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순희 (2008). 창의적 사고 지향 교수 모델 개발 및 적용. 제5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구두발표.
- 강순희 외 (201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수업 전략의개발 및 적용 효과 (제 III보). 대한화학회지, 1056-1073. https://doi.org/10.5012/JKCS.2011.55.6.1056
- 구혜미 (2016). 중등 수학 영재와 일반 고등학생들의 지두력과 수학적 사고력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자.이경진.유솔아 (2005).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수학 교육과정 개발의실제. 교육과학사.
- 김부윤.이지성 (2005).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 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1), 25-34.
- 김영정 (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81-90.
- 김홍원.김명숙.송상선 (1996). 수학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보고서 ( I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봘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손아영 (2015). 가설설정에서 그럴듯한 점, 발전시킬 점, 우려되는 점으로 질문하는 활동의 일반 화학 탐구 실험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의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송설란 (2011). 페르미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과 정당화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우 (2010). 페르미식 문제에서 나타나는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문제해결 사고과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전력 통계(2012). 발전설비 추이, 13-14.
- 황혜정 외 (2016). 수학교육학신론. 문음사.
- Arleback, J. B. (2009). On the use of Realistic Fermi problems for introducing mathematical modelling in school.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6(3), 331-364 https://doi.org/10.54870/1551-3440.1157
- Balka, D. (1974).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 pp.633-636. https://doi.org/10.5951/AT.21.7.0633
- Carlson, J. E. (1997). Fermi problems on gasoline consumption. The Physics Teacher, 35(5), 308-309. https://doi.org/10.1119/1.2344696
- Dirks, M. K. & Edge, D. R. M. (1983). Problem solving: Enrico Fermi and the bull moose. Vector, 40(3), 25-28.
- Donald J. Treffinger & Scott G. Isaksen & K. Brian Dorval(2006). Creative problem solving : an introduction / 4th ed.
- Efthimiou, C. J. & Llewellyn, R. A.(2007). Cinema, Fermi problems and general education, Physics Education, 42(3), 253-261. https://doi.org/10.1088/0031-9120/42/3/003
- Hadamard. J. (1975). Essai sur la Psychologie de l'Invention dans Le Domaine Mathematicque. 정계섭 역(1990). 수학 분야에서의 발명의 심리학, 범양사.
- Hosoya (2007). 地頭力, 홍성민 역, 지두력, 이레.
- Kittel, A. & Marxer, M. (2005). Wie viele Menschen passen auf ein Fussballfeld? Mit Fermiaufgaben individuell foerdern, Mathematik Lehren, 131(Aug), 14-18.
-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 of Chicago Press.
- Peter-Koop, A. (2004). Fermi Problem i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s: Pupil's interactive Modeling Processes. University of Oldenburg, Germany.
- Peter-Koop, A. (2005). Fermi Problem i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s: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modelling processes. APMC, 10(1),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