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침선장 최온순의 굴건제복(屈巾祭服)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Gulgunjebok of Choe Onsun, a Needlework Master

  • 이영주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투고 : 2023.10.18
  • 심사 : 2024.02.01
  • 발행 : 2024.02.29

초록

The mourning attire worn by the Sangju (Chief Mourner) during Confucian funeral rituals is known as Gulgeonjebok. It is comprised of Gulgeon, Sujil, and Hyogeon on the head, and Jungui underneath. On top of the Jungui, the ceremonial garments called Choeui are worn, along with Choesang. Yojil and Gyodae are then tied around the waist. Mahye and Hangieon are worn on the feet, and a walking stick made of bamboo, paulownia, or willow is carried. A needlework master, Choe Onsun, who was designated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ollabuk-do on November 27, 1998, is recognized for her efforts in restoring and recreating the forgotten Gulgeonjebok. Thanks to her endeavors, the period,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ulgeonjebok in the Jeolla Province have been preserv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reproduce characteristic items of Gulgeonjeboks handed down by a needlework master, Choe,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n the dimensions and schematization of the Gulgeon, the method of cutting, and the sewing process. The empirical research on Gulgeojebok is expected to further enhance traditional sewing skills. It will als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epening the level of research on traditional dress and shar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아. (2017). 근대 남자 상복 유물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사편찬위원회. (편). (2005).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서울: 두산동아.
  3. 국사편찬위원회. (편).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두산동아.
  4. 김기상. (2014). 예서에 나타난 의례 복식 재현 : 사례편람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정. (2006). 실물 제작을 통한 전통 상복 연구 - 광주지역 현대 상복과 사례편람 상복 제작법을 중심으로-. Human Ecology Research, 44(2), 49-59.
  6. 김장향, 은영자. (2006). 전통 상복의 복제 및 종류에 관한 연구. 과학논집, 32. 37-49.
  7. 김희숙. (1984). 조선시대 사가의 상복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광희. (1999). 한국의 상례복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2(3), 17-28.
  9. 소황옥, 정혜린. (2004). 한국 전통 상복과 현대의 상복 변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7(3), 17-26.
  10. 윤은영. (2004). 현행 상례 의식에 나타난 상복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재. (2004). 국역 사례편람 (우봉 이씨 대종회 역). 서울: 명문당.
  12.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연합회. (2018). 미래가치를 담아낸다. 전주: 신아출판사.
  13. 정옥임. (2003). 상복에서의 상징성 연구 - 상복 저고리를 중심으로. 복식, 54(4), 55-62.
  14. 조우현. (1990).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조우현, 김혜경, 동준희, 박민재. (2016).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 복식, 66(8), 123-137.
  16. 차서연. (2020). 「상례사전」 「상복상」에 나타난 다산의 상복관.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상일. (2011). 상복의 구성과 상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황필수. (2014). 증보사례편람 역주본 (문옥표 역).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