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주 사뇌사 유물 퇴장(退藏) 시기에 대한 검토

A Review of the Time Cheongju Sanesa Buddhist Temple Relics Were Hoarded

  • 투고 : 2023.12.11
  • 심사 : 2024.02.14
  • 발행 : 2024.03.29

초록

30년 전인 1993년에 발견된 청주 사뇌사 유물은 유물의 양이 방대하고, 고려 청동 기물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것인데, 특히 제작 시기에 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유물의 퇴장 시기에 대해서는 13세기 중반, 13세기 말, 14세기 초 등 여러 견해가 엇갈린 상태에서 견해가 정리되어 있지 않다. 본고는 논란이 많은 청주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기를 원(元) 카단(哈丹)의 고려 침입이 진행중이었던 1291년 4월의 일로 추정하였다. 카단 군은 고려에 침입하여 1291년 1월에 양평과 원주, 4월 충주를 거쳤으며, 5월 1일 연기현에 출현하였다. 본고에서는 충주에서 연기현(세종시)에 이르는 중도에 이들이 청주를 거치게 되었다는 점을 기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이것이 바로 사뇌사의 폐사 또는 유물의 퇴장 배경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점을 카단 침입이 진행중이던 1291년으로 설정하게 되면,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무오년, 경신년, 기유년 등 간지(干支)가 적힌 유물의 연대를 합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유년 금고(金鼓) 1249년, 무오년 향로 1258년, 경신년 향완 1260년 등이 그것이다.

In 1993, a large number of relics was found in Cheongju Sanesa Buddhist Temple. They show superiority as bronze-based products, and are especially important in since they provide much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their creation.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e time they were hoarded: in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late in the 13th century, early in the 14th century, etc. This study estimates the time they were hoarded to be some time in April 1291 during the invasion of Kădīn (哈丹) in the Yuan Dynasty. Kădīn's troops invaded the Goryeo Dynasty, then went through Yangpyeong and Wonju in January 1291 and appeared in Yeongi-hyeon on May 1 of that year. Based on record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troops passed through Cheongju on their way from Chungju to Yeongi-hyeon (currently Sejong-si) and pointed out that the invasion route of the troops was the background for the hoarding of Sanesa relics. The estimation that the Sanesa relics were hoarded in 1291 when Kădīn's invasion was going on makes it possible to reasonably clear up the era of the relics in which the Heavenly Stems called gānzhī (干支) Muo (戊午), Gyeongshin (庚申), Giyu(己酉) etc. were written. That is, Giyu Geumgo is presumed to be the year 1249, Muo Hyangro 1258, Gyeongshin Hyangwan 1260,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2. 공주대 박물관, 1994, 「연기대첩 연구」.
  3. 국립청주박물관, 1999, 「고려 공예전」.
  4. 국립청주박물관, 2014, 2015, 「청주 사뇌사」 금속공예 II, III.
  5.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백산학회, 2023, 「고려.몽골전쟁 역사의 현장, 김윤후와 충주성전투」(세미나 발표집).
  6.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0, 「태안 마도1호선 발굴조사보고서」.
  7. 국방부 전사펀찬위원회, 1984, 「동국병감」.
  8. 윤용혁, 1991, 「고려 대몽항전사 연구」, 일지사.
  9. 윤용혁, 2009, 「충청 역사문화 연구」, 서경문화사.
  10. 윤용혁, 2011,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11. 윤용혁, 2020, 「한국과 오키나와 -초기 교류사연구」, 서경문화사.
  12. 차용걸, 2016, 「한국 축성사 연구」 2, 진인진.
  13. 충북대 호서문화연구소, 1996, 「괴산 미륵산성 지표조사보고서」.
  14. 충주문화원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의 대몽항쟁과 충주성 전투」(세미나 발표집).
  1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3, 「미륵산성: 서문지주변 발굴조사보고서」.
  16. 황수영 편저, 1976, 「한국금석유문」, 일지사.
  17. 강민식, 2015, 「무심천변에 쌓은 읍성, 당간을 돛대 삼다」, 「준풍에 올린 돛대」, 직지.
  18. 강재광, 2023, 「1253년 충주성전투 승첩과 방호별감 김윤후의 역할」, 「한국사연구」 202.
  19. 고명수, 2020, 「몽골 제왕 카단(哈丹)의 출신과 행적」, 「역사와 담론」 96.
  20. 김무림, 2003, 「한자 '內'의 국어 음운사적 고찰」, 「국어학」 41.
  21. 김수태, 2021, 「고려시대 청주 사뇌사의 성격-미륵신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65.
  22. 김정현, 2009, 「청주 사뇌사 금속유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김진수, 2010, 「13세기 합단군의 침공에 대한 고려군의 대응」, 「군사」 77.
  24. 김홍주, 1993, 「청주 사직동 출토 사뇌사명 반자」, 「미술자료」 52, 국립중앙박물관.
  25. 김홍주, 1999, 「사뇌사 유물의 발견 경위」, 「고려 공예전」, 국립청주박물관.
  26. 류병재, 2021, 「카단의 고려 침입 전후 상황과 고려.대원올로스 연합군의 대응」, 「몽골학」 64.
  27. 노병식, 2009, 「고려 괴산 미륵산성의 구조와 성격」, 「한국성곽학보」 16.
  28. 신명희, 2014, 「청주 사뇌사 금속공예품 명문 재검토」, 「청주 사뇌사」(금속공예 II), 국립청주박물관.
  29. 신호철, 1998, 「합단적의 침입과 원충갑의 영원성(치악성)승첩」, 「원주 영원산성 해미산성 지표조사보고서」.
  30. 윤용혁, 2022, 「몽골전란과 삼국유사의 일연 -삼국유사를 통해서본 몽골전란」, 「한국중세사연구」 69.
  31. 이인재, 2000, 「1291년 카단(哈丹)의 치악성 침입과 원충갑의 항전」, 「한국사상과 문화」 7.
  32. 장수진, 2013, 「청주 사뇌사지 출토 고려 금속공예 연구」,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33. 주채혁, 2000, 「쿠빌라이칸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카단宗王軍의 항전과 고려 영원산성 토벌전」, 「강원인문논총」 8.
  34. 최응천, 1999, 「사뇌사 유물의 성격과 의의」, 「고려 공예전」, 국립청주박물관.
  35. 최응천, 2019, 「한국 불교 퇴장유물의 성격을 성격과 寧國寺(道峯書院) 출토품의 특징」, 「강좌미술사」 52.