식을 갖춰야 하는 공간에 사용된 청색 발색물질(염료·안료)의 종류를 파악하였다.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궁궐 도배지와 관련한 고문헌 기록과 대조함으로써 문헌의 기록과 현존 도배지 실물을 확인하고, 향후 궁궐 도배지의 보수 시 문화재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7~20세기 영건의궤류 36건 등에 기록된 도배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시기별 도배지 종류 변화, 사용처에 따른 도배지 종류 등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의궤 제작용 한지와 도배용 한지의 명칭이 다르지 않아 조선시대에는 문서지와 도배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대별 도배지의 종류는 차이가 있지만 백지, 후백지, 저주지, 초주지, 각장이 도배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조선 말기까지 지속된 것이 확인된다. 궁궐 벽체와 직접 붙어있던 면의 초배지를 대상으로 섬유의 형태학적 특성 및 정색 반응(KS M ISO 9184-4: 그라프 "C" 염색 시험)을 통해 섬유 식별을 실시한 결과, 왕실에서 도배지로 활용된 한지의 주원료를 확인하였으며 전각의 건립 시기에 따라 당시 한지를 제작하는 데 사용한 지료의 원재료를 파악하였다. 또한 청색 장식지의 발색원료를 광학현미경, 자외-가시광 분광분석(UV-Vis), X선 회절분석(XRD)을 통해 분석한 결과 격식을 갖춰야 하는 공간에 사용된 청색 장식지의 염료 및 안료의 종류를 파악하였으며 청색을 내기 위한 원료로서 쪽, 청금석, 코발트블루 등이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문화유산조사연구(R&D) '전통재료 특성 규명 및 적용성 평가 연구(NRICH-2205-A63F-1)'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원고에 도움을 주신 (주)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정정남 대표님께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지류 직물 문화재보존」, p.260.
  2. 문화재청, 2000, 「칠궁의 연혁 및 수리공사보고서」, p.21.
  3. 문화재청, 2000, 「칠궁의 연혁 및 수리공사보고서」, p.71.
  4. 문화재청, 2000, 「칠궁의 연혁 및 수리공사보고서」, p.123.
  5. 문화재청, 2000, 「칠궁의 연혁 및 수리공사보고서」, p.128.
  6. 문화재청, 2002, 「창덕궁 신선원전 수리보고서」, p.127.
  7. 문화재청, 2005, 「집옥재 수리조사보고서」, p.361.
  8. 문화재청, 2010, 「경복궁 자경전 및 자경전 십장생 굴뚝 실측조사보고서」, p.100.
  9. 문화재청, 2010, 「경복궁 자경전 및 자경전 십장생 굴뚝 실측조사보고서」, p.286.
  10. 영건의궤연구회, 2010. 「영건의궤-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11. 윤은영, 권혜영, 2013, 「전통 청색 및 녹색 염료로 염색한 직물의 비파괴 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13, 국립중앙박물관, p.85.
  12. 이상현, 2006, 「고문헌 출전 한지의 원료 섬유 식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4.
  13. 조규형, 2012, 「조선후기 한양의 상류주택과 비교를 통한 낙선재의 건축특성 연구」, 「건축역사연구」 21(1), 한국건축역사학회, p.19.
  14. 조영민, 2014, 「전통 벽체 기법 변화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3(4), 한국건축역사학회, pp.47~48. https://doi.org/10.7738/JAH.2014.23.4.047
  15. Ilvessalo-Pfaffli, Marja-Sisko, 2014,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jg Fibers」, Springer Verlag, Berlin, pp.292~304.
  16. Maurizio Aceto, Angelo Agostino, Gaia Fenoglio and Marcello Picollo, 2013, 「Non-invastive differentiation between natural and synthetic ultramarine blue pigments by means of 250~900㎚ FORS analysis」, 「Analytical Methods」 5(16),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p.4186.
  17. Stamatios Amanatiadis, Georgios Apostolidis and Georgios Karagiannis, 2021, 「Consistent Characterization of Color Degradation Due to Artificial Aging Procedures at Popular Pigments of Byzantine Iconography」, 「Minerals」 11(7),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p.9.
  18. 책임운영기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cha.go.kr) - 육상궁(칠궁), https://royal.cha.go.kr/public/html/HtmlPage.do?pg=/rptc/01/seven_palace.jsp&pageNo=1500000&siteCd=RPTC(접속일 2022.11.28.)
  19.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0&ccbaKdcd=21&ccbaAsno=04790000&ccbaCtcd=11&ccbaCpno=2111104790000(접속일 202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